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력가정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7초

응급실 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공감피로 및 직무열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in Emergency Nurses)

  • 김희준;이영진;유문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0-308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compassion fatigue, and work engagement among nurses in the emergency unit.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07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Do. The instruments used were a verbal abuse checklist, a subscale of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used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2.0 program for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Emergency nurses experienced more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than nurses in other departments, and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was low.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ompassion fatigu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of these variables and work engagement. Particularly, verbal abuse appeared in the order of nurses, patients & caregivers, and doctors. This means there were serious problems with communication with nurses.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verbal abu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ulture of mutual respect between nurses, medical staff, patients & caregivers. Moreover, a compassion fatigue management program is needed to reduce emotional fatigue.

기혼 남녀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예측성 연구 : 부부폭력을 중심으로 (Predicting Resilience of Married Couples : Focused on the Couple Violence)

  • 방현주;윤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27-13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how well the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using selected ENRICH subscales measure couple resilience of spouse abusing couples; (2) to verify how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differentiate abusive partners from non-abusive partner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nonviolent couples h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family resilience factors than violence experienced couples. The accuracy of discriminant analysis was as high as 85.7% for non-violent couples and 85.4% for violence experienced couples. Wherea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ouple's flexibility had the highest discriminant power, socioeconomic resources and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had little contributed.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predictors of family resilience have high discriminant power for distinguishing violent groups from non-violen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linically utilized in identifying violent groups and designing couple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were discussed.

가정폭력 행위자를 위한 통합모델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The effect of a Group Therapy for the Offenders of Family Violence)

  • 현미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20-42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group therapy to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ger, stress coping and communication of those who were violent in to family.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one-group-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March to October, 2005. Participants were 14 offenders who were ordered to be counseled according to 'the special exemption law for punishing domestic violence.' Group therapy was applied once a week for 8 weeks. Results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for self-esteem, anger, stress coping and communication. In the data analysis, Wilcoxon signed test with SPSS/WIN 12.0 program was used. Results: The scores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pre to post therapy. However, the scores of anger and stress coping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from pre to post therapy. Conclusion: This group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in offenders of family violence.

요양보호사의 폭력경험과 대처방법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olent Experiences and Coping on Job Stress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옥선;오진환;이기령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9-18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job stress among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25 caregivers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general characteristics, violent experiences, coping, and job stress from February 2 to March 10, 2015.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Results: The rate of violence experienced by caregivers was 99.2% for verbal abuse, 99.2% for physical violence, 95.2% for physical threatening, and 62.3% for sexual abuse. The mean score for coping and job stress was above average. Job stress significantly differed by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facility size, and policy on workplace violenc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tress included policy on workplace violence, violent experiences, and education level.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8.0% of the variance in job stress. Conclusion: To improve job stress of caregiv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for violenc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s that allow caregivers to work safe from violence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ANALYSIS OF THE PSYCHIATRIC SEQUELAE IN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 육기환;이호분;노경선;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32-241
    • /
    • 1997
  •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은 경우, 물리적인 측면보다는 정신적인 문제가 더 클 수 있다. 폭력을 당한 이후에 공포심, 우울감, 분노감, 자존심의 저하, 자살, 그리고 만성적으로는 인격장애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학교폭력과 연관하여 사회심리적인 위험요인을 조사하고, 동시에 폭력에 노출된 후에 나타나는 정신의학적 후유증을 알아보는 일은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에 주요한 임상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교폭력의 실태조사만큼이나 중요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5월 사이에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고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환자 13명을 대상으로하여 임상자료와 사회심리적 배경을 조사하였다. 임상자료는 폭력의 정도와 동기, 기간과 방법, 폭력후의 정신과적 증세, 심리검사 소견 및 치료경과 등을 포함하였고, 사회인구학적 자료는 대상들의 성장과정과 가족적 특성, 그리고 학교생활과 교우관계였다. 13명의 전체대상 중 8명은 만성적인 정신장애를 겪은 반면, 5명은 $1{\sim}3$개월동안 불안, 우울, 및 자살기도등의 일시적인 정신과적 증상을 겪은 후에 학교와 가정생활에 복귀할 수 있었다. 만성 정신장애를 보인 8사례 중, 4명은 폭력을 경험한 후에 $3{\sim}6$개월 이상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및 우울장애를 나타냈으며, 다른 4명은 폭력으로 인한 정신적 충격을 일정기간 겪은 후 피해에 대한 강한 보상심리 또는 가해자에 대한 동일시 등에 의하여 공격적인 행동장애 내지 폭력가해 사례가 되었다. 만성적 정신장애를 보인 사례들은 일시적인 급성스트레스장애를 나타낸 사례에 비하여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신체적인 약점이나 질환, 자아기능의 결손, 가족적 지지체계의 결핍 등을 특징적으로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 피해사례들의 임상적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심각하고 만성적인 정신장애가 나타난 한편, 임상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 일부가 가해 사례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내학대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to Domestic Violence - Centering around wife abuse -)

  • 황미진;송기춘;오광실;유현숙;하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113-12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olice officers' percep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ir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6 police officers around Iksan provinc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55.3% of the respondents had received training on domestic violence. Second, 64.6% of police officers had experienced cases of domestic violence, and 65.4% of them had chosen passive action in domestic violence situation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knowledge of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and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sible violence and the intervening attitudes of the police officers, and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associate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their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knowledge of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and the intervening attitudes of police officers were the next powerful predictors of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f domestic violence.

산전·조기 아동기 가정방문 프로그램 참여 여성이 경험하는 가정폭력에 대한 간호실무 분석 (Nursing Practices to Address Domestic Violence in a Prenatal and Early Childhood Home Visitation Program in Korea)

  • 전경자;강영호;조홍준;조성현;김유미;이지윤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9
    • /
    • 2022
  • Purpose: Domestic violence is an important issue encountered in nurses' home visitation programs.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domestic violence and associated interventions provided by nurses in a prenatal and early childhood home visitation program in Korea. Methods: For 24 families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in the Seoul Healthy First Step Project,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home visit nursing records were analyzed through direc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Physical violence was found in all 24 cases, followed by emotional violence, coercive control, financial abuse, and sexual violence. Twenty-two interventions derived from existing nurse-family partnership (NFP) program strategies were identified in the nursing practices of the Seoul Healthy First Step Project. Conclusion: In a prenatal and early childhood nurses' home visitation program in Korea, various approaches and interventions were provided to nurses to address domestic violence. Howev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ventions provided by nurses were found, implying a need to educate and support nurses to address domestic violence in-home visitation programs.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내 사회자본 조절효과 -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elf-identity of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mily social capital)

  • 박재은;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11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학교폭력 경험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지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2012)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 Statistics 22.0 version이었으며,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계수, 독립 t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감, 가족 내 사회자본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는 평균보다 다소 높았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행피해, 부모의 관심애정, 부모의 친구인지가 자아정체감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 분석 결과 통제변수 중에서는 성별, 모친의 최종학력,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유의미하였고, 학교폭력 경험 하위요인인 비행가해는 정적 관계로, 비행피해는 부적 관계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졌으며, 가족 내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관심애정과 친구인지도 모두 정적 관계로 자아정체감의 영향력을 높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경험(비행가해 및 피해)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 내 사회자본(부모의 관심애정 및 친구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관심애정, 비행가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 비행피해에 대한 부모의 친구인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비행피해와 부모의 관심애정 상호작용 항을 투입했을 때는 부(-)의 상호작용 효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 송재홍;김광수;박성희;안이환;오익수;은혁기;정종진;조붕환;홍종관;황매향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485-50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교대생 600명과 초등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교대생 451명과 초등교사 289명의 응답 결과를 기초로 학교폭력에 노출된 경험과 심각성 인식, 학교폭력의 원인, 예방 및 대책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관련 교과의 개설 및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여 반응 백분율과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두 집단 간 반응 차이의 유의도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절반 이상이 학창 시절 학교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고, 학교폭력이 상당히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초등교사가 교대생보다 유의하게 높다. 둘째, 그들은 '가정의 붕괴와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 부족'과 '왜곡된 친구관계와 학교폭력서클의 만연'을 학교폭력의 주요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감정조절 능력의 부족'과 '사회적 대처 기술의 부족'을 각각 가해 원인과 피해 원인으로 인식한다. 셋째, 그들은 학생들의 학교폭력을 목격할 때 관련 학생의 학부모와 면담하여 협조를 구하거나 책임교사(또는 상담교사)와 학교 당국에 알려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면서도 그와 관련된 어려움을 함께 호소하고 있다. 넷째, 그들은 정부의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에 대해 중요성은 비교적 높게 인식한 반면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그들은 교사양성기관에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에 대체로 찬성하며, 그 비율은 교대생이 초등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 PDF

방사기저함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Modeling of Depressio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93-298
    • /
    • 2017
  • 이 연구는 방사기저함수(RBF)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을 구축하였다. 전국조사에 참여한 만 9세 이상 12세 이하 다문화 자녀 초등학생 23,291명(남 12,016명, 여 11,27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변수는 이분형의 우울증상 경험으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거주지역, 사회적 차별 경험, 지난 1년간 학교폭력 경험, 한국어 교육 경험,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이용경험, 한국어 읽기, 한국어 말하기, 한국어 쓰기, 한국어 듣기, 한국 사회 적응 교육 경험을 포함하였다. RBF 인공신경망 모델링 결과, 한국어 교육 경험, 학교 폭력 피해 경험, 한국 사회 차별 경험, 한국어 읽기 수준은 다문화 초등학생의 우울증상을 분류하는 주요 예측 요인이었다. 다문화 아동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한국어 읽기 수준이 저하된 집단에 대한 우선적인 관심과 상담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