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향수제품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향수제품 디자인을 위한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427-439
    • /
    • 2008
  • 향수제품의 향에 적합한 색을 향수병과 포장지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향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약 200여개 향수병의 색을 분석하여 향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색채 디자인 패턴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향과 색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향수병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피실험자들에게 세 가지 향수제품의 향을 맡은 후 연상되는 색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향수제품 모두 차별화된 색상(hue) 대응이 이루어졌고, 선정된 색상은 실제 향수병의 색상과 상당히 유사한 색상 영역에 분포하였다. 또한 향수제품의 세 가지 향 노트(상향, 중향, 하향)에 따라 연상되는 색의 현저한 톤(tone) 변화를 발견하였다. 위의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향수제품에 있어 향과 색 간의 뚜렷한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향수의 이미지 특성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The Laration of Image Characteristics of Perfume on Loyalty)

  • 안채윤;장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62-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향수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향수제품이 가지고 있는 제품 품질 및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변수로서 향수제품이 갖는 이미지 특성이 소비자가 느끼는 향수제품의 품질과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감성적 도구로서의 향수가 아닌 향수제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고 향수제품의 개발과 판매를 위한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향수의 이미지 특성 중 상쾌성과 현대성은 향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성과 낭만성은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향수의 이미지 특성을 통한 소비자의 품질지각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갖는 향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고 향수를 구매하던 과거의 행동과는 다르게 품질에 중점을 두고 제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수를 제조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과거 파워 브랜드에 의존하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제품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지각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향수 관여수준별 향수 소비행동 및 향기감성태도에 관한 연구 (Perfume Consumption Behaviors and Fragrance Sensibility Attitude according to Perfume Involvement Levels)

  • 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6-4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향수 관여수준에 따른 향수 제품의 사용 및 구매행동과 가장 선호하는 향수 제품에 대한 향기감성태도를 고찰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에서 가장 핵심적인 향수 소비자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20-24세 여성인 241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로 향수 제품 사용 및 구매행동과 향기감성태도의 일부 항목에 있어 향수 관여수준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향수 관여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향수제품 소유개수, 사용빈도, 구매액이 더 많았으며, 향수 전문점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수 고관여 집단은 타인에게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향수 시향 테스트를 더 중요한 정보원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여대생들은 유쾌하며 젊은 감성의 향수 향기를 가장 선호하고 자극적이며 강한 향을 좋아하지 않았는데, 특히 고관여 집단은 저관여 집단에 비하여 도회적이고 현대적인 향기감성이 느껴지는 향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수 제품개발과 마케팅을 위한 제안점들이 제시되었다.

향수광고의 언어적 의미 고정수준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향수의 친숙성과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Verbal Anchoring in the Nostalgia Ads -The Moderating Role of Nostalgia Familiarity, product type-)

  • 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7-88
    • /
    • 2018
  • 본 연구는 향수광고의 의미고정 수준(저/고/비)에 따른 효과와 그리고 향수에 대한 친숙성(비 친숙/친숙)과 제품유형(감성적/이성적)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떠한 조절역할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대학생 219명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의미고정 수준에 따른 주 효과는 향수의 유무와 관계없이 의미고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광고에 대한 선호도나 구매의도에 대해 더욱 호의적으로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향수광고의 의미고정 수준에 대한 조절효과는 향수의 친숙성과 제품유형 모두 구매의도와 광고 선호도에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선호도의 경우 의미고정 수준이 낮은 경우 친 숙집단과 비 친숙집단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구매의도의 경우에는 의미고정의 수준이 낮은 경우와 의미고정의 수준이 없을 경우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감정적 반응에 대한 심미적 요소의 영향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Emotional Responses to Perfume Bottle Design)

  • 양종열;홍정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29-140
    • /
    • 1999
  • 제품 심미성은 디자인 조사뿐만 아니라 제품 디자인에 대한 중요한 전략적 도구라는 것을 의심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놀랍게도 디자인 문헌에서는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 할 것인가 소비자 반응에 대한 그 영향을 어떻게 측정 할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이 연구는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에 대한 제품 디자인의 심미적 요소의 영향을 탐색한다. 특히 특정 제품군(향수병)의 심미적 차원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적 척도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향수 제품에 국한되었다 할지라도 다른 다양한 제품 디자인 및 packaging과 같은 분야의 심미성 역할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향수제품 소비 및 구매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Perfume Consumption and Purchase Behaviors)

  • 여은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77-19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nsumer behavior of perfume produc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7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3 female consumers whose ages ranged between the 20's and 40's. According to analysis of groups divided by age and frequency of use, some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information source, purchase place, consideration factors, fragrance preference, etc.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perfume consumption behaviors could be explained in part by the innovation adoption and communication theories. Especially,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observability, and trialability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adoption of new perfume. Also, many respondents used perfume as a tool to present their own image and identity, as well as to send messages regarding their mood and condition to others.

MANAGEMENT TREND -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프리미엄

  • 이윤하
    • 시멘트
    • /
    • 통권193호
    • /
    • pp.24-27
    • /
    • 2012
  • 시대가 디지털화 되어감에 따라서 아날로그에 대한 고객들의 향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아날로그 제품은 차별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프리미엄화에 성공하고 있다. 고객 가치 발굴 프로세스 안에서 최근 디지털의 트렌드 뿐 아니라 아날로그 시절의 감성을 결합해 본다면 고객들에게 더 의미 있는 가치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색상과 톤에 의한 향 연상 강도 평가 (Degree-of-Association Judgments of Fragrances with Color Hues and Tones)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59-572
    • /
    • 2010
  • 색은 중요한 시각적 자극 요인으로서 향 연상과 식별에 있어 교차-양상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향의 연상이 색상과 톤에 의해 체계적으로 변화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 측면을 좀더 심층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67명의 피실험자들은 33가지의 색채 자극(10가지 색상, 3가지 톤, 3가지 무채색)에 대한 4가지 전형적인 향수 유형(프레쉬, 플로럴, 오리엔탈, 우디)의 연상 정도를 각각 7점 척도로 평가 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4가지 향수의 연상 정도가 색채 자극의 10가지 색상에 따라 차별화된 패턴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리엔탈 유형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향에 있어서, 톤(특히, 밝기)과 향간의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체계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예를 들어, 플러럴 향과 색의 밝기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밝은 난색일수록 강한 플러럴향이 연상되는 반면, 우디향의 연상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선명하거나 밝은 한색일수록 프레쉬향이 강하게 연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수제품에 있어 시각과 후각간의 체계적인 공감각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순위기반 컨조인트분석에서 선호도측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 (New Method for Preference Measurement in Ranking-based Conjoint Analysis)

  • 김부용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2호
    • /
    • pp.185-195
    • /
    • 2014
  • 순위기반 컨조인트분석은 마케팅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분석기법은 다른 기법들에 비하여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응답자들이 다수의 제품프로파일들에 대한 선호도 순위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위집합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선호도 측정방법을 제안한다. 응답자에게 순위집합들에 포함된 소수의 프로파일들에 대한 선호도를 순위로 평가하게 한 후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프로파일 전체에 대한 순위를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응답자가 프로파일들에 대한 선호도 순위를 매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선호도 순위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프로파일을 수용할 수 있는 순위집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균형불완비블록설계를 확장하여 쌍체설계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측정방법을 채택한 순위기반 컨조인트분석을 여성용 향수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분석에 실제로 적용하였다.

향기 감성 요인에 향수 제품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구매 수준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 of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on Attitude toward and Buying Intention of Perfume Products - Focusing on Age and Purchase Level Group Comparisons -)

  • 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72-78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fragrance sensibility responses as well as to explore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 and buying intention of perfume products. For data collection, smell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seven groups of 34 female consumers who are aged from the 20's to 40'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results, five factors (pleasant, romantic, stimulating, modem, familiar factors) were gener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of 24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These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significantly affected both attitude toward and buying intention of perfume products. Pleasant, romantic and familiar factor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while the stimulating factor affected only buying intention. Fragrance sensibility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and buying intention of perfume products differed in terms of age and purchase level of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