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변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Outflow System at the Mangyeong River Basin (만경강 유역의 유출 체계 분석)

  • Lee, Ji Hun;Lee, Jung Hun;Kim, Seung Hyun;Kang, Noe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5-265
    • /
    • 2020
  • 지구상의 물 순환은 구름이 형성되어 비나 눈의 형태로 낙하하여 지표수를 형성하거나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지표면이나 수면, 식물의 입면을 통해서 대기중으로 증발되기도 한다. 대기중으로 소실되지 않은 물은 지표수나 지하수로 하천을 통해 바다로 흘러간다. 이와 같은 물 순환을 수문순환(hydrologic cycle)이라고 한다(Lee, 2008). 하지만 인구 증가 및 산업화로 인해 농업용수, 공업용수, 생활용수 사용이 증가하며 하천에서 직접 물을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고 하수종말처리장, 농수로 등을 통해 회귀되는 유량이 많아 하천의 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하천 유출 체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하천에서 사용되고 유입되는 물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수계 및 제 1지류인 전주천에서 운영되고 있는 취·배수 시설에 대해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천의 물 사용 체계 모식도를 작성하였다. 만경강 유역의 조사대상 구간은 대아댐 하류에서 전주천 합류점까지의 구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주천 유역은 삼천합류점에서 만경강 본류 합류점까지와 삼천 유역의 구이저수지에서 전주천 합류점 까지를 조사구간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조사의 대상시설은 저수지, 양수장, 취입보, 하수처리장 등이며, 조사대상은 하천의 유출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설로 최소 하루 기준으로 일 취수량 0.20㎥/s, 일 방류량 0.20㎥/s 이상이 되는 시설에 대해서만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여 취·배수시설의 위치와 유입구의 위치, 도수로 등을 조사하였으며, 취·배수 시설의 유량 정확도 평가를 위해 현장에서 유량측정을 수행하여 허가량과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만경강은 농업용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상하류 유량반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이 연구를 통해 검토한 결과 만경강 유역내의 상하류 유량반전 시기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완주군(오성교)관측소와 완주군(용봉교)관측소의 손실고가 안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주시(미산교)관측소 또한 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취·배수영향을 고려하여 유출률을 산정한 결과 과거에 비해 손실고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역의 유출 체계 특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취·배수시설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하천 유출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PDF

Study of Fish Monitoring for of Exotic Fishes Management of Ecological Park at Nakdong River 1 (Nakdong River Site) (낙동강 생태공원 지역 외래어종 관리를 위한 어종 모니터링 연구 1 (낙동강))

  • Joon Gu Kang;Sung Jung Kim;Hong Koo Ye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0 no.4
    • /
    • pp.184-192
    • /
    • 2023
  • Influx of exotic fishes is the reason of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and Eco-Diversity Recently, River project was conducted to consider environmental function. Therefore, farmlands structure along the river was removed such as vinyl greenhouse. In order to supply water eco-diversity, ecological park was built. In spite of nature river improvement, the ecological system in river will be break down by exotic fis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alyze the fish faun and prevailing species occupancy in Nakdong river. This data will be used to make the management plan of exotic fishes in ecological park around Nakdong river.

Searching River Information using Ontology (온톨로지를 이용한 하천 데이터의 검색)

  • Yoon, Hong-Kyu;Yoo, Sang-Bo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2 s.4
    • /
    • pp.117-126
    • /
    • 2000
  • A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changes continuously, it has been difficult to manage it in consistent manner. Especially different terminologies are often used for describing the same object. Thes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make the information search be very unproductive. Recentl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capturing more knowledge is the next step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on shar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ontology concept in order to facilitate information search for geographical data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 prototype of search system implemented using the ontology for river-related data is presented.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Evolution of Mining-Pit (준설 웅덩이의 발달과정 모의)

  • Choi, Sung-Uk;Choi, Se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65-169
    • /
    • 2012
  • 하천에서의 골재 채취는 일시적으로 홍수위를 낮추는 순기능도 있지만 하천형태학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하천에서 골재 채취로 인한 준설웅덩이의 회복에 필요한 시간 혹은 과정은 공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준설 웅덩이의 발달 과정을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수치모형은 준정류 가정에 기초하는데, 이는 흐름은 정상류이고 하도가 변하는 특성시간이 흐름에 비해 길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총유사량 공식으로 Engelund and Hansen (1967) 공식과 Ackers and White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Engelund and Hansen 공식을 사용하였을 때, Parker (2004)에 제시된 준설 웅덩이의 되메움 과정을 정량적으로 유사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선행 실내실험에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준정류모형이 준설 웅덩이의 되메움과 전파과정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수치모형이 두부침식 현상을 잘 재현하지 못하여 재퇴적 이후의 하상파를 과소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Ecological Function of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 as a Stream Landscape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 Choi, Jai-Ung;Kim, Dong-Yeob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4 no.2
    • /
    • pp.31-55
    • /
    • 2005
  • Dangsan forests and Rural Community Forests(RCF) have been historical assets for the rural communities of more than 40,000 in Korea and they have provided an identity through the cultural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parts of a unique cultural landscape in the rural areas as components of stream landscape. In many cases,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located close to stream corrid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on stream water quality and to evaluate its ecological landscape valu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oncensus and domestic government policy for close-to-nature stream, we could find out that Dangsan forests and RCF'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ose-to-nature streams.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s close to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maintained with local culture. It is also compared to the streams located wher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are absent. Eight study sites were select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at each study site.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temperature, pH, total P, total N, dissolved oxygen, EC, BOD, COD and SS. Aquatic invertebrates were observed as water quality indicator spec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quatic invertebrate species, GPI, DO, EC, BOD, and 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stream water due to the presence of the Dangsan forests and the RCF. The role of Dangsan forests and the RCF was evident in the conservation of stream landscape and rural culture as well as in maintaining stream water quality. The management schemes of the streams with Dangsan forests and the RCF's are also suggested.

  • PDF

용담댐 건설로 인한 금강 상류의 하천환경변화 분석 II - 수리변화분석 -

  • 정승권;정동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71-976
    • /
    • 2004
  • 하천유지를 위한 하천내 최소유량의 충족은 사실상 환경문제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하천변 수생식물의 생태계 서식처를 유지하거나 복원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의 고유종 동${\cdot}$식물을 보전하고, 아름다운 하천에 대한 심미적 질을 유지하며 여가활동 및 상업적 어획고를 최대로 늘릴 수 있거나 과학적 또는 문화적 관심사의 특성을 보호하는 기능을 위한 목적으로도 제공된다. 그러므로 생태학적인 하천유지유량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충분한 물을 확보하고 쾌적한 하천을 유지할 수 있는 맑은 물을 하천에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하천의 생태학적인 측면에서는 서식지 보호를 고려한 계획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개발은 하천정비, 골재채취, 수중 보와 하구 둑 등 하천시설물 건설, 그리고 댐 및 교량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하여 하천환경이 심각하게 변화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댐 건설로 인해 하류지역에 수리학적 변화와 하상 변동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최상류에 건설된 용담다목적댐에 의해 인위적으로 하천유입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리학적 변화를 모의하여 댐 건설이 금강 상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댐 건설전 자연유출량 및 댐 건설후 하천유지유량에 의한 하천의 건조면적, 습지면적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천의 한계소류력과 하도를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 바닥면 전단응력을 산정하여 그 차(差)를 활용하여 유량에 따른 유사이송현황을 모의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visual하게 표현하고자 GIS 기법을 이용하여 주요구간에 대한 유사이송현황을 도시하였다.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

  • PDF

Field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luvial Sediment in the Cheongmi-Stream(I) - Hydraulic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청계천에서의 하천 유사 측정 및 분석(I) - 수리량 및 유사량 -)

  • 유권규;우효섭
    • Water for future
    • /
    • v.24 no.2
    • /
    • pp.71-79
    • /
    • 1991
  • Some selected hydraul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average velocitv, geometry of the channel cross-section, and water temperature, and sediment-characteristics including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 and the size distributions of suspended and bed-sediments were collected at two measuring stations in the Cheongmi-Stream during a flood period. The river bed investigated for this study is composed completely of sands, and it can be considered a typical alluvial channel.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e collected are as follows: 1) Only during floods, a substantial sediment transport occurs in the river; 2) The stage-discharge relations are changed frequently, especially for low flows; 3) The friction in the flow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flow discharge; 4) Slits and clays are dominant in suspended sediments during normal flows, while sands are dominant during floods; 5)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the flow velocity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can be described, respectively, by Prandt1-von Karman's log-law and Rouse's exponential law. It is judged that the above results are commonly adapted for other alluvial rivers, although they were obtained from a limited number of data collected from a specific river reach.

  • PDF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자연형 소하천정비사업의 식생특성 분석)

  • Yeon, Gyu-Bang;Kang, Sang-Jun;Yun, Kang-Hun;Lee, Jong-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57-66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자연형 소하천정비 시범사업 중에서 2003년 하천정비공사가 완료된 후 식생의 침입과 정착하는 과정을 조사함으로서 교란된 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는데 생태학적으로 어떤 공법이 최적의 공법인가를 알아보고자 각 호안공법 별로 식생의 변화특성을 분석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동 소하천에 적용된 다양한 공법(자연석 쌓기, 식생축조블록, 그린리버(환경)블록, 스톤넷, 친환경 돌망태, 식생매트, 환경블록 H형, 반딧불 블록, 지오그린셀, 자연석 3단쌓기 호안)으로 정비된 자연형 하천 복원 후의 식생조성과 목본식물의 침입 및 정착 과정을 조사하였다. 9가지의 공법 중에서 식생 조성과 목본식물의 침입과 정착에 양호하다고 판단된 공법은 자연석 2단 및 3단 쌓기가 가장 좋다고 판단되었고, 그 다음은 지오그린셀 공법, 식생 매트 공법 그리고 그린리버 공법의 순이었다. 친환경 돌망태 공법, 환경블록 공법, 환경 H블록 공법, 식생 축조 블록 공법 및 반딧불 블록 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하여 적절하지 못한 공법이었다. 각 공법 간 식생 조성의 유사도 비교에 의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천 복원 후 하천 변의 식생이 한 방향으로 서서히 수렴되어 가고 있었다. 하천 공법에 관계없이 봄에 침입하는 식물을 보면 둑의 사면에는 갈퀴나물, 큰김의털, 쑥, 환삼덩굴, 점나도나물 이었고, 수로에는 고마리, 소리쟁이, 미나리, 개구리자리였다. 여름에는 둑 사면에 망초, 억새, 환삼덩굴, 토끼풀이, 수로에는 고마리, 미나리, 미국가막사리, 닭의장풀, 그리고 가을에 많이 침입한 식물은 사면에 파종된 외래식물인 큰김의털, 식재한 억새, 강아지풀 및 환삼덩굴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처음 침입한 목본은 갯버들, 아카시나무, 내버들 및 버드나무 등 4종이었으나, 1년 후에는 싸리, 산딸기, 쥐똥나무 및 뽕나무가 새로 침입하였다. 이렇게 침입한 목본식물들은 복원된 하천에 다른 물리적인 교란이 심하게 가해지지 않는다면 당분간 계속 생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s of An Extreme Flood on Habitual Environment of Aquatic Ecosystem of Urban Stream (거대홍수가 도시하천의 수생생태계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2
    • /
    • pp.105-11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extreme flood on urban stream's habitat environment at Shincheon stream in Daegu. In case of Shincheon stream, as any extreme floods have not flowed over the artificial bank, an extreme flood have an effects on inner part of confined channel. To make riparian park along Shincheon channel, Concrete and rubber weirs are constructed. These weirs interrupted flow of running water as obstacles during extreme flood, and running water moved aside into and destructed banks of lower-flow-channel. In reach of no weir, as all small-scale topographic bedforms were eliminated, habitat environment of river ecosystem was simplified, and biodiversity of river ecosystem was decreased. As simplified riverbed become irregular bedforms through frequent small-scale-floods, river ecosystem will become vigorous.

  • PDF

Two 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Considering Weir Operation on Nakdong River (보 운영을 고려한 낙동강에서의 2차원 수리해석)

  • Park, Jun Hyung;Lee, Jae Yeong;Kim, Beom Ji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1-361
    • /
    • 2016
  •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최근 10년 동안 해마다 홍수와 가뭄 피해가 극심하였고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다기능보 건설 및 준설을 통하여 용수확보 및 홍수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로인해 하천환경이 많이 변하였으며, 그에 따른 하도의 안정성 확보 및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체계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24시간/365일 하천상황 분석과 함께 실시간 수리학적 체류시간 분석 등을 통한 하천 및 하도내 수자원 관리 기초자료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된 하천을 정확히 반영하고, 보의 운영조건을 고려한 2차원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기능보의 지형조건과 운영조건을 반영할 수 있는 EFDC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에 대해 2차원 수리모형을 구축하였다. 자료기반모형을 이용하여 지류 유입량을 예측하여 적용하였으며, 보 상류 및 하류부 수위를 상 하류단 경계조건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보별 유입량 및 보 상류의 주요지점의 수위, 유량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확정론적 방법과 추계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주요지점에서의 유량 및 수위 수문곡선, 수위/유량 종단양상, 주요지점별 도달 시간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정론적 수위 및 유량의 홍수기 및 저 갈수기, 계절 및 분기, 일단위및 시단위 등의 시계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유량규모별 전파 양상을 분석하여 강우-유량-도달 시간의 조건표를 제시하여 보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낙동강에서의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보 운영 및 하천 유지관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