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긴장감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Applying of SOM for Recognition to Tension and Relaxation in a Scrolling-Shooter Game (비행슈팅게임에서 게이머의 긴장이완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SOM의 적용)

  • Jeong, Chan-Soon;Ham, Jun-Seok;Park, Jun-Hyoung;Yeo, Ji-Hye;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69-172
    • /
    • 2009
  • 본 논문은 SOM을 이용하여 비행슈팅게임을 하는 게이머의 긴장과 이완상태를 학습한다. 학습된 SOM을 이용해 게이머의 새로운 심박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긴장과 이완 상태에서 플레이하는 게이머의 인식을 제안한다. 게이머들은 비행슈팅게임을 플레이하면서 게임 환경들의 패턴들에 익숙해진다. 게이머들은 반복하면서 지루해지면서 자연스럽게 긴장감도 떨어지게 된다. 만약 긴장이완 정도를 알 수 있다면 게이머의 상태에 맞게 게임환경을 조절하여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슈팅게임을 하는 게이머의 심박신호를 이용하여 게이머의 긴장이완상태를 신경망 SOM으로 분류한다. SOM은 주어진 입력패턴에 정확한 답을 정해주지 않고 자기 스스로 학습하여 해답을 찾는 신경망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게이머의 심박신호는 SOM 학습을 통해 게이머의 긴장과 이완상태들을 군집화 할 수 있다. 비행슈팅게임을 20회 반복 플레이하여 SOM으로 게이머의 심박신호를 입력해 본 결과 긴장이완상태를 인식 할 수 있었다.

  • PDF

Longitudinal and Complex Influence of Academic Strain o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청소년의 학업긴장이 불행감과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종단적·복합적 영향 분석)

  • Jun, Sa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2
    • /
    • pp.293-302
    • /
    • 2016
  • The study explores how academic strai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have changed over time. And we conducted the longitudinal and complex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ain o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order to search the ways to prevent a vicious circle among them. We used general strain theory as a conceptual research frame and analysed the data of 1,589 respondents of the 2nd~4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with latent growth modeling. It was found that the levels of academic strai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were linearly increased across time. Academic strain initial status positively affected unhappiness initial status and both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change rate of unhappiness positively affected that of mobile phone dependency. Academic strain change rate positively influenced that of mobile phone dependency mediated by unhappiness change rate. We provided useful implications to academic activities, negative emotion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for adolescents and suggested future studies about reasons of the changes of those variables.

A Study on Real Time Checking and Feedback Method of Academic Achievement in Programming Class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업 성취도의 실시간 점검 및 피드백 방안에 관한 연구)

  • Jin, Myung Sook;Lee, Miyeong;Oh, Suk;Ahn, You Jung;Kim, Kyong Ah;Kim, Ji 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95-496
    • /
    • 2018
  • 전문대학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시험효과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집중도를 높이고 긴장감을 유발하며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실시간 학업성취도 테스트와 피드백 방안을 제안한다. SNS와 간단한 필기구를 활용한 시험으로 교수자는 수업 전과 후의 학습자의 성취도의 변화를 쉽게 파악하며 학습자는 실시간으로 SNS를 통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 PDF

Team Based Learning Experience and Effect on Study of Preliminary Learners on Medical Terminology (예비학습자의 간호영어 팀 기반 학습방법의 학습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 You, So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101-1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 and effect the learner - centered team - based learning (tbl)method has on pre - nursing learner's nursing English course. Participants were 12 preliminary nursing learner, it was analyzed through learning result recording, study observati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er's report, peer evaluation.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the learning experience, individual and team scor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aired-t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each team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individual in both. The tbl experience has been a form of intimacy with colleagues, a motivation for learning, self-study, easy to learn the medical terminology felt through repeated learning, to improve their score by having them secondary group test and they remembered it as a pleasant learning tim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SW-based maker education in onlin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비대면 온라인 환경에서 SW기반 메이커교육의 효과성 비교: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흥미도의 관점에서)

  • Kim, Tae-ryeong;Han,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3
    • /
    • pp.571-578
    • /
    • 2021
  • This study compares Online SW-based maker education in terms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fter applying differently according to blended learning strategies. First, a SW maker program for blended learning was developed and applied as a live seminar-type class including real-time interactive and a support-providing class consisting of online content and Q&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ccording to the two strategies divided into pre- and post- survey, in the self-efficacy par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efficacy and the overall part, and in the learning motivation part, the live seminar for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fidence part. In the interest part, the support-providing form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in the instrumental interest and nervous part. In order to maintain the effect of maker activities like existing face-to-face situations in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haring time between students, an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and sufficient provision of exploration time and learning materials.

Investig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 Kwak, Young-Sun;Kim, Chan-Jong;Lee, Yang-Rak;Jeong, Deuk-S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3
    • /
    • pp.260-268
    • /
    • 2006
  • Students' affective attitude not only influences their achievement in a meaningful way but is also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its own right.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vari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surveys and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We analyzed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terms of (1) interest in and enjoyment of science, (2) instrumental motivation in science, (3) science learning anxiety, and (4) self-concept in science. Major findings are that studen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in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value perception of science, and confidence in science as they move in to a higher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students' explanation, science classes get boring in higher grades because of difficult contents, lack of experiments and activities, and the teachers' monotonous explanations.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are suggested. First of all, we need to secure more science instructional hou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a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implement improv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 Case Study on Adult Learners' Performance Experience of Convergence Program for Self-Confidence Improvement (성인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Park, Sun-Hee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4
    • /
    • pp.49-5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aning of adult learners' experience in which they performed a convergence program for the self-confidence improvement of disabled persons with brain lesion who were daycare center users. For the goal,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5-session profound interview with those disabled persons and then through this author's ob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all the data and, as a result, categorized three significant themes that best represented the above mentioned meaning, which are 'tension of beginning', 'joy of being in company with others' and 'I as the present being'. With those meaningful themes taken into serious consider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field program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better connection with adult learners' major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Case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Simulating Turn-Key System in Design Class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턴키 제도를 모사한 환경공학 설계과목의 협동학습 적용사례)

  • Kim, Geon-Ha;Oh, Ju-Won;Lee, Hack-Soo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9 no.4
    • /
    • pp.5-9
    • /
    • 2006
  • In this research, a case study for cooperative learning practiced in a design class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was presented. Designing a treatment facility for urban diffuse pollution was a main problem given to the participants. Turn-key system for civil works were simulated throughout class works. Twenty five students were grouped into four virtual companies and assigned own position from chairperson to workers. Each group competed throughout establishing design concept regarding order, expense calculation, process distribution, actual calculation. Best design with lowest bidding won the first place. For evaluating class effectiveness, one student from each group were monitored thorough semester. Participants were improved for their understanding about company establishment, turn-key system management, awareness about personal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kills. Tension of the class was effectively elevated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