• 제목/요약/키워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통합 해류도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Oceanic Current Maps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박경애;이재연;박재진;이은일;변도성;강분순;정광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8-260
    • /
    • 2020
  •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해류도는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대한 해류의 역할에 대해 학생들이 중요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게재된 해류도는 과학적 측면에서 볼 때 다양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양 전문가들은 2010년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토론과정을 통하여 2015년에 한반도 주변해의 통일된 해류모식도를 완성하였다. 광범위한 의견수렴과 검증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인 해류모식도로서의 대표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를 고려하여 교육용 해류모식도도 제작하였다. 이 교육용 해류모식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를 다루고 있는 2019년 출판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6종에 사용된 해류모식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모든 해류도가 제안된 해류도를 기반으로 모두 통일되어 있으나, 해류도에서 일부 해류들을 생략하거나, 점선과 실선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통일된 해류명칭과 다른 잘못된 해류명칭을 사용한 교과서도 다수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오개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을 통합하여 제작된 해류도가 다양한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정확히 작성되고 활용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

  • 이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97-60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which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n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2007(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t of balanced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classif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somewhat conflicting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perceive space and data analysi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indergarten teachers also suggested basic and restricted mathematics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problem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the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TIMSS 2015 화학 영역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Features of Korean Eighth Grades' TIMSS 2015 Achievement in Chemistry)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5-6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TIMSS 공개문항들 중 TIMSS 2011과 TIMSS 2015에 공통으로 사용된 추이문항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화학 영역 성취도 추이를 교육과정 변화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교육을 전공한 연구자 3명과 중학교 현장교사 6명이 참여하여 TIMSS 문항과 교육과정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TIMSS 2015 과학에서 화학 내용영역과 인지영역에 대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개된 추이문항을 중심으로 화학 영역 평가주제별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과 응답경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화학반응에서의 규칙성, 산화와 환원 등과 같은 일부 평가주제를 우리나라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3학년 이후에 다루는 까닭에 우리나라 중2 학생들의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과학 인지영역별로는 우리나라 중2 학생들은 성취도 상위국인 싱가포르나 일본학생들에 비해서 적용하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기율표를 포함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화학영역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고한중;석종임;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2호
    • /
    • pp.129-142
    • /
    • 2017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reading materials were the types of topic, purpose, students' activity, and presentation. The visual images in the reading materials were also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ype, role, caption type, and proximity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equencies of the reading materials expanding concepts of the text and/or requiring corresponding students' inquiry increased. More visual images were used in the reading material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still found to exist; most visual images were illustration and/or picture; many visual images were presented without a cap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e proximity of visual image to text.

독일 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 교수·학습 내용 분석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matrix in German high school mathematics)

  • 안은경;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69-287
    • /
    • 2023
  • 행렬이론은 수학, 자연과학, 공학뿐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공지능 분야에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중·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은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재편성될 예정이다. 이에 다른 나라에서 다루고 있는 행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행렬 지도를 위한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교과서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수학과 표준교육과정과 독일 헤센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독일 수학 교과서의 행렬 단원의 내용 요소 및 전개 방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 교과서는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행렬, 일차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로 나누어 행렬 단원을 다루고 있으며 모두 역행렬을 다루고 있고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 행렬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로부터 학교 수학에 행렬을 재편성할 경우 깊이 있는 개념적 이해와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어 교육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가? (What is the rationale for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백영균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10
    • /
    • 2009
  • 7차 개정 교육과정은 컴퓨터교육에 있어서 기존의 컴퓨터 활용 중심의 교육을 넘어서 컴퓨터과학과 더불어 정보통신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초등교육과정의 틀 내에서 컴퓨터교육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는 또 다른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정체성에 대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문제들이 산재해 있다. 컴퓨터교육에 관한 정체성의 혼란은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에 대한 다양한 논쟁을 일으키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도 컴퓨터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편제와 운영 등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내적.외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고찰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컴퓨터교육이 지향하여야 할 점에 대하여 탐색하고 나아가 컴퓨터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어떻게 정착되어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정립하고자 한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Science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Student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ce Aspiration)

  • 양찬호;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9-555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융합형 과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융합형 과학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과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포부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14명으로, 융합형 과학 이수 전후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NOS에 대한 견해 점수는 융합형 과학의 이수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OS의 하위영역인 과학 지식의 임시성과 상상력의 사용의 경우에는 이수 후 검사 점수가 이수 전검사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STS에 대한 견해나 과학에 대한 흥미 및 포부에서는 융합형 과학 이수 전후의 검사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융합형 과학 이수가 학생들의 NOS와 STS에 대한 견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포부를 향상시키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안주송;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61-7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for the emphasis on the revision, major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agreed to the increase in class hours and the application of subject classroom, but they had a lower recognition for setting the subject groups. Second, the degree of necessity in discussion and ST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science writing, discussion and STEAM was low. Thir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 high performance for mutual cooperation, student-l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open inquiry and instruction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they showed a high implementation for evaluation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asic concepts,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evaluation tools. Fifth, it seemed that their recognition for amount, level and interest of scienc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as appropriate and positive.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 표현활동 영역 체제 분석 (Content Analysis on the Expression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of 2009 Curriculum Revision)

  • 추나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4호
    • /
    • pp.257-269
    • /
    • 2015
  • 본 연구는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 교과서 표현활동 영역의 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중학교 체육교과서 5종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체제와 형식체제로 나누어 준거기준에 따른 수정된 비교분석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 근거 선정에 있어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형식체제에 있어서 지면비율은 14.1-17.3%로 나타났다. 단원전개 및 구성에 있어서는 모든 교과서가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활동의 실천이 이어졌으며, 동기유발과 심화학습을 위해 그림과 추가적 구성 형태를 이용하였다. 둘째, 내용체제에 있어서 학습목표는 각 교과서마다 4-6개로 제시되었으며, 표현활동의 개념의 이해, 표현방법의 이해, 창작활동을 통한 개인 역량 강화, 작품 감상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내용은 심미표현에서는 미적 요소에 대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현대표현에서는 창작적 요소를 강조하였고, 전통표현에서는 문화적 이해를 통한 활동의 특징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학습평가는 중단원별로 살펴보면 이론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고, 소단원별로는 창작활동을 통한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