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자기효능감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3초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 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Engineering Self-Efficacy with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 강승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60-69
    • /
    • 2010
  • 본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가 학업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 변인 중 어느 변인에서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는 공학계열 3학년에 재학중인 남학생 284명, 여학생 103명이 참여하였다. 학업성취도는 연구대상 학생의 전 학기 학점을 자기보고식으로 취합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학 자기효능감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에 대한 차이 검증결과 공학계열 여학생과 남학생의 학업성취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에서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학 자기효능감에 대한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변량 분석결과 전공영역 효능감, 직무효능감, 팀활동 효능감, 창의성 효능감 모두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는 학업성취도가 아닌 효능감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51-5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는)과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분석한 결과,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집단,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연령이 낮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경우 셀프리더십이 높았고, 여학생과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의 학업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수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은 학업수행을 10.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복연구 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유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62-4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 정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60-7169
    • /
    • 2014
  • 본 논문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D시에 있는 4년제 간호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2012년 8월27일부터 9월17일까지 조사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학업실패내성(r=.184, p<.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r=.282, p<.001)과 긍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만이 7.5%(F=16.905, p<.00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학업실패내성의 행동 하위영역은 학업성취도에 8.0%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 하위영역은 15.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취업 후에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대학생활 동안 학업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나가는 방안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Effects on Academic stress of Gifted Student and Normal Student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s)

  • 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41-853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6학년 영재학생 100명과 일반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중심 대처방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문제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감소되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았다.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영재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커졌으며, 일반학생은 문제중심 대처방식의 수준이 높을 때에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교육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Brain Education Meditation Program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77-84
    • /
    • 2016
  • 본 연구는 뇌교육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K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0명을 50명씩 각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뇌교육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뇌교육명상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뇌교육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더 유의하게 높아졌다. 둘째, 뇌교육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정적상관 관계에 있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조절이나 자기조절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빈번하게 사용하며 이로 인한 학업성취도는 다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흥미 관련 변인 탐색 -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학업동기 간의 관계 - (Research on Variables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Freshmen' Academic Interest -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haracter Strengths and Learning Motivation -)

  • 박은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5-197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흥미관련 변인 탐색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학업동기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대구 지역 K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 144명이다. 연구를 위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VIA-IS 성격강점 단축형 검사, 학업동기 설문지를 사용하여 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학업동기 변인 모두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격강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동기, 성격강점과 학업동기 모두 유의미하게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격강점이 학업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성격강점의 하위변인 중 용기가 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분야 영재학생과 학업우수학생의 자기 효능감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The self-efficacy beliefs of gifted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s and High Achiever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 강영하;김신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9
    • /
    • 2003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분야 영재학생의 자기 효능감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영재교육센터에서 수학, 과학, 정보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20명과 대전과 충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에서 학업성적이 상위 5%에 속하는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자기 효능감, 학업 효능감, 자기학습조절 효능감, 타인기대 일치 효능감에서는 영재학생과 학업우수아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국어 효능감에서는 학업우수학생, 과학 효능감에서는 과학 영재학생, 수학 효능감에서는 수학 영재학생, 그리고 컴퓨터 효능감에서는 정보 영재학생의 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사회성 효능감에서는 정보 영재학생이 학업우수학생, 수학 영재학생, 과학 영재 학생보다 효능감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논의되고 영재학생의 교육과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융합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Convergence Study o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Senior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김은아;하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45-45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도 및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 4학년 간호대학생 190명이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관리역량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관리역량과 취업준비행동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자기관리역량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며, 취업준비행동을 설명하는 설명력(R2)은 34%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자기관리역량 함양 및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유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전략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 최옥;이우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55-46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G시에 있는 세 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 713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로계수와 적합도지수가 유의하여 경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소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한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개인변인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잘 발달되어있다면 학교부적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