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현장답사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ole of MET for Environmental Flow Assesment in Guem River Basin (금강유역의 환경유량 산정을 위한 다학제간 전문가그룹의 역할)

  • Kim, Gee-Hyoung;Kim, Jeon-Kon;Seo, Jin-Won;Park, Sang-Young;Jang, Chang-Lae;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17-621
    • /
    • 2007
  •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지속가능한 하천관리는 과거에 이루어졌던 이수 및 치수중심의 하천관리와 90년대 고조된 자연형 하천관리에서 진일보된 하천관리로써, 전체적인 하천시스템을 고려하여 자연과 인간이 함께 하천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환경유량은 이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하천 시스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환경유량 산정시에는 하천의 특정 분야만 고려했던 과거와는 달리, 이 치수, 어류, 식생, 저서생물 등 하천의 전체시스템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대상 지역의 전체적인 개황을 조사하고 환경유량 산정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영향인자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각 분야의 전문가적 견해가 요구되어진다. 하천에 대한 전체적인 시스템 분석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 될 수 있는데 하천의 유황변화, 하도의 변화, 하천을 중심으로 하는 수생 동식물의 변화, 하천에 설치된 수공구조물의 변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자료의 수집과 연계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천 생태계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환경유량의 파악은 이러한 다양한 분야의 연계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하천특성에 맞는 적절한 환경유량은 손상된 하천 생태계를 회복하는 근간이 될 수 있다. 환경유량의 영향인자를 결정하기 위해 현장답사를 통한 조사 분석이 수행되는데, 지금까지는 특정분야의 특정 전문가가 현장답사를 실시하고 특정 전문가의 견해에서 결과분석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선진국에서는 다학제간 전문가 그룹(Multi-disciplinary Expert Team, MET)을 통해 하천의 전체 생태시스템을 고려하여 환경유량을 산정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환경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다학제간 전문가그룹의 접근방법을 구축하고 하천, 수질, 식생, 어류, 저서생물 등 각 분야별로 국내외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MET를 구성하였다. 환경유량 산정을 위한 금강유역의 현장답사에 있어 MET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현장답사를 통해 금강유역의 전반적인 하천환경을 조사 분석하고 상호간 의견 교환을 통해 도출한 답사결과를 환경유량 산정에 적용하는데 있어 구성된 MET의 기능 및 역할을 현장답사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PDF

ARCHITECTURE TRAVEL - Epilogue of Exploration of Yangdong Village (건축기행 - 양동마을 답사를 마치고…)

  • Kim, Seok-hwan
    • Korean Architects
    • /
    • s.537
    • /
    • pp.94-97
    • /
    • 2014
  • 지난 11월 16일 서울건축사 건축답사 및 사진 동호회(회장 김선양) 행사로 영동마을을 다녀왔다. 2012년 12월 발족한 이 회에서는 두 달에 한 번씩 전국 각지의 전통건축 답사를 진행해오고 있는데 건축 전문가인 회원들이 함께 소중한 건축문화 유산을 돌아보며 그 가치를 살펴보는 유익한 시간을 가져왔다. 이번 답사지는 지난 10월 수원화성 답사 때 필자가 추천하였는데 금번 나의 졸저 "한국전통건축의 좋은느낌"의 개정판 출판을 계기로 현장 설명을 맡기로 하여 적절한 답사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답사도 다녀왔었다.

  • PDF

Trade Area Delimitation Using AMOEBA Technique (AMOEBA 기법을 활용한 상권 경계 탐지)

  • Kwon, Pil;Yu, Ki 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2
    • /
    • pp.11-16
    • /
    • 2015
  • In general, problems of delimitating trading area are that it takes much efforts depending on regions and the results are not scientific due to agencies' own rules and criteria. Especially, areas like Hongik University Station, where countless stores are opening and closing simultaneously, the field survey needs even more time and expenses. Despite of its drawbacks,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field survey is the most credible method in delimitating trading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reducing the field survey when agencies delimitate trade area by maximizing use of previously built GIS database and utilizing spatial analysis.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value and floating population of Gwanak-gu were utilized to delimitate trading areas. For an evaluation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compared to other trading area boundaries.

A Qualitative Analysis on n Geological Field Excursion leaching Model on Tando Coast and Hanyom Area at Shiwha Lake In Kyounggido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 Maeng Seung-Ho;Wee Soo-Mee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1
    • /
    • pp.9-29
    • /
    • 2005
  •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established geological field study instances, this study offered a new geological field excursion teaching model with several steps: unifying question raising. excursion generalization. intensive field direction, searching, primary conclusion, re-searching, group discussion. adjustment, and excursion summarizing. Then by Qualitatively assaying the responses which students showed after applying this teaching model, a concrete teaching plan was sought for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planning to begin geological field excursion classes. Students evaluated very highly on the unifying question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because these items provided a sense of direction and an overall theme for geological excursion in advance. Also. since the students had little to none geological knowledge and field excursion experience, the intensive field direction gave them a lot of help with their field excursion activities. Students thought that coming up with a primary conclusion based on the summary of what they had observed in their activities was original. and highly valued the process of sharing different opinions in group discussions and drawing out a final conclusion.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a friendly atmosphere, by organizing group activities and continuously feedlng them with uniting questions and excursion generalization within the groups. Also they should prepare enough contents for intensive field direction and ways to get their points across. In the process, they should arrange beforehand detailed instructions for every outcome, with the intention of solving the question. Furthermore. teachers should follow carefully how conclusions are drawn. instruct students not to reach conclusions based on mere assumptions, and be aware of misconceptions students have toward geological phenomenon in advance, so that the discussion can be lead in the right direction.

김욱동 지음 "탈춤의 미학"을 읽고

  • Im, Jae-Hae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53
    • /
    • pp.14-14
    • /
    • 1994
  • 오류 하나는 탈춤이 전승되고 연행하는 현장을 보지 않고 채록된 보고서만 텍스트로 삼아서 탈춤의 미학을 밝히겠다는 것이다. 그것은 마치 연극은 보지 않고 희곡만 봐야 연극미학을 제대로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오류 둘은 현장론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다만 현장답사가 곧 현장론이라는 인식의 착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