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브랜드 자산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7초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 나윤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4
    • /
    • 2016
  • 사회적기업의 브랜드를 추구하는 패션 소비층은 개인적인 가치 기준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고 자신만의 감도를 찾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패션 사회적 브랜드는 새로운 각도에서 소비자들을 이해하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세부적 요인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며,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패션사회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진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bigcirc}{\bigcirc}$ 패션 사회적 브랜드 상품구매경험자를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감성적 유대는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감성적 유대,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

패션브랜드 자산 측정모델의 등치테스트에 관한 연구 (Testing for Measurement Invariance of Fashion Brand Equity)

  • 김혜정;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83-1595
    • /
    • 2004
  • 치열한 경쟁구조하의 패션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자산은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이는 브랜드 자산이 소비자가 브랜드에 가치를 부여하는 원천을 알게 함으로써 향후 브랜드 전략 수립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브랜드 자산 관리에서의 핵심이란 곧 소비자 자산의 측정에 관한 부분일 것이다. 과거 20여 년간 마케팅 분야에서는 브랜드 자산 측정방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기존의 접근에서 다루어진 패션브랜드 자산의 측정들은 패션브랜드만의 다차원적인 사회 심리적 특성을 반영하기에 미흡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김혜정과 임숙자(2002)는 Heller(2001)의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을 기초로 하여 패션 브랜드 자산의 척도를 제안하였다. 그들은 패션브랜드 자산은 소비자 지각에서 위계적인 형성과정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형성과정은 브랜드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러나 각 브랜드 간의 자산 크기에 대한 상대적 비교는 유보되었는데, 이는 보다 엄격한 psychometric 검증을 결여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의 후속 분석으로, 측정척도에 대한 확증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이의 측정모델(Measurement Model)에 대한 다모집단(Multi-Group)의 등치테스트(Invariance Test; 동일변량 가정)를 통해 경쟁관계의 두 브랜드에 대한 자산 크기의 상대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AMOA 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패션브랜드 자산은 6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다차원의 개념이며 이들은 16개의 관찰변수를 통해 유의하게 측정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객-브랜드 공명'차원을 제외한 5개의 구성요소(고객감정, 고객판단,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성능, 브랜드 인식)의 평균값 비교에서 두 브랜드 간의 상대적 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검증됨으로써 특정 브랜드의 자산이 고객에게는 보다 월등한 것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 간 자산 크기의 상대적 비교에 대한 통계적 타당성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패션 브랜드 EXR의 브랜드 매니지먼트 사례 (Case on Brand Management of the Fashion Brand EXR)

  • 민복기;이혜주;김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20-232
    • /
    • 2010
  • 이제 기업이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영업단계에 머무르는 것만으로는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기가 어려워 졌다. 보다 소비자를 잘 이해하고, 보다 그들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마케팅과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패션브랜드 EXR은 런칭 초기부터 체계적 브랜드 매니지먼트 과정을 실행해왔다. '소비자 브랜드 지식'의 총체가 결국 그 기업 브랜드의 힘, '브랜드 자산'을 완성한다는 케빈 케인 켈러의 '고객에 의한 브랜드 자산'에 일거하여 고객에게 '기능성'과 '디자인' 두 가지 영역 모두를 만족시키고자 그 궁극의 브랜드 자산인 캐포츠('Character Sports Casual'의 합성어) 영역을 개척하고, 그들만의 아이덴티티인 'PROGRESSIVE'를 구축하였다. 브랜드 매니지먼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명확한 비전과 이를 통한 구체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규명이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것을 조직 내 구성원 전체가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이 장기적으로 유지, 관리되기 위한 통합적인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이것을 토대로 EXR은 그들의 브랜드 및 마케팅 전략 실행의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브랜드 'EXR'의 브랜드 구축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패션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브랜드 매니지먼트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패션 브랜드 자산가치(資産價値)의 구성요인(構成要因)에 관(關)한 연구(硏究) - 진(Jeans)브랜드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 Emphasis on Jeans brands -)

  • 이지원;나수임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2호
    • /
    • pp.117-146
    • /
    • 2006
  • The brand equity is defined differently as each view of careers such as consumers, producers, distributors, however, the brand loyalty can be thought to be made from consumers, which means that it can be more reasonable to be looked into as part of consumer rather than financial affairs or account. The brand equity based on the customers' perception can be called the preference that it be made after the presence of brand. The value of the brand that consumers feel emotionally is as important as the value of the brand in the real marke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rand loyalty in the future by the consumer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This inclinable feeling to the brand can be connected to the purchase, however,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consumer's emotional attitude to the brand is less considered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brand awareness and the brand experience after using it, the identity as perceived quality, brand personality, consumption emotion, the brand image and how the consumer emotionally feel the brand, the brand loyalty for fashion br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how to build the value of the fashion brand equity after investigating into those factors.

캐주얼 의류 브랜드에서 브랜드와 광고 모델의 개성요인과 개성 일치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 전형진;신상무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16-27
    • /
    • 2011
  • Consumers fill up not only their needs but also their own identity through apparel product and company. From this point of view, Brand personality is essential to convey customer's personality through advertizing influencing on buying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d up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individuals who used to buy casual apparel brand. A total of 58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internal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ual apparel brands,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influence on personality congruence.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s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loyalty among brand equity.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자아일치성이 애착과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congruity with Hallyu Human Brand on Attachment and Brand Equity)

  • 김은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37-550
    • /
    • 2023
  • 본 연구는 한류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한류 휴먼브랜드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를 중심으로 한 학술적인 논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을 자아일치성, 휴먼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자산 요인으로 검증하였다. 한류 소비가 많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403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류 휴먼브랜드와의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은 한류 휴먼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고객자산 구성요소가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럭셔리 패션 제품 구매빈도와 구매액에 따른 세분시장별 분석 - (The Effect of Luxury Fashion Brand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 - Differences among Segmented Markets based on Purchasing Patterns -)

  • 황유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9-230
    • /
    • 2013
  • To generate future profits, luxury brands need to recognize and understand customers as individually important and analyze the impact factors that improve specific customer equity. With the growing recognition that customer equity is a key strategic asse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 based on the study of Vogel et al.(2008) which expanded the Rust et al.(2000)'s study on customer equity. We empirically examine if the customer equity drivers have a different impact on customer loyalty.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relative effect of customer equity drivers w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and examines the effects of them on the relationship of the drivers of customer equity and customer loyalty. We us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 of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nd customer loyalty. Relationship equity influences customer loyalty more strongly than value equity and brand equity. Customers seem to build loyalty based on the careful assessment of all costumer equity drivers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In addition, their relative impa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A company cannot maintain all customer equity drivers at a high level with limited marketing resources; therefore, marketing investment for all customer equity drivers need to be allocated differentially depending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패션제품 광고표현요소와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브랜드 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of Fashion Products on Brand Equity -Focused on Mediate Role of Brand Personality-)

  • 이승희;장윤경;박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659-166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on brand equit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brand personality as a factor mediate variable. The subject used for this study were 352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nd Amos program. As the result, model fit index showed $X^2$=57.824, df=19, GFI=0.969, CFI=0.959, NFI=0.942, and RMSEA=0.076, providing good model fit. Out of the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sophistication and model preference factors gave impact on brand personality. Also, among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novelty, sophistication, model preference, information factors affected brand equity. Finally, brand personality influenced on brand equity. Brand equity was affected directly by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It was also affected by brand personality which is a mediate factor between advertising expressive factors and brand eq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advertising strategy for fashion brand.

브랜드 스토리의 진정성과 허구성이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of brand story on customer-based brand equity)

  • 석효정;이은진;박성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3호
    • /
    • pp.381-402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ub-dimensions of the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of a brand story and analyze the effects of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on customer-based brand equity. Data were obtained from a group of 213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Korea using an online survey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the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of a brand story are composed of reality, excitement, exaggeration, fictional symbolism, influence, sincerity, relativeness, mysteriousness, and unreality. Of these, sincerity, excitement, reality, influence, and mysterious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imagery; sincerity particularly exerted a relatively more substantial influence on brand imagery. Also, influence, mysteriousness, excitement, and relativeness impacted performance positively, and exaggeration impacted performance negatively. This indicated that a well-constructed brand story with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rand image. Excitement, mysteriousness, reality, relativeness, sincerity, and influence of a brand stor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judgement. In contrast, only excitement and influence positively impacted brand feelings, and unreality had a negative impact on feelings. The exciting and influential brand story impacted brand attitude. Also, brand image and attitude positively impacted sharing and purchase intention, while brand performance did not affect recommendation inten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identifying a brand story's attributes, authenticity, and fictionality and provide insights for marketers on creating brand stories to increase brand image and attitude and to build customer-based brand eq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