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aration of Image Characteristics of Perfume on Loyalty

향수의 이미지 특성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 안채윤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 장성호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Received : 2018.05.23
  • Accepted : 2018.07.20
  • Published : 2018.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duct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on purchase intention, and, as an antecedent,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effect of image characteristics of a perfume on the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perceived by consumers, in order to study consumer behaviors towards perfume as a product and find issues related to development and sales of perfumes. The result shows that refreshingness and modernity influenc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while stimulation and romantic quality did not have an effect. Also, th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had 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ith the former being more influential than the la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aspects: First, it is an empirical study of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Second, it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perceived quality is more influential than perceived value on perfum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s today, unlike consumers in the past who purchased perfume based on the brand, focus on quality when choosing a perfume. This study can help perfume companies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consumers perceive good quality of the product rather than relying on brand power.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향수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향수제품이 가지고 있는 제품 품질 및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변수로서 향수제품이 갖는 이미지 특성이 소비자가 느끼는 향수제품의 품질과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감성적 도구로서의 향수가 아닌 향수제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고 향수제품의 개발과 판매를 위한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향수의 이미지 특성 중 상쾌성과 현대성은 향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성과 낭만성은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시사하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향수의 이미지 특성을 통한 소비자의 품질지각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갖는 향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고 향수를 구매하던 과거의 행동과는 다르게 품질에 중점을 두고 제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수를 제조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과거 파워 브랜드에 의존하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제품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지각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상길, 향료와 향수, 신광출판사, 2007.
  2. Patrick Suskind, 향수, 열린책들, 2000.
  3. 우혜련, 향수 구매 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 김봉연, 향수 소비자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정인선, 향수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 R. F. Bone and P. S. Ellen, "Scents in the marketplace: Explaining a fraction of olfaction," Journal of Retailing, Vol.75, No.2, pp.243-262, 1999. https://doi.org/10.1016/S0022-4359(99)00007-X
  7. 여은아, 향기 감성 요인이 향수 제품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05.
  8. 아모레, 향료란 무엇인가?, www.amore.co.kr, 2000.
  9. 김경현, 유리 향수용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김미나, 향수의 사용실태 및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1. Forbes Korea, 향기가 제품 성패를 가른다, 2005.
  12. W. Lippman, Public Opinion, New York: Macmillan, 1962.
  13. 류병익, 한국경찰의 이미지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K. E. Boulding, "The image: Knowledge on the Life and Society," MI: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5.
  15. 장현갑, 힐가드와 앤킨슨의 심리학 원론, 박학사, 2004.
  16. 손진훈, 박미경, 이배환, 민병찬, 향 감성평가 척도개발 및 향 감성구조 분석, 한국감성과학회지, 제5권, 2002.
  17. Y. Sugawara, Y. Hino, M. Kawasaki, C. Hara, K. Tamura, N. Sugimoto, Y. Yamanishi, M. Miyauchi, T. Masujima, and T. Aoki, "Alteraion of percieved fragrance of essential oils in relation to type of work: a simple screening test for efficacy of aroma," Chemical Senses, Vol.24, pp.415-412, 1999. https://doi.org/10.1093/chemse/24.4.415
  18. 강인형, 민병찬, 전광진, 김철중, "연령증가에 따른 향의 평가," 감성과학, 제5권, 제2호, pp.1-9, 2002.
  19. 최호림, 브랜드 외재적 속성이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 및 지각된 위험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0. D. A. Garvin, "Computing on the eight dimensions of quality," Harvard Business Review, Vol.65, No.6, pp.101-109, 1997.
  21. James R. Bettman and C. Whan Park, "Effects of prior knowledge & experience &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7(Dec), pp.234-248, 1980. https://doi.org/10.1086/208812
  22. Chruchill and Surprenant, "An investigation into the determinants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9, No.11, pp.491-504, 1982. https://doi.org/10.2307/3151722
  23. Zeitham, "Consumer perceptions of quality, and value: A means- end model and synt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Vol.52(July), pp.2-22, 1988. https://doi.org/10.2307/1251446
  24. 서희정, 프로축구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5. B. N. Donthu Yoo and S. Lee,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s and brand equity,"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2, pp.195-211, 2000. https://doi.org/10.1177/0092070300282002
  26. 안주아, "소비자에 근거한 브랜드 자산 측정의 타당성 검증," 광고학연구, Vol.14, No.2, pp.253-278, 2003.
  27.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4rd ed.), New York: The Free Press, 1991.
  28. 박강수, 김형순, 김영태, 호텔, 외식, 관광마케팅, 석정, p.323, 2000.
  29. 정광현, 레스토랑 속성평가, 지각된 가격, 가치와 만족 및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0. B. Gale, Management customer value: Creating quality and service, 1994.
  31. H. M. Oh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alue: A Holistic Perspective," Hospitality Management, Vol.18, pp.67-82, 1999. https://doi.org/10.1016/S0278-4319(98)00047-4
  32. 권지현, 호텔 커피숍 이용객 선택속성이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3. R. B. Woodruff and S. F. Gardial, Know your customer: New approaches to understanding customer value and satisfaction,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Inc, 1996.
  34. 서헌, 관여에 따른 카지노 이용객의 지각도니 가치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5. 김효진, 웰빙사회의 소비자 특성과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지각된 가치, 브랜드선호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6.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pp.1-22, 1993.
  37. Richard L. Oliver, "Whence Consumer Loyalty?," Joumal of Marketing, Vol.63(Special Issue), pp.33-44, 1999.
  38. 이유재, "고객만족 형성과정의 제품과 서비스간 차이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8권, 제1호, pp.101-108, 1997.
  39. 박현희, 구양숙,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동기가 화장품 속성 평가와 브랜드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7-20, 2009.
  40. S. Fournier, "Consumer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4, No.4, pp.343-373, 1998. https://doi.org/10.1086/209515
  41. S. A. Taylor and T. L. Baker,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Vol.70, No.2, pp.163-178, 1994. https://doi.org/10.1016/0022-4359(94)90013-2
  42. 이희승, 김숙자, "가격과 상표가 의복의 지각된 품질가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제24권, 제4호, pp.498-509, 2000.
  43. 강선아, 항공사 브랜드 자산과 브랜드 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4. 김승연,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5. 최수경, 추미선, 여성소비자의 선호의복이미지가 선호향수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2.
  46. D. V. Smith and C. W. Park,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 on market share and advertising efficiency," Journal or Marketing, Vol.25(Oct), pp.47-51, 1992.
  47. 오명권, 서비스 지향성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 직무안정성 . 조직몰입 .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T.G. I. Friday's 패밀리레스토랑 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8. 박동균, 호텔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가치, 만족, 애호도,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49. 황진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졸업논문, 2003.
  50. N. J. Bitner,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c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ing, Vol.54, No.2, pp.69-82, 1990. https://doi.org/10.2307/1251871
  51. 고동우, 2002 한.일 월드컵 스폰서십 활동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52. 구자룡, 소비자-브랜드 관계 유형별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3. 원구현,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의 재정립, 한국마케팅저널, 제5권, 제3호, pp.80-105, 2003.
  54. 이영욱,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온라인 금융서비스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5. 이명식, 최선규,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재구매 의사나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제5권, 제3호, pp.1-34, 2003.
  56. R. B. Woodruff,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edg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5, No.2, pp.139-153, 1997. https://doi.org/10.1007/BF02894350
  57. T. Z. Chang and A. R. Wildt, "Pric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2, pp.16-27, 1994.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1002
  58. D. P. Grisaffe and A. Kumar,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ustomer value: Testing an expanded framework," Marketing Institute Working Paper, pp.98-107, 1998.
  59. 금연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위험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