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70

검색결과 4,791건 처리시간 0.033초

우리나라의 식품소비변화(食品消費變化)에 대한 고찰(考察) -1960년(年)${\sim}$1970년(年)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Trend of Food Consumption in Korea from 1960 to 1970')

  • 채범석;신영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권4호
    • /
    • pp.161-168
    • /
    • 1972
  • The study was made to analyse the trend of food consumption in Korea from 1960 to 1970. Six kinds of statistical yearbooks in Korea was quoted for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growth rate of populations in Korea from 1960 to 1970 was $2.0{\pm}0.4%$. 2) The production of foods in Korea was irregular by climate and natural phenomania. 3) There were the reverse trade phenomenia except vegetables, fruits and fishery products in export and import of food. 4) Th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 per family in all city in Korea was \7,080 in 1963, and \29, 900 in 1970. 5) Food consumption in all expenditure was \3,840 in 1963, and \12,120 in 1970. 6) Percentage of food consumption of all expenditure was 54.2% in 1963, and 40.5% in 1970. 7) Cereal in food expenditure was \1,770 in 1963, and \5,060 in 1970. 8) By the growth of western style of life, there was a increase of western food consumption. 9) Engel index in Korea was 54.25 in 1963, and 40.46 in 1970. 10) We found slightly consumptional trend in plant origin food and highly trend in animal origin food. 11) Among the animal food consumption, chickens, canned meat, milk, eggs, and dried milk were highly consumed.

  • PDF

1970년대 잡지 『여학생』의 소녀 담론과 만화 -강요된 모범과 만들어진 명랑 (The Discourse on Girls and the Comics in the 1970s Magazine, Schoolgirl - A Forced Model and the Invented Cheerfulness)

  • 김소원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13-51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만화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1970년대 순정만화를 조명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의 잡지인 『여학생』의 기사와 연재만화를 분석하고 당시의 이상적인 소녀상을 고찰한다. 순정만화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 단행본 순정만화 분석만으로는 이러한 간극에 대해 설명되지 않는다. 만화 검열이 만화 전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지만 다른 장르의 만화와 비교했을 때 1970년대 순정만화의 정체는 지나치다. 순정만화와 함께 소녀를 대상으로 하는 대표적인 대중매체였던 잡지 연구를 통해 순정만화 변화의 원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잡지의 기사는 그 잡지의 편집방침과 특징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그 시대의 가치관과 이념을 반영한다. 잡지에 실린 만화 역시 마찬가지이다. 특히 잡지 만화는 검열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다.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소녀잡지의 기사와 만화가 당시의 소녀상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여학생』의 특집 기사와 만화를 통해 분석했다. 『여학생』에 연재된 만화 중에서 엄희자의 <푸른 지대>와 방영진의 <미니 행진곡>을 살펴보았다. <푸른 지대>와 <미니 행진곡> 모두 『여학생』의 기사에서 강조한 이상적인 소녀상을 보여준다. <푸른 지대>는 가정 안의 성실하고 순종적인 딸의 모습을, <미니 행진곡>은 명랑하고 밝은 소녀의 모습을 그린다. 연구를 통해 1970년대 잡지는 사회에 순응하면서 화목한 가정을 돕는 소녀를 이상적인 소녀로 평가했다는 것 그리고, 잡지에서 끊임없이 주장했던 이상적인 소녀상은 순정만화의 검열과 창작의 기준이 되어 많은 작품의 내용과 표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는 만화 검열과 합동 출판사의 독과점 전횡으로 연구사적 의미에서 그 중요성이 희석된 시기이다. 검열의 틀에서 표현의 한계가 명확했고 그 결과 양질의 작품도 많지 않아 1970년대 한국만화 연구는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만화 연구의 공백을 채우는 데에 의미가 있다.

1970년대 한국 영화와 타자들의 풍경 -'가족'과 '죽음' 모티프를 중심으로 (1970s Korean film and landscape of Others -with 'family community' and 'death' motif)

  • 한영현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429-465
    • /
    • 2019
  •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영화에 재현된 타자들의 존재 방식에 대해 분석했다. 당대의 사회 변화들, 가령 급속한 산업 근대화로 인한 도시화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근대화의 열매를 얻기 위해 산업 역군으로서의 주체 구성을 해 나갔지만, 이러한 주체 구성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양산되었던 타자들의 풍경은 그동안 젠더 및 청년 담론 속에서 제한적으로 분석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시각을 달리하여 1970년대적 타자들의 풍경을 추출해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타자들의 존재 방식은 다음의 두 가지 구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첫째, 1970년대 영화에서 가족 공동체는 1960년대의 그것과는 달리 해체되고 균열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는 타자들이 그 공동체에 진입할 수 없거나 이탈함으로써 발생한다. 가족 공동체는 더 이상 주체 구성의 안정된 토대 혹은 구심점으로 작용하지 못하는데, 안정감과 소속감을 가질 수 없다는 공동체에 대한 절망적 인식은 공동체 안팎을 배회하는 타자들의 존재 방식을 통해 잘 드러난다. 둘째, '죽음'은 1970년대 국가 이데올로기의 폭력과 일상화된 예외 상태 속에서 사회적 삶의 한 양태를 보여 주는 요소이다. 국가가 요청한 정상적 주체성에서 완벽하게 배제되고 추방된 타자들이 영화 안에서 죽는 방식은 일상화된 죽음 혹은 잠재적 죽음의 상태가 1970년대의 삶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통해 추구된 정상적 삶은 타자화된 존재들을 죽음에 이르도록 하지만, 실제 타자들의 존재 방식은 안정감과 소속감을 부여하는 국가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삶과 죽음의 경계가 무색해진 1970년대 절망적 현실을 고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970년대 타자들의 풍경은 1970년대 산업 근대화가 그토록 지향했던 완벽한 중산층 가족 담론을 파괴하고 그것이 오히려 수많은 죽음을 초래하는 타자들을 양산하는 폭력적 현실을 드러낸다. 한국영화는 정권의 검열에도 불구하고, 재현의 우회로를 따라 1970년대가 가져온 삶의 폭력성을 대중적으로 폭로하고 있었던 것이다.

남해 해수면온도와 태풍 세기와의 관계 (Relation between SSTs in the South Sea and Intensity of Typhoons)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제23회 정기총회
    • /
    • pp.198-19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36년간(1970-2005년)의 장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남해의 해수면온도 변화와 태풍의 세기 변화와의 관계가 분석 연구되었다. 우리나라 남해의 해수면온도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2000년 이래 6년간(2000-2005년)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16.95$^{\circ}C$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해수면온도 15.74$^{\circ}C$보다 1.21$^{\circ}C$나 높다. 특히, 1994년 이후 그 상승폭은 크다. 태풍의 세기는 중심기압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남해를 통과하면서 우리 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의 최저중심기압의 변화를 살펴보면 197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00년 이래 6년간 (2000-2005년)의 평균 최저중심기압은 983hPa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최저중심기압 992hPa보다 9hPa 이나 낮다. 상관 분석에 의하여, 1970년 이후의 태풍 세기 강화는 남해 해수면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남해 해수면온도 변화와 태풍 세기와의 관계 (Relations between Varia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 in the South Sea of Korea and Intensity of Typhoons)

  • 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03-407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36년간(1970-2005년)의 장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대부분이 통과하는 남해의 해수면 온도와 태풍의 세기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 연구하였다. 우리나라 남해의 해수면온도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1996년 이래 10년간(1996-2005년)의 평균 해수면온도는 $16.77^{\circ}C$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해수면온도 $15.74^{\circ}C$보다 $1.03^{\circ}C$나 높다. 특히, 1994년 이후 그 상승폭은 크다. 태풍의 세기는 최저해면기압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남해를 통과하면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의 최저해면기압의 변화를 살펴보면, 197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6년 이래 10년간(1996-2005년)의 평균 최저 해면기압은 979.2hPa로, 1970년대 10년간(1970-1979년)의 평균 최저해면기압 989.3hPa보다 10.1Pa이나 낮다. 상관분석에 의하여, 1970년 이후의 태풍 세기 강화는 남해 해수면온도의 상승과 상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생태계의 장기 변동 (Long Term Changes Pattern in Marine Ecosystem of Korean Waters)

  • ;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198
    • /
    • 2012
  • 겨울철 해표면 수온 및 한국 주변역 생태계의 장기 변화 특성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후 및 해양환경의 변화와 동반된 어획강도의 변화는 1970 년대 이후 어획량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한국 주변역의 겨울철 SST는 1980년대 후반 기후체제변환 시점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저수온에서 고수온으로 변화되었다. 평균영양단계(MTL)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하위영양단계 어류의 어획량 증가가 중요 변수로 작용하였다. 통합생태계 기반 자원평가 방법중 한가지인 FIB 지수는 1970년 초부터 1970년 후반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중간영양단계에 위치하는 멸치와 정어리의 개체수 변화는 1970년대 초 이후 MTL 변화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였다.

1970년대 한국의 이상적 여성상과 패션 (Ideal Image and Fashion of Korean Women in the 1970s)

  • 이하나;이예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1-655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ideal image and fashion of Korean women in the 1970s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used information on the 1970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provided by "Chosun Ilbo" and "Yosungjungang" as well as their presentation of the ideal image and fashion for Korean women in the 1970s. The ideal image and fashion of women we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Hamilton's Meta-theory. The ideal image of women in the 1970s i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 image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perspective was prevalent and restricted the lives of women to housekeeping chores. On the contrary, women have increasingly participated in society vis-$\grave{a}$-vis educ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to present a progressive image of women. These aspects coexisted during the turmoil of social change. Progressive women had money to buy clothes because they were economically independent. These women embraced styles that included mini, midi, maxi, and bell-bottom pants. Further, pants were developed into different styles such as pant suits. T-shirts and blue jeans as casual wear were very popular among the youth. At the end of the 1970s, the tailored look and the big look (which copied men's clothing) were in fashion. Masculine styles such as wide shoulders with pads and neckties strengthened gender equality. Other fashions were dominated by feminine styles described as beautiful, sweet, and elegant that reflected Korean society's tendency to regard women as sex objects. Clothing that exposed the body highlights this sexual objectification aspect. Women wore miniskirts, hot pants, and bikinis because they wanted to enhance their sex appeal, propagating the view of women as sex objects. In conclusion, all aspects of society and culture were closely interrelated with a fashion style that reflected the values of those aspects.

1970년대 한국상업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mmercial Interior Design in 1970's)

  • 문숙현;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50-157
    • /
    • 2009
  • In the 1970's the Interior Design Associations was established and the activity of youth designers who were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nterior designers" were created.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mmercial interior design in the 1970's. The design methods include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actual proof research conducted. The frames of analysis were made by the background theories about Korean interior design, and the annual case studies were analyzed and estimated according to the design types. The design types were analyzed by the geometrical simplicity research, the romantic emotional expression, the Korean identity expression, the machine technical asthetic expression and the eclectic style with western classics. In the early 1970's, the abstract, brief, and simple expression were presented most frequently by the geometrical form and the repetition of the pattern. From the mid-1970's the romantic and emotional atmosphere of the youth culture that was popular at that time were expressed as vernacular design by the rough finishing of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plaster, brick, and wood floorings etc. The space such as a Korean food restaurant relates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ims to be different through the expression by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urniture, and materials. In the late 1970's the metals and glass were used for the expression of the machine aesthetic form but was not popular because of the rare application. The type that revived the past western traditional form was presented by using the arch, dome, and the curved and luxurious moldings.

문화재 불법 거래 방지에 관한 1970년 유네스코 협약의 국내법적 이행 검토 (1970 UNESCO Convention on the Illicit Trafficking of Cultural Property and its Legal Implement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지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274-291
    • /
    • 2020
  • 「문화재의 불법적인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의 금지와 예방수단에 관한 협약」(이하 '1970년 협약')이 유네스코에서 채택된 지 올해로 50주년을 맞았다. 한국은 지난 1983년 협약에 가입한 이래 「문화재보호법」을 통해 국내적으로 협약 당사국의 주요 의무를 이행해 왔다. 이는 한국이 최근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이나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 등 다른 유산 관련 유네스코 협약의 이행을 위해 특별법을 도입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아울러 「1970년 협약」이 지난 2015년 새롭게 「운영지침」을 채택하며 협약의 구체적 이행을 위해 계속 발전하고 있는 점은 한국의 「1970년 협약」에 대한 국내법적 대응의 현재를 평가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검토하는 시의성을 제공해 주었다. 「문화재보호법」은 「1970년 협약」이 부과하는 당사국 의무 사항을 전반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다. 문화재 반출증명서 도입이나 불법 반출 문화재 취득 금지를 위한 국내 입법적 조치, 타 당사국의 요청에 따른 문화재 회수 및 반환, 관련 불법 행위에 대한 형법적·행정적 제재 부과 등 협약이 요구하는 주요 조치를 잘 포함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의 협약 이행사례는 2019년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우수 사례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문화재 불법 거래 시장의 변화와 관련 국제 법제도의 발전은 「1970년 협약」의 국내법적 이행에 여전히 개선점이 존재함을 보여 준다. 특히 협약의 「운영지침」은 두 가지 측면에서 당사국에 관련 법제도의 개선을 협약보다 한 발 더 나아가 권고하고 있는데, 「문화재의 도난 및 불법 반출에 관한 유니드로와 협약」의 선의 취득자를 판단하기 위한 '상당한 주의'에 대한 구체적 조항 참고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된 인터넷을 통한 문화재 불법 거래 대응이 그것이다. 향후 이러한 내용의 적절한 반영을 위해 「문화재보호법」과 관계 법령의 개정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 계기에 협약 이행의 국제 협력 촉진을 위한 구체적 조문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문화재 불법 거래 및 환수와 관련된 국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법적 협력에 한국이 더욱 활발히 동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