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지리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 학교에서 GIS 교육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GI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A Case study of High School)

  • 오충원;성춘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89-100
    • /
    • 2003
  • 이 연구는 중등 학교 교육에서 GIS 효육의 현재와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최근 개편된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GIS에 대한 내용과 비중이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GIS 교육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커지고 있다. 둘째, 이에 대비한 GIS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교과 과정 설정에 부합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제반 환경이 부족하여 교수-학습 현장에서의 GIS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본적인 GIS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셋째, 향후 학교 교육에서 GIS 교육은 'GIS를 활용한 교육'과 'GIS에 대한 교육'의 통합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보화가 진행될수록 GIS 교윽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GIS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지리' 교과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 준비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The Promotion and Content Composition of Geotravel as a New Way of Tourism)

  • 박종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3-71
    • /
    • 2015
  • 지리여행은 지리학의 현장답사에 근거한 새로운 테마여행이다. 지리여행은 자연경관과 인문경관을 탐구하는 감성여행이며, 역사관광을 뛰어넘는 포괄적 환경여행이다. 지리여행은 가족 체험여행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역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공간여행으로서의 지리여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유역 단위의 지리여행법이 효율적이다. 지리여행 콘텐츠는 융복합 관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인간과 물은 지리여행 콘텐츠의 통합 주제어이다. 지리여행은 초 중등학교 학생을 위해 특화된 체험여행이기도 하다. 지리여행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리여행의 코스 개발이 필요하다. 모바일 앱은 지리여행 정보를 쉽게 전달해 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지리여행 큐레이터의 육성도 시급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고품격 지리여행 상품도 개발되어야 한다. 지리여행은 창조관광 달성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 PDF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51-565
    • /
    • 2013
  •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을 분석한 것이다.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리 교육과정에서 Stage 4와 Stage 5의 필수 지리는 개발교육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지 않고 삶의 질의 차이와 원조 연계를 통해 개발교육에 접근하고 있는 반면, 심화 과목인 선택 지리의 경우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tage 6에서도 개발지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보다 심화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에서는 개발교육이 개발에 대한 학습에서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의 차이를 선행하여 학습한 후 개발 및 개발 척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있게 이해하도록 하고, 이러한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개인 또는 조직으로서 어떻게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으로 계열화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개발을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이와 관련한 삶의 질의 차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중등학교 고학년에서는 개발지리에 대해 직접 학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발교육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인 개발, 개발 척도, 원조 등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발교육은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와의 구체적인 개발 연계 사례를 통해 추상적인 상호의존성이라는 개념과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가치를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기술하거나 정부 및 비정부기구 등과 같은 조직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그들의 가치와 행위를 감정이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PDF

벨지움의 중등학교 지리교육 내용과 교사양성제도 -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of Geography and the System of Teacher Training in Belgium - Focused on the Case of Francophone Community -)

  • 곽철홍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01-115
    • /
    • 2000
  • 본 연구는 벨지움의 프랑코폰 공동체를 사례로 중등학교 지리교육의 내용과 교사양성의 실태를 일반 교육체제의 범주에서 고찰하였다. 중등학교 제1단계에서는 주당 2시간씩 환경교육을 학습하는 데 그 내용은 생활주변의 지리적 지식을 관찰 정리하는 것이고, 제2단계에서는 주당 1시간씩 세계지리를 학습하며 특히 유럽과 러시아에 큰 비중을 둔다. 제3단계에서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계통적으로 학습한다. 교실수업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교과서는 없고 교사가 텍스트를 준비하여 학습에 임하고 있으며 학생 중심의 탐구식 수업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급중등교사는 교육전문학교에서 복수전공교사로 양성되는데 지리교사는 생물 화학 지리교사 또는 역사 사회 지리교사의 유형으로 양성되며, 상급중등교사는 종합대학의 교직과정부에서 단일전공교사로 양성된다. 중등학교 현직교사를 공식적인 실습지도교사로 임용하고 교생들의 책임수업과 평가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등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과 교수들은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심사에서 합격기준을 강화함으로써 교사의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의 상당 부분은 우리나라의 지리교육과 교사양성에서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Geography Textbooks of Secondary and High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 김재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3-168
    • /
    • 2003
  • 해방 이후 남북한 지리 교과서는 정치체제의 차이에 기인하여 각기 상이하게 발달하였다. 본 연구는 남한의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 교과서 그리고 북한의 1995년 발간 지리 교과서를 자료로 남북한 교과서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한 교과서는 탐구활동을 유도하는 학습자료, 표, 그래프, 사진 등을 수록한 반면에, 북한 교과서는 단순히 주제를 설명하는 내용과 스케치 및 다이어그램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한의 지리교과서는 인문지리와 지시 내용을, 북한의 지리교과서는 자연지리, 경제지리, 지도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지리 용어에서 남한 교과서는 한자어와 영미식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반면에, 북한 교과서는 상대적으로 순우리말로 된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일 후 지리교육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리 교과서의 기술 체계와 내용 및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남북한 지리학자들과 지리교육자들의 접촉이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 폰을 이용한 학교 찾기 어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School Finding Application in the Smart Phone)

  • 장승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2-11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GPS기능과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Google map을 이용하여 내 주변 위치(학교)와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내주변 목적지 위치를 검색할 때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서 공공 장소 및 목적지를 쉽고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활용하고자 한다. 학교 시설은 입학 시험, 각종 자격 시험, 재난시 대피소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 폰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젊은 층이 아니라도 누구나 어려운 조작 없이 학교의 위치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분석 (Real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gram Oriented Social Studies)

  • 박순호;윤성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7-262
    • /
    • 2005
  • 지난 20여년에 걸친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은 기대만큼의 친환경적 행위 함양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수업목표는 인지적 목표 중심이고, 시수도 학년별로 매우 불규칙하다. 환경교육의 내용은 환경보전 및 대책, 자연 환경, 환경오염에 편중되어 있고,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심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속성도 결여되어 있다. 그런데 사회과는 타 교과보다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비중이 높고 타 교과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인공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영역 등이 교수 학습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친환경적 행위를 함양시키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사회과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환경관련 내용과 시간을 통합하여 거주지역 중심의 체험학습을 실시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 PDF

국토교육에 관한 정책연구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Land Education)

  • 권용우;손정렬;황철수;이재준;변병설;이자원;이승철;남선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21-734
    • /
    • 2010
  • 본 연구는 국토교육 강화를 위해 두 가지 정책을 제안한다. 하나는 국토관련 학교교육의 내실화다. 여러 선진국의 에에서처럼 우리나라도 선진국을 지향하려면 지리과목을 핵심과목으로 독립시켜 지리교과를 통해 국토교육을 수행해야만 강대국에 도달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국토관련 시민교육의 확충이다. 시민교육의 확충은 시민들에게 학교교육에서 미진한 부분을 교육하고 나아가 학교를 졸업한한 이후에 새롭게 대두되는 국토에 관한 내용을 확대하여 교육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시민교육을 통한 국토교육은 3가지 측면으로 제안한다. 첫째는 국토시민대학의 창설이다. 둘째는 국토교육 이벤트사업의 조정 관리다. 국토해양부 후원 하에 국토교육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러 국토교육이벤트 사업이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는 국토교육 관련 서적의 출판과 포털사이트 운영이다.

교사들이 인지하는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 Misconceptions Recognized by Teachers)

  • 김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82-49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고등학교 한국지리에서 빈번하게 보이는 오개념 현황을 조사하고 그것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범주를 생성하는 것이다. 한국지리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지리 교사들에게 학생들이 한국지리 학습에서 빈번하게 보이는 오개념 리스트를 작성하도록 요청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것들을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의 지리 오개념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을 바탕으로 자기중심적 이해, 2) 단어에 의한 혼란, 3) 조작적 정의나 지리 개념의 불완전한 적용, 4) 순진한 추론, 5) 경직된 일반화. 이 범주는 전문가와의 패널토론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항목 중에서는 순진한 유추와 경직된 일반화 유형에 해당되는 지리 오개념의 수가 많았다. 이렇게 조사된 오개념 항목은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지리 교사들은 본 연구의 오개념 리스트를 참고하여 학생들이 오개념을 형성하지 않도록 올바른 지리 개념을 명시적으로 강조하는 수업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 PDF

"백두산행기"에 나타난 윤화수의 장소인식과 지리지식의 유형 (Yun Hwasu's Understanding of Place and the Types of Geographical Knowledge Shown in the Book of Baekdusanhaenggi)

  • 강순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14
    • /
    • 2009
  • 본고는 1927년에 발행된 "백두산행기"에 담겨있는 저자 윤화수의 장소인식과 지리지식의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책은 일기를 이용해 산행의 전 과정을 일자별로 상세히 기록한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백두산 여정 중에 관찰되는 자연과 인문의 객관적인 현상과 사실뿐 아니라 그것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 또는 평가, 느낌까지도 담고 있다. 윤화수는 애국계몽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민족의 근대화와 독립을 위해 민중들을 교육하고 계몽하는 일에 전념하였던 사람이며, 중등학교용 지리교과서 "최신조선지리"를 간도에서 발행한 인물이다. 저자는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장소인식의 기반 위에서 관념적이면서도 긍정적으로 우리 장소를 인식하였다. 이는 저자가 낙토 또는 영지라는 장소인식을 가지고, 불리한 자연환경을 지닌 간도나 백두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백두산행기"에 나타난 지리지식은 크게 지리내용과 지리개념이라는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지리내용은 자연지리(기후, 식생, 지형과 식생 지형의 경제적 이용)와 인문경관(취락경관과 그 변화, 문화경관)이라는 유형으로, 지리개념은 위치, 거리, 지역이라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