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조직역량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2초

기업조직의 유기성과 학습문화가 동적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c Structure and Learning Culture on Dynamic Compete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 정두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7-57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조직의 학습문화가 동적역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동적역량이 기업의 학습문화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 그 연구결과를 기업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기업조직의 구조가 유기적일수록 재배치역량과 학습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적인 기업조직을 가진 집단은 공식적인 처리방식이나 프로세스에 집착하지 않는 관행이 있기 때문에 외부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업조직의 학습문화는 동적역량 중에서 재배치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의 학습문화가 구축되어 있는 기업조직일수록 특히 집단수준의 학습문화가 구축되어 있는 조직일수록 재배치역량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동적역량의 두 가지 하위요소는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확인하였으나 학습문화와 관련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사회를 위한 학습조직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for Learning Society)

  • 박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114-122
    • /
    • 2007
  •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 지향의 한 방법으로 기업에서의 학습조직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학습조직을 위해 어떤 구성요소를 가져야 하며, 어떤 단계를 마련하여 학습조직을 구축해야 하는지 등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이는 향후 학습조직을 도입하고 실행하려는 조직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올바른 학습조직의 구축은 조직의 환경대응역량과 성공의 길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역량개발, 적응력 향상, 행동역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나아가 국가 사회적으로는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 과정을 통해 학습조직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전 사회적으로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기초가 되리라 확신한다.

대학 교직원의 조직학습역량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Effe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ies o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f University Faculties and Staff: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 김유니;진성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29-738
    • /
    • 2023
  • 본 연구는 입학자원의 계속적인 감소와 대학 재정의 외부 의존 심화 등 대학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대학의 존립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학의 조직혁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대학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학습역량, 조직몰입, 프로티언 경력태도, 조직 혁신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역량은 조직 혁신성에 정적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조직학습역량은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몰입은 조직 혁신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 학습역량과 조직 혁신성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매개효과,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대학의 조직 혁신성을 높이기 위해서 구성원들이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과 주도적인 경력 지향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습전이 촉진 전략에 따른 핵심역량교육의 효과성 연구 -H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re competency courses according to facilitating strategy of learning transfer focusing H Corporation)

  • 김영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175-18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H사에서 실시한 핵심역량교육을 사전-사후검사설계 및 성공사례기법을 적용 분석하여 학습전이 및 경영성과에의 기여 등 효과성을 검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핵심역량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본인, 관찰자 집단(상사, 동료, 부하)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012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핵심역량교육의 사전-사후검사 평균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관찰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자들의 역량수준이 학습자 본인이 인식하는 것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사례기법을 통한 검증 결과 핵심역량교육이 경영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재상 공유를 위한 핵심역량교육이 조직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기여하기 때문에 조직구성원의 행동 변화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으로 적극활용해야 하겠다. 둘째, 핵심역량교육이 교육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학습전이모형을 설계하고, 학습전이 촉진을 위한 학습자 개인과 조직의 협력적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하겠다.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조직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Business Performance in INNOBIZ SM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bsorption Capacity)

  • 성기욱;엄기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59-88
    • /
    • 2022
  • 개방형 혁신이 확산되면서 외부의 새로운 지식을 탐색하고 이를 조직의 기존 지식과 결합하여 활용하는 흡수역량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에서 흡수역량을 매개로 조직 요인인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학습 문화 그리고 부서간 협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노비즈 협회 회원사 15,227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326건의 설문응답 내용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에 의하면 조직 요인인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학습 문화 및 부서간 협력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았지만, 흡수역량을 매개로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학습 문화 및 부서간 협력이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통해 경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기업의 조직 요인들이 흡수역량의 선행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함을 입증해준다.

정부의 인공지능 도입에 관한 분석: 중앙정부조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Government's Introduc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AI): Focusing on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s)

  • 한명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81-293
    • /
    • 2022
  • 지능형 정부를 구성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의 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중앙정부 조직의 AI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특성으로서 '조직 민첩성'과 '활용적 & 탐색적 조직학습', '전자정부의 역량'을 조작화 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이후 정책 기획을 주로 실시하는 중앙정부 조직 '부'와 정책 집행을 주로 수행하는 '청'조직의 AI 도입여부를 종속변수로 구축한 후, 각각의 두 모형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 조직은 조직 민첩성이 증가할수록 AI를 도입하였으며, 청 조직은 전자정부 역량이 증가할수록 AI를 도입하는 것이 도출되었다. 이때, 청 조직의 조직학습 수준과 전자정부 역량 변수간의 상호작용항을 파악한 결과, 활용적 조직학습은 전자정부 역량에 따른 AI 도입의 영향력을 상쇄시켰으며, 탐색적 조직학습은 이를 촉진하였다. 본 연구는 AI 도입을 위한 전략 수립 시 중앙정부 조직의 특성에 따라 주목할 핵심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벤처기업 창업가의 배태조직과 산학협력 경험이 조직학습역량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tartup entrepreneurs' experienc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rough incubator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 김덕용;배성주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2호
    • /
    • pp.29-58
    • /
    • 2022
  • 벤처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내부 역량 구축에는 자원과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동연구, 네트워킹 등 외부와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이 조직학습역량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정부 R&D 투자가 벤처기업과 대학의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조직학습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성과를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은 조직학습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은 대학과의 협력 및 자원 활용을 통해 내부 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분석 한 것이다. 둘째, 벤처기업의 조직학습역량은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조직학습역량이 높은 조직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문화를 가지게 됨으로써 기업의 혁신성과 창출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벤처기업 창업자의 배태조직(incubator organization)에 따른 산학협력과 조직학습역량을 분석한 결과 중소(벤처)기업 및 개인 경험 기반의 창업 그룹이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조직학습역량과 혁신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과 개인기반의 창업자는 대기업, 대학 및 연구소 창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기술역량을 보유한 대학과 협력함으로써 기업의 조직학습역량 강화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는 벤처기업의 R&D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학과 협력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벤처기업과 대학에 나눠주기식 지원이 혁신성과를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지만 정부 투자는 기술 축적, 고급인력 양성, 혁신 네트워크 강화 등 무형자원 확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정부는 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 전략성 강화를 위해 정부의 권한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R&D 학습조직이 구미지역 중소기업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ME in Gumi by R&D Learning Organization)

  • 안중민;신태식;김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63-170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내 R&D 학습조직의 활동이 경제적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외 학습조직 연구자들의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학습조직의 정의, 특징, 유형, 저해요인을 알아 보고 종속변수인 조직성과의 정의, 학습조직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R&D 역량(연구기획, 비전 목표 적합성, 프로젝트 관리, 기술의 상용화/사업화)과 학습조직역량(지속적 학습기회의 창출, 지식공유 및 활용시스템, 전략적 학습 리더십)을 7가지의 독립변수로 나누어 기업의 성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R&D 학습조직 활동이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업들의 활발한 R&D 활동을 위해 수반되어져야 할 기업 내 자체 R&D 학습조직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중소기업들의 R&D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재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수출중소기업의 학습역량과 역동적 역량이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Competences and Dynamic Capabilities of Korean Small-sized Enterprises for Export-oriented to the Competitive Advantages)

  • 허영호;조연성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388-419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수출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대해 볼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기반관점에서 살펴본 조직의 문화적 무형 자산으로서 조직학습역량과 역동적 역량이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통합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역동적 역량에서 설명된 내부자원의 통합 재배치 역량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해외시장 경쟁우위에 있어서도 이를 각각 비용, 제품, 서비스 우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선행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총 386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역량은 역동적 역량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역량은 경쟁우위 중에서 제품우위를 제외한 서비스와 비용 우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역동적 역량의 경우 자원 통합은 경쟁우위 전체 요소에 대해서 그리고 자원 재배치의 경우 제품과, 서비스 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동적 역량의 학습역량과 경쟁우위에 대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역동적 역량은 학습역량과 비용우위 사이를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의 적용에 있어 R&D 공간의 변화: 조직적 역량, 학습 그리고 근접성 (The Shifting Process of R&D Spaces in Firm's Adaptation: Competences, Learning and Proximity)

  • 이종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29-541
    • /
    • 2002
  • 본 논문은 시장과 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직면한 한국 대기업의 R&D 공간의 변화 과정과 메커니즘을 학습과 적응의 맥락에서 고찰한 것이다. 사례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자업체인 LG전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 인터뷰 결과와 문헌조사를 토대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조직의 R&D 공간의 변화는 조직의 공간 형태, 지식과 학습의 공간적 및 조직적 원천, 관계적 근접성에 기초한 학습의 역할 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밝힌다. 사례기업의 최근 국내 R&D 공간의 변화는 구상과 실행의 공간적 통합보다는 핵심 연구개발 기능들의 서울중심 집적 강화 경향이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D 공간의 변화가 학습과 핵심의 선형적 모델로의 회귀를 의미한다고 보기보다는, 조직적 근접성과 상호작용적 학습 양식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산된 조직 역량 및 학습 능력을 유지 강화하고자 하는 기업의 전략적 노력과 조직적 프로세스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