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lf-efficacy beliefs of gifted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s and High Achiever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과학분야 영재학생과 학업우수학생의 자기 효능감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s. For this purpose, The Self-efficacy Beliefs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220 5th and 6th gifted students and high achiever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academic, self regulated learning, and others’ expectation self-efficacy belief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high achievers as well as among groups of gifted students. Second,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Third, the high achiever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language art self-efficacy beliefs. Fourth,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Fifth,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Sixth, the gifted students in IT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computer self-efficacy beliefs. Seventh, the gifted students in IT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in social self-efficacy belief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분야 영재학생의 자기 효능감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영재교육센터에서 수학, 과학, 정보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20명과 대전과 충남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중에서 학업성적이 상위 5%에 속하는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자기 효능감, 학업 효능감, 자기학습조절 효능감, 타인기대 일치 효능감에서는 영재학생과 학업우수아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국어 효능감에서는 학업우수학생, 과학 효능감에서는 과학 영재학생, 수학 효능감에서는 수학 영재학생, 그리고 컴퓨터 효능감에서는 정보 영재학생의 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사회성 효능감에서는 정보 영재학생이 학업우수학생, 수학 영재학생, 과학 영재 학생보다 효능감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논의되고 영재학생의 교육과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아영 (197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연구. 교육심리연구. 11. 2. 1-19
  2. 김아영 (1998) 동기 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 자기 효능감 이론 중심으로. 교육 심리연구. 12. 1. 105-128
  3. 김의철, 박영신(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교육심리연구. 13. 1. 99-142
  4. 김진희(1994) 영재 판별 평정 척도의 타당화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5. 문정화, 이승희(1993) 인물화 검사를 통한 영재아와 비영재아의 심리적 특성 비교. 영재교육 연구. 2. 1. 239-251
  6. 박승배(2002) 미국의 교육정보화 정책에 대한 회의적 문헌 및 우리의 교육정보화 정책에 주는 시사점 고찰, 초등교육연구, 15, 2. 145-159
  7. 송수지(2000) 영재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0. 2. 87-108
  8. 윤운성 (1996) 가정환경과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문화비교연구. 교육심리연구. 10. 3. 159-182
  9. 윤운성 (1998)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의 분석적 고찰. 교육학연구. 36. 3. 65-82
  10. 윤운성 (1999) 부모의 기대가 자녀의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3. 4. 247-258
  11. 윤운성, 가경신(1998) 읽기 성취와 독자의 심리적 요인의 상관. 교육심리연구. 12. 2. 109-132
  12. 윤재은 (1994) 영재집단의 학교생활적응과 스트레스 및 그 대처 방법. 미간행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3. 이재신(1998) 영재 유형별 스트레스 수준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14. 조선미, 진석언(2002) 초등학교 수학.과학 영재아동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2. 2. 17-29
  15.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6. Bandura, A.(I997) Self-effiazcy-The exercise of control. N.Y.; W.H.Freeman
  17. Brody, L. E. & Benbow, C. P.(I986)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 of adolescents extremly talented in verbal or mathematical reason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5. 1. 1-18 https://doi.org/10.1007/BF02140780
  18. Clark, B.(2002) Growing up gifted(6th Ed.). N.J.: Merrill Prentice Hall
  1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이경회역, 마음의 특. 서울 : 문음사. 1995)
  20. Gist, M.E. & Mitchell, T.R. (I992)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Academic of Management Review. 17. 2. 183-211 https://doi.org/10.2307/258770
  21. Kemple, K. M.(1996) Preschoolers' creativity, shyness, and self-esteem. Creativity Research Journal. 9. 4. 317-326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904_3
  22. Sternberg, R.J.(1988) The triarchic mind. A new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Viking Penguin Inc
  23. Terman, L.M.(I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CA :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Webb, J. T.(I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25. Heller, G. J. Monks, & A. H. Passow(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ergamon Press
  26. Whalen, S. & Csikszentmihalyi, M.(l989) A comparison of the self-image of teenagers with a normal adolescent popul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8. 2. 131-146 https://doi.org/10.1007/BF021387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