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핵심증상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4초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에 대한 아리피프라졸 및 부프로피온 부가요법의 우울증 세부증상에 대한 효과 비교 : 다기관, 개방표지, 무작위 연구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djunctive Aripiprazole versus Bupropion Uses to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on the Specific Symptom of Depression : A post-hoc, Multi-Center, Open-Label, Randomized Study)

  • 이가원;이광헌;박영우;이종훈;구본훈;이승재;성형모;천은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6-73
    • /
    • 2017
  • 우울증은 높은 유병률을 가지며 심각하고 만성화 될 수 있는 질병이다. 환자가 증상 없이 기능적 회복이 되어 일상을 영위하기 위해 임상가는 단독요법 이상의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SSRI와 aripiprazole 또는 bupropion 부가 요법은 우울증의 증상 호전을 보였다. SSRI와 aripiprazole 부가 요법은 우울증의 전반적 점수의 호전뿐 아니라 세부척도의 핵심 증상에서 bupropion 병합 요법에 비해 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두 약제 모두 핵심 우울증상이라 할 수 있는 개별증상(우울한 기분, 일과 활동, 정신적 불안)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마취통증의학분야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2007-2011 (Bibliometric Analysis on Anesthesiology Research, 2007-2011)

  • 박미연;서은경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151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마취통증의학분야의 핵심 학술잡지 4권을 선정하여 최근 5년(2007-2011)동안 발표된 논문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취통증의학분야의 핵심 학술잡지의 특성과 저자의 생산성, 핵심 주제어, 핵심주제어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년에 8.4편을 발표한 연구자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고, 핵심주제어는 마취제 종류와 마취방법, 그리고 이에 관련된 증상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Measurement and Treatment of Abnormalities of Medial and Lateral Rotation of Upper Limb in Shoulder

  • Shin, Kwang-Seong;Eum, Kyeong-Bae;Shin, Seong-Y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9-115
    • /
    • 2020
  • 어깨는 인간의 몸통과 양팔을 연결하는 부위를 말하며, 양팔을 움직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양손을 머리의 뒤쪽으로 보내거나 우리 몸으로부터 멀리 보내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어깨에서 팔의 안쪽 돌림과 가쪽 돌림에 대하여 각도를 측정하고, 이상 유무와 관련된 증상을 파악하며,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까지 제시하도록 한다. 어깨에서 팔의 안쪽돌림과 가쪽 돌림의 각도는 70°~90°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각도가 이에 못 미치거나 통증을 느끼면 어깨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또한 일반인 남녀 각각 5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이상이 있는 환자를 판별하였다.

남성 노인의 전립선 증상,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state symptom,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 신경림;강윤희;신미경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41-105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전립선 증상 정도와 그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전립선 증상과 삶의 질,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2단계 BK(Brain Korea)21 핵심 사업팀에 의해 구축된 노인 건강 통합 DB의 65세 이상 남 여 노인 230명 중 남성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남성 전립선 증상 측정도구(IPPS), 수면 질 측정 도구(PSQI)와 삶의 질 측정 도구(SF-36-K)이었다. 각 도구의 해석은 점수가 높을수록 전립선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 정도가 낮고, 5점 이상은 수면이 방해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삶의 질 측정 도구에서는 각 건강 상태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전립선 증상, 유형, 수면의 질과 삶의 질 정도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전립선 증상과 수면의 질, 삶의 질과의 관계 파악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1.44세였으며 대상자의 전립선 증상은 35점 만점에 평균 8.01(${\pm}7.91$)점이었고, 중등도 이상의 대상자가 연구 대상자의 44%를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21점 만점에 평균 4.20(${\pm}2.25$)점으로 나타났으며 수면 하부 영역별로는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재기, 수면 기간, 수면방해, 낮 동안 기능장애, 수면제사용, 수면 효율성 순으로 영역별 수면의 질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립선 증상과 수면의 질(r=.272, p=.006)은 전립선 증상이 심할수록 수면이 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립선 증상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수면 하부 영역인 주관적 수면의 질(r=.237, p=.017)과 수면 방해 영역(r=.269, p=.007)별 관계있는 세부 전립선 증상으로는 각각, 긴급뇨, 세뇨, 야뇨; 잔뇨, 간헐적 뇨, 긴급뇨, 야뇨이었다. 전립선 증상과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r=-.197, p=.049)은 전립선 증상이 심할수록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상관관계가 있는 세부 전립선 증상은 잔뇨감 증상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다수의 남성들이 전립선 증상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면의 질과 건강 관련 삶의 질정도가 낮아짐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전립선 증상 관리법에 대한 간호 중재 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가 있다.

화학 공정의 이상 진단을 위한 조업 지원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 Aided System for Fault Diagnosis of Chemical Process)

  • 모경주;정창욱;이기백;윤인섭
    • 지능정보연구
    • /
    • 제2권1호
    • /
    • pp.11-2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화학공정의 이상 진단을 위한 지식 기반 조업 지원 시스템의 개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조업지원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공정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고, 공정에 발생한 증상들을 분석하여 이상의 근본 원인을 찾아내는 작업-이상 진단이다. 이상 진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데이터의 해석이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데이터 해석법들은 정상상태에 기반한 방법들을 동적거동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RBF에 기반한 신경망을 사용하여 동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정성적인 데이터 해석 모듈을 구축하였으며, 이 모듈에서는 공정에서 측정된 정략적인 센서값들을 정성적인 정보로 가공하여 이상진단 모듈에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이상진단을 위하여 기존의 인과관계 그래프 모델(Cause Effect DiGraph)에 기반한 두가지 그래프 모델을 개발하였다. RCED(Reduced Caue Effect Digraph)는 공정의 측정 변수만으로 공정의 인과관계를 표현하는 오프라인으로 구축된 지식베이스 모델이며, PGTT(Pattern Graph Through Time)는 공정에서 발생한 증상간의 인과관계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동적인 모델이다. 이상, 신경망에 기반한 정성적인 데이터 해석 모듈과 이상진단 모듈을 전문가 시스템 도구인 G2를 DEC AlphaStation 상에서 폴리프로필렌 공정에 대한 조업지원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적용하여보았다.

  • PDF

입시병의 아형과 대처방안 (CLINICAL SUBTYPING AND TREATMENT STRATEGY OF COLLEGE ENTERANCE EXAMINATION STRESS SYNDROME)

  • 이영식;구영진;이길홍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43-48
    • /
    • 1991
  • 입시병이란 진로선택의 갈등이나 시험불안, 입시실패에 대한 예기불안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긴 일종의 불안장애인데 입시 자체가 정신장애를 일으키기 보다는 입시라는 정신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해 내재해 있던 문제가 표면화되고 악화되는 것이다. 흔한 ${\cdot}$ 증상으로는 두통 피로 현기증 식용부진 시력장애 기억력장애 불면증등의 정신생리적 신체증상, 우울절망감, 불안등의 정서장애가 동반되며 심할 경우 잠재해 있던 정신병리가 활성화되어 정신증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복합적 증상을 나타낸다. 이외에 넓게 원인적 측면에서 볼 때 학업포기, 등교거부, 가출, 비행, 약물남용, 자살등의 청소년 문제를 야기시킨다. 임상에서 이러한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수험생이라는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되도록 단기간에 치료에 대한 저항을 줄이며 환자의 핵심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관건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임상양상에 따라 입시병을 1) 불안초조형, 2) 공허형, 3) 절망형, 4) 탈진형, 5) 권태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아형의 대표적 증례를 통하여 구체적 치료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을 위한 임상진료 (Clinical Approach for Thyroid Radiofrequency Ablation)

  • 심정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017-1030
    • /
    • 2023
  • 증상이 있는 양성 갑상선결절의 비수술적 치료법인 고주파 절제술은 결절 조직을 열로 소작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증상의 완화와 외견상 문제를 해결한다. 고주파절제술의 적응증은 2회 이상 세포/조직검사로 양성이 확인된 결절에서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주관적 또는 외견상의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이다. 고주파 절제술은 1년의 단기 추적에서 매우 양호한 성적을 보이지만 3년 이상의 장기 추적에서는 20%-30% 결절의 재성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장기 추적을 전제로 하는 고주파절제술 후 환자 관리에서는 재성장을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재성장은 치료 전 결절부피가 큰 경우, 혈관성이 높거나 증가하는 경우 잘 발생하며, 최근에는 수분 박리(hydrodissection), 동맥우선소작법, 정맥소작법등 새로운 기술들이 도입되어 재성장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기준을 적용하여 재치료를 하는 것이 재성장을 관리하고 치료 효과를 오래 지속시키는데 중요하다. 고주파 절제술은 근본적으로 수술의 대안이므로 일시적 효과를 거두는 것이 아니라 영구적으로 수술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 - 서론, 임상양상 및 공존질환 - (The Revised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 - Clinical Presentation and Comorbidity -)

  • 김은진;김윤신;서완석;이소희;박은진;배승민;신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2호
    • /
    • pp.46-57
    • /
    • 2017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common psychiatric disorder that can affect individuals across their lifespan.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re symptoms of inattention,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ADHD develops as a result of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hildren and adults with ADHD usually suffer concomitantly from other psychiatric comorbidities, including both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disorders. It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and poor long-term outcomes. This review aims to summarize the key findings from recent research into ADHD and its prevalence, core symptoms, cause and comorbiditie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우울증 진단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참참참, 끝말잇기 놀이 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hamCham and WordChain Play Robot for Reduction of Symptoms of Depressive Disorder Patient)

  • 엄현영;서동윤;김경민;이성웅;최지환;이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61-566
    • /
    • 2020
  • 본 논문은 우울증 진단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참참참 놀이 및 끝말잇기 놀이 로봇을 설계 및 구현한다. 우울증의 핵심 증상은 삶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상실하는 것으로, 우울증 진단 환자가 로봇을 통해 자신의 표정에 드러나는 감정 분석을 확인하고 참참참 혹은 끝말잇기 놀이를 진행한다. 놀이 후 표정에 드러나는 감정을 다시 분석하여 보고 받음으로 구현 로봇의 기능을 확인한다. 간단한 놀이를 통해 우울증을 진단 받은 환자의 질환이 완벽하게 치료될 수는 없지만, 점진적인 활용을 통해 증상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참참참, 끝말잇기 놀이 로봇의 설계는 Thecorpora사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오픈소스형 로봇 Q.bo One를 사용한다. Q.bo One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을 캡쳐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Azure 서버에 값을 전달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놀이 전 후의 감정 분석을 확인한다. 놀이는 Q.bo One의 OS인 라즈비안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외부센서들과 상호작용하여 작동하도록 구현한다. 본 논문은 놀이 로봇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우울증 진단 환자의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학력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식생활 및 신체활동 평가와 건강증진생활양식 예측모형 구축

  • 최지현;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9.2-400
    • /
    • 2004
  • 여성의 고학력화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날로 증가되는 현실에서 기혼여성의 건강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건강증진생활양식의 핵심 요소인 식생활과 신체활동 상태를 평가하고, 기혼여성의 건강증진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와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취업 여부별로 건강증진생활양식 예측모형 구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 이상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가정과 사회에서 맡고 있는 역할의 수, 각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및 부담도, 가족 및 기타 가사관리자의 조력, 스트레스ㆍ우울ㆍ피로와 같은 심리적ㆍ신체적 증상과, 자아효능감, 그리고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