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기성 미생물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3초

수산물 가공폐수의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염분농도의 영향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he Aerobic Biodegradability of Sea Food Wastewater)

  • 최용범;권재혁;임재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63
    • /
    • 2010
  • 본 논문은 염분농도가 호기성 생분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수산물 가중 폐수 처리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농도(1,400~18,000 mg/L)에 따른 유기물 제거효율 검토결과, $Cl^-$ 6,000 mg/L 이하에서 미생물들은 염분에 적응하였으나 $Cl^-$ 12,000 mg/L 이상에서는 반응시간이 길어져도 처리효율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학적 분해불가능한 용존성 유기물 함유계수 $Y_I$와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계수 Yp는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Cl^-$ 농도(0~18,000 mg/L)에 따른 용존성 유기물 비율은 10.8~13.1%로, 미생물 신진대사에 의한 inert 물질 생성비율은 7.0~24.6%로 조사되었다. $NH_3$-N 제거효율은, 원폐수는 HRT 18 hr에서 96.2%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나, $Cl^-$ 6,000 mg/L, HRT 22 hr에서 96.5%, $Cl^-$ 12,000 mg/L, HRT 30 hr에서 90.2%, $Cl^-$ 18,000 mg/L, HRT 45 hr에서 90.3%의 제거효율을 나타내, 질산화 과정이 유기물 제거 보다 염분농도에 더 민감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폐수내 $Cl^-$ 6,000 mg/L 이상부터는 $NO_2$-N에서 $NO_3$-N로의 전환율도 낮게 조사되었다.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 조준일;하상도;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55-360
    • /
    • 2004
  • 시판중인 딸기의 미생물에 대한 잔류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 잔류 미생물들을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 그리고 효모/곰팡이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총호기성균은 약 8 log CFU/g, 대장균군은 약 2 log CFU/g, 그리고 유산균은 약 3 log CFU/g 정도씩 각각 검출되었다. 그리고 대장균과 효모/곰팡이는 검출한계(< 10 cells/g)미만에서 불검출되었다. 그리고 model system으로서 딸기 paste를 제조하여 7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온도, 보존제, 딸기 paste의 pH 등 3가지 hurdle들이 딸기에 잔류하는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그리고 유산균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딸기 paste의 저장온도는 저온($4^{\circ}C$), 상온($20^{\circ}C$), 그리고 고온($37^{\circ}C$)을 선정하였고, 보존제는 0.1% potassium sorbate를 사용하였으며, 딸기 paste의 pH는 4와 7로 조정하였다. 이들 3가지 hurdle별 딸기 paste의 저장기간 중 잔류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저장온도 >pH> potassium sorbate 첨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hurdle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딸기 paste의 pH를 4로 하여 potassium sorbate를 0.1% 첨가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딸기 중 잔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 (Analyse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ubution Stage of Tomato and Evaluation of Microbial Growth in Tomato Extract)

  • 윤혜정;박경훈;류경열;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위해 미생물 오염도 정도를 파악하고 유통과정 중 외부 손상으로 인해 과즙 유출시 미생물의 증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을 토마토 추출물 함량(0.1, 1.0, 10%) 및 다양한 배양온도(5, 15, 25, $3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수확단계에서는 APC 작업 종사자의 장갑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7.77 lo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양 양액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가 각각 0.33 log 검출되었다. 수확 후 처리과정으로 APC 과정을 거친 토마토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S. aureus, Salmonella spp. 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배방법에 따른 일반, 유기농, 무기농 토마토에서의 미생물 분포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포장 방법 중 봉지 포장제품이 박스 포장제품에 비해 대장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척에 의한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 추출물 함량이 높을수록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토마토 추출물 10%인 경우 $5^{\circ}C$ 조건에서 가장 낮았고, 15, 25, $35^{\circ}C$에서 72시간 배양시 각각 7.33~8.51, 7.73~8.60 log CFU/g으로 증식하였다.

가스치환포장과 감마선조사 병용 처리한 최소가공 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White Radish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mbined with Irradiation Treatment)

  • 김재경;조철훈;김현주;이주운;황한준;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4
    • /
    • 2005
  • 최소가공 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가스치환포장과 감마선 조사를 병용 처리하여 4에서 2주간 저장하면서 일반 호기성 미생물, 대장균군, 젖산균 및 pH의 변화를 각각 조사하였다.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장기간과 포장 방법에 관계없이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처리 당일의 경우 2kGy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 $CO_{2}$$CO_{2}/N_{2}$ 포장구가 함기 포장구 보다 유의하게 미생물을 감소하였다. 대장균군 역시 저장기간과 포장 방법에 관계없이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젖산균도 저장기간과 포장 방법에 관계없이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줄어들었다. pH의 변화에 있어서는 감마선 조사와 포장방법에 의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가스치환포장을 하였을 때 pH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pH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최소가공 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2kGy의 감마선 조사와 가스치환포장의 병용처리가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 오염도평가 및 방사선 살균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and Radiation Sterilization in Disposable Kitchen Utensil)

  • 김진희;임상용;송현파;김병근;정진우;윤혜정;변명우;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22
    • /
    • 2005
  •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7개 제품군, 총 51종의 일회용 주방용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와 함께 오염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감마선 살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곰팡이 Salmonella의 오염도 평가 결과, 대장균군과 Salmonella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호기성 세균은 전체 시료의 약$50\%$에서 $10^1{\sim}10^2\;CFU/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어 일회용 주방용품의 위생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일회용 주방용품에 오염된 미생물의 감마선 살균 결과 3 kGy의 조사선량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장내미생물로부터 황산전이효소 생산균의 분리

  • 김동현;김병택;현성혜;김형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23-23
    • /
    • 1992
  • 횐 쥐에서 sulfotransferase 양성균주를 검색한 결과 호기성 조건보다는 혐기성 조건의 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곁과는 장내미생물의 대부분이 혐기성균이라는 것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검색용 배지에서 형광을 나타내는 Sulfotransferase를 생산하는 4개 균주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k-36균주에 대하여 동정하였다. K-36 균주는 혐기적 및 호기적 양조건에서 잘 자라는 통성혐기성균이고, Gas를 생산하며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 Gram음성의 간균이었다. 이것으로 보아 이균은 Enterobacteriacease의 Klebsiella oxytoca 로 동정했다. K-36에서 분리한 Sulfotransferase의 반응양식은 p-nitrophenylsulfate와 p-nitrophenol이 반응시간과 함께 동량씩 감소하여 반응 생성물인 phenylsulfate와 p-nitrophenol을 생성시켰으며 sulfatase 반응은 진행되지 않았다.

  • PDF

닭 도체의 유기산 처리가 병원성 미생물 감소에 미치는 영향

  • 문상훈;양한술;천세민;정우철;윤창원;박구부;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254-257
    • /
    • 2004
  • 닭 도계가 완료된 도체에 $52^{\circ}C$, 1% lactic acid를 이용하여 분무세척하면 육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총호기성균 뿐만 아니라 대장균, E. coli 및 L. monocytogenes의 감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S. typhimurium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온도를 높이거나 처리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14C]Butachlor를 이용한 호기성 토양대사 시험법 확립 (Establishment Aerobic Soil Metabolism System Using [14C]Butachlor)

  • 김주혜;김종환;김대욱;이봉재;김찬섭;임양빈;서종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8-268
    • /
    • 2014
  • OECD Test guideline 307에 따라 확립한 토양대사 시험법으로, 호기성 토양 조건에서 [$^{14}C$]butachlor의 토양대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토양은 국내 밭토양의 대표적인 토성인 양토였으며, 비멸균 및 멸균토양에 [$^{14}C$]butachlor ($6.83mgKg^{-1}$)을 처리하고 flow-through system에서 60일간 배양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mass balance는 비멸균 토양과 멸균토양에서 각 처리방사능 대비 91.1~95.5%, 93.0~97.7% 수준이었다. 비멸균 토양의 경우 처리 후 60일 경과 시 처리방사능의 8.4%로 감소하였으며, $DT_{50}$$DT_{90}$은 10.4일과 34.6일이었다. 토양 추출액 중 주요대사산물 2-chloro-2',6'-diethylacetanilide이 검출되었다. $^{14}CO_2$ 및 비추출성 토양잔류물은 3.5%와 43.5% 수준이었다. 시험기간 중 멸균 토양 내 [$^{14}C$]butachlor의 분해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butahclor는 호기성 토양에서 미생물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어 주요 대사산물 2-chloro-2',6'-diethylacetanilide와 $CO_2$를 생성하거나 토양에 강하게 흡착되어 비추출성 잔류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OECD guideline TG 307에 확립한 호기성토양대사 시험법은 농약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토양 동태 예측 있어 국내 활용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Stage of Melon

  • Park, Kyeong-Hun;Yun, Hye-Jeong;Kim, Won-Il;Kang, Jun-Won;Millner, Patricia D.;Micallef, Shirley A.;Kim, Byeong-S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15-622
    • /
    • 2013
  • 배단계와 유통단계에서 멜론의 미생물 위해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과 충남 논산에 위치한 멜론 재배지에서 토양과 관개수, 식물체를 채집하였다. 수원시에 위치한 대형마트, 농산물시장, 재래시장으로부터 유통되는 멜론과 시판종자를 채집하여 위생지표세균 3종 (총호기성균, Coliform, E. coli)과 병원성 미생물 4종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 aureus)을 분석하였다. 멜론 재배과정 중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은 각각 0.43~6.65, 0.67~2.91 log CFU $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Bacillus cereus는 익산지역의 토양과 멜론 잎에서 각각 2.95, 0.73 log CFU $g^{-1}$으로 검출되었고, 논산지역의 토양에서 3.16 log CFU $g^{-1}$로 검출되었다. 농산물시장, 대형마트, 전통시장에서 멜론의 총호기성균은 각각 4.82, 3.94와 3.99 log CFU $g^{-1}$로 확인되었다. 유통중인 멜론에서 대장균군은 0.09~0.49 log CFU $g^{-1}$ 범위였으며, 판매장소에 따라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 수준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모든 시료에서 Listeria monocytognes, Salmonells spp., Staphylococcu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멜론 종자의 총호기성균은 0.33~3.34 log CFU $g^{-1}$ 수준이었다. 관개수, 토양, 가축분뇨와 수확후 처리를 포함한 다양한 농업 활동이 미생물오염의 잠재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토양, 물과 농자재에 대한 위생관리와 모니터링이 안전한 멜론 생산을 위하여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호기성환경에서 비소의 지구화학적 거동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 및 오염 복구에의 적용 가능성 (Microbial Effects on Geochemical Behavior of Arsenic under Aresnic under Aerobic Condition and Their Applicability to Environmental Remediation)

  • 이상우;김경웅;이종운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4호
    • /
    • pp.345-354
    • /
    • 2001
  • 높은 함량의 비소로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분리해 낸 토착미생물들이 비소 지구화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rsenite는 arsenate에 비하여 더욱 높은 미생물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Arsenate를 함유한 배양액에 분리된 미생물들을 24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arsenate의 함량이 높을수록 미생물들의 성장은 감소하였으며 150mM 이상의 arsenate 조건에서는 성장이 확연히 중단되었다. 그러나, 동일 배양액에서 4일간에 걸쳐 추가 배양한 결과 미생물들의 성장이 다시 관찰되었으며 이는 미생물들이 비소를 해독하고 성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들의 생화학적 기능을 조절하였음을 의미한다. 분리된 것 중 두 종의 미생물을 arsenate를 함유한 배양액에서 20시간 가량 배양한 결과, arsenate를 arsenite로 환원시켰음이 관찰되었고 이는 해독기제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동일조건의 배양액에서 4일간 추가 배양한 결과 총 용존 비소함량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미생물은 자연조건에서 비소의 화학종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특성은 비소로 오염된 지역의 복구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