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장행동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여중고생의 혁신과 또래압력이 색조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on Color Make-up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남헌일;송기유;이재의
    • CRM연구
    • /
    • 제3권2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상 획일적인 유행현상으로 인한 동조소비나 독특한 집단문화의 확산 등을 볼 때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서도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 영향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들의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준거집단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화장행동의 고도화 및 일탈행동으로 이어지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색조화장을 하는 정도와 동료 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총 29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혁신과 또래압력 수용정도에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또래압력에 부(-) 영향관계를 예측하였으나, 정(+)의 관계를 나타내 또래집단의 특성상 자신에 대한 확신이 높다하더라도 집단에 동조하는 등의 여중고생의 심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은 혁신과 또래압력정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이 높은 타인의 눈에 쉽게 인식되는 정도이더라도 새로움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가시성은 또래압력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또래집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혁신과 또래압력이 화장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행동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혁신보다는 동료 압력에 의한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나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은 또래 압력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의 고도화는 화장만족과 일탈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 교복변형, 헤어스타일, 화장을 중심으로 -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tar-Entertainer Imitation - School Uniform Modification, Hairstyle, and Makeup -)

  • 최나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5-189
    • /
    • 2012
  •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즉, 교복 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에 거주하는 여자고등학생 379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북지역 여고생들은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적극적 수행형, 심리적 욕구형, 연예인 호감형으로 분류되었다. 연예인 모방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던 적극적 수행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드라마속 연예인이 입고 나오는 교복스타일을 따라해 보고 싶어하고, 연예인 교복스타일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있는 등 연예인 교복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최신 유행헤어스타일을 인식하고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선호하는 등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매일 기초화장을 하고, 화장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등 화장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예인 모방 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낮았던 연예인 호감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바람직한 매스미디어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교사들은 청소년들에게 합리적인 모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의생활지도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여대생들의 화장행동과 의복행동 간의 요인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Factor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College Girl Students' Make-up and Clothing Behaviors)

  • 박미향;박옥련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19-5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factor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college girls' make-up and cloth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Make-up behavior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whether doing make-up or not, motives of initiating make-up, sources of make-up information and references and expenses for cosmetics purchase. 2.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make-up behavior and the sense of comfort. In clothing behavior,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aesthetic sense and fashionableness. In make-up behavior, however, those college students who were more aware of others and considered make-up more important as a means of skin care and self-change regarded aesthetic sense, one of the sub-factors of clothing behavior, as most important.

  • PDF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 유형에 따른 화장행동 및 구매행동 (Cosmetics Behavior and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Female Cosmetics Consumer' Shopping Propensity Typology)

  • 박은희;구양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28-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typology, cosmetics behavior, and purchasing behavior of female cosmetics consume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55 famale consumers living in Deagu and Kyungboo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X^2$-test, ANOVA, and Duncan-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typologies of fe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uch as economic, band loyalty, passive, and impulse display shopping.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was related to the sub-variables of cosmetics behavior.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groups showed different all the sub-variables of cosmetics behavior factors. Cosmetics shopping propensity groups showed connected with the sub-variables of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factors.

성인여성의 의복가치관과 화장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othing Value and Make-up Behavior of Women)

  • 최수경;강경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5-405
    • /
    • 2007
  • The women selected by random sampling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body cathexis and Make-up attitude in order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lothing Value and Make-up behavior. The result are as follows. Cluster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positive congruity(G1), positive incongruity(G2), negative congruity(G3), negative incongruity(G4). Four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each other between the peculiarity of Clothing value and Make-up behavior. Make-up behaviors were different at the peculiarity of minutely divided groups under the standard of physical satisfaction and Make-up attitude, and they showed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value affected to each behavior. So it was testified that Make-up behavior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lue of respective persons.

화장추구이미지에 따른 화장행동의 차이 (Make-up Behavior Differences Depending on Make-up Preference Image)

  • 이현정;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00-8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make-up behavior influenced by make-up preference images, and the order of importance in the make-up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the ages between $20\sim4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uring October 2004.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0.0 software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ANOVA test, Duncan test and Paired t-test. The make-up behaviors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facial make-up behavior, color make-up behavior, and additional make-up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kin care behavior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other make-up behaviors. Generally facial make-up was thought to be most important and color make-up, and additional make-up were followed orderly. The results of the make-up behavior differences by make-up preference image. The natural make-up preference image group considered all the make-up behavior less important than other make-up preference image groups. The modern make-up preference image group considered additional make-up behavior more important.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up attitude, Self-esteem, and Body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 정미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5-45
    • /
    • 2007
  • 본 연구는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여대생 35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장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 사회성 추구, 매력성 추구, 유행성 추구의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이 설명한 총 변량은 59%였다. 둘째, 화장태도의 5가지 요인과 4가지 의복행동(심미성, 과시성, 성적매력, 심리적 의존성)간에는 모두 유의적인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의복의 과시성과, 신체만족도는 의복의 성적매력과 유의적인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의복의 성적매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자아존중감과 화장태도의 3가지 요인(심미성 추구, 매력성 추구, 유행성 추구)이었고, 의복의 심미성과 심리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친 것은 모두 화장태도의 4가지 요인(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 사회성 추구, 유행성 추구)이었으며, 의복의 과시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자아존중감과 화장태도의 2가지 요인(자신감 추구, 심미성 추구)이었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의복의 과시성과 성적매력이 높았으며,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의복의 성적매력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유행선도력과 외모관심도에 따른 추구혜택 및 화장행동 비교 (Comparison of benefit sought and makeup behaviors based on fashion leadership and appearance interest)

  • 배은정;성희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4호
    • /
    • pp.107-123
    • /
    • 2013
  • This study identified market segments by fashion leadership and appearance interest and compared each group in clothing benefits and makeup benefits pursued as well as makeup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30 women during September, 2012, and a total of 302 surveys were analyzed. About 46.5% was in their twenties, and more than 39% was students and 35.4% was office worker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and appearance interest,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fashion leader group, appearance interest group, and uninterested group. Second, uninterested group showed the oldest average age among three groups. Fashion leader group showed the higher proportion of students and professional. Third, fashion leader group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self-esteem, while uninterested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Fourth, fashion leader group pursued attractive body image, social benefit, and individuality for clothing benefits, while uninterested group valued convenience. Fifth, with respect to makeup benefits pursued, fashion leader group presented a high level of esthetic, self-confidence, and functional pursuit, whereas uninterested group showed the opposite. Sixth, respondents tended to depend on internet most as cosmetic information sources, followed by family/friends, and magazine in order. Implications for cosmetic busines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