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상도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2초

서해안 곰솔림에서의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 및 확산 유형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 이승규;김경희;김연태;박주용;이상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8-212
    • /
    • 2005
  • 2002년 6월에 서해안의 태안군 남면 달산3리에 위치한 약 20ha의 곰솔림내 27개소에서 각 개소당 평균 10나무씩 무리를 지어 합계 294그루가 고사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2002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4개 고정조사구에서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의 상태와 피해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1) 피해목이 최초 고사목 발생장소로부터 불규칙 동심원을 이루면서 확산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 파상땅해파리버섯이 죽은 나무의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해충이나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아이 지역에서의 나무집단고사는 리지나뿌리썩음병원균(Rhizina undulat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해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지 토양의 pH는 $4.6\~5.79$이었으며, 토양양료수준도 대단히 낮은 상태이었다. 태안 피해지에서는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의 중요한 유인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닥불 등 '불'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병해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유인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파상처리와 지베렐린을 이용한 무늬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um')의 휴면타파 (Scarification and Gibberellic Acid Affecting to Dormancy Breaking of Variegated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um'))

  • 이용하;이승연;박주현;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296-302
    • /
    • 2014
  • 무늬 둥굴레는 화훼장식의 절엽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봄과 여름 시기에만 생산되는 제한적인 시장성을 가지고 있다. 무늬 둥굴레의 연중생산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저온처리를 대신하는 무늬둥굴레의 휴면타파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베렐린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무늬둥굴레의 휴면을 타파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휴면 상태의 무늬둥굴레 근경에 지베렐린을 두상관주 하였을 때에는 휴면타파가 이루어 지지않았다. 하지만 지베렐린을 처리하기 전에 면도칼로 무늬둥굴레의 표피에 상처를 내어 지베렐린을 관주하거나 주사로 지베렐린을 직접 주입하였을 때에는 1년차 실험에서는 $GA_3$ $400mg{\cdot}L^{-1}$를 처리했을 때 각각 100, 83.3%의 휴면타파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면도날이나 주사기를 사용했을 경우 무늬둥굴레에 물리적인 피해가 나타나 NaOCl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를 사용해 보았다. 솜에 묻힌 4%의 NaOCl을 6시간 또는 24시간 처리한 이후에 $GA_3$ $400mg{\cdot}L^{-1}$를 처리했을 때 휴면 상태의 무늬둥굴레에서 각각 70%와 86.7%의 휴면타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대조구나 지베렐린의 관주처리에 비하여 물리적인 처리 이후 지베렐린을 처리했을 때 엽수가 더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베렐린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 무늬둥굴레의 휴면을 효율적으로 타파시켜서 절엽의 주년생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중국해 남서부 지역에서의 지구조 분석 및 순차층서학적 연구 (Structure and Sequence Stratigraphy in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South China Sea)

  • 이응규;이기화
    • 지구물리
    • /
    • 제2권3호
    • /
    • pp.179-190
    • /
    • 1999
  • 남중국해 남서부 남콘손분지 지역에서 광역적인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지구조적 분석을 시도하고,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에 대해 3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탄성파층서 분석을 통한 퇴적층서, 퇴적환경 및 구조적 진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3차원 탄성파 자료 및 2개 시추정자료를 활용하여 제3기 마이오세층에 대한 8개의 연계층을 해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도, 층후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각 연계층 및 연계층 경계면에 대한 탄성파상(seismic facies) 분석을 시도하였다. 3차원 탄성파지역의 특성은 연계층내 해침환경하의 퇴적층에서 석탄층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연계층 경계부 위에 하도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이오세 초기층은 석탄층 및 두꺼운 셰일층으로 대변되는 습지환경의 육해성 점이지대 퇴적층이 주로 분포하다가, 중기 및 후기 마이오세에 이르면서 본격적인 침강 및 해침 작용으로 천해성 대륙붕 환경하의 쇄설성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계층에 대한 층후도 및 구조적 발달 상태로부터 퇴적물은 서에서 동으로 혹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채집된 갈치꼬치과(Gempylidae) 어류 1 미기록종, Lepidocybium flavobrunneum (First Record of the Escolar Lepidocybium flavobrunneum (Perciformes: Gempy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송영선;명세훈;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31
    • /
    • 2020
  • 농어목(Perciformes) 갈치꼬치과(Gempylidae)에 속하는 Lepidocybium flavobrunneum 1개체(체장 910 mm)가 2016년 4월 28일 한국 제주도 해역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극조가 매우 짧으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뒤쪽에 각각 6개와 5개의 토막지느러미를 가진다. 또한 꼬리자루에 강한 측융기선 1개와 그 뒤쪽에 2개의 작은 돌기가 있고, 체측에는 불규칙한 파상무늬의 측선이 구불구불하게 뻗어 있다. 이 종의 새로운 속명과 국명으로 '흑갈치꼬치속' 및 '흑갈치꼬치'를 제안한다.

한우에서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음파상 (Ultrasonography Of Jugular Vein, Carotid Artery and Thyroid Glands in Native Korean Cattle)

  • 김명철;변홍섭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5-208
    • /
    • 2000
  • 소에서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으파상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우 9두에서 6개월경으로부터 12개월령에 도달할 때까지 1개월 간격으로 성장에 따른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의 초음파상을 측정하였다. 경정맥, 경도맥 및 갑상선은 경부의 양측에서 관찰하였다. 경정맥의 내경은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8.5, 8.7, 8.8, 9.5, 10.0, 10.5, 11.5 및 12.2mm를 나타내었다. 경동맥의 내경은,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7.4, 7.5, 8.6, 9.1, 9.4, 9.7, 10.1 및 10.3mm 이었다. 갑상선엽의 길이는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28.0, 32.1, 36.4, 42.2, 51.7, 53.2, 55.1 and 58.8mm이었다. 갑상선엽의 높이는 6, 7, 8, 9. 10, 11, 12 및 13개월령에서, 각각 13.6, 15.3, 16.1, 20.7, 22.9, 25.6, 28.9 and 29.4mm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측정 결과는 한우에서의 경정맥, 경동맥 및 갑상선에서의 형태학적 변화의 진단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해시성시총체포국여교통체계 (METROPOLITAN TRANSPORT PLIGHT AND ITS CONTROLLING POLICY)

  • ZHANG CHUNHU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1995년도 한-중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
    • /
    • pp.61-68
    • /
    • 1995
  • 진쾌파상해건성국제경제, 김융, 무역중심지일, 저시상해성시적발전 목표o실현저개목표,수요유합리적성시총체포국여완선적종합교통체계. 상해시일개구유복잡공능급특정지리조건적특대성시,기발전필연요유 일개괄응뉴합형포국결구적성진체계. 중심성구요안조 "다심개폐식"적 포국결구래조정, 우화토지사용공능. 규화건설호완선적성시종합교통체계,요십분중시항구건설,가강심수 항, 항공항, 신식항적건설;하결심건설호포괄쾌속철로, 고속공로재내적 쾌속교통체계, 완선지함, 지하, 고가상결합적공공교통망락;명학교통정 책여강화규화관리, 사해결교통여합리포국긴밀결합기래.

  • PDF

일본산 청베도라치과 어류 1미기록종, Istiblennius dussumieri (First Record of the Blenniid Fish Istiblennius dussumieri (Blenniidae, Perciformes) from Japan)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4
    • /
    • 2000
  • 1996년에서부터 1999년까지 일본 Kochi현의 Shirano-hana에서 채집된 청베도라치과 어류 6개채 (체장 20.6~52.0 mm)률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Istiblennius dussumieri (Valenciennes, 1836)로 확인되어, 일본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I. dussumieri는 가슴지느러미 연조수가 14개, 척추골수가 38~42개, 안상피돌기는 가지가 나있고, 둥지느러미에는 파상형의 무늬가 있으며, 체측에는 7~10개의 어두운 횡대가 있으며, 양턱에는 견치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종은 Kuroshio 난류에 의해 이동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I. dussumieri의 지리적 분포에서 서태평양 일대의 최북단 출현 지역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목되었다.

  • PDF

Elliptic 필터 함수의 시간영역측성에 대한 고찰 (The Time-Domain characteristics of Elliptic Filter Functions)

  • 한병성;김형갑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7-42
    • /
    • 1983
  • Elliptic 함수는 허수 축상에 영점을 가지며 통과영역과 차단영역에서 같은 파상을 갖는데 결과적으로 elliptic 함수는 천이영역을 최소로함으로써 감도면에서 최적인 상태를 만들 수 있으나, 시간 영역에서의 특성은 Chebyshev 함수나 Butterworth 함수 응답 특성보다 떨어진다. 본 논문은 통과영역 감쇠율, 차단 주파수 ωs 등과 같이 여러 요소를 변화시켰을 때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단위계단 응답은 임펄스 응답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성이 나타났는데 elliptic 필터 함수의 계단 응답은 높은 고유주파구에서 오버슈우트와 언더슈우트가 크고 빠르게 발생했고 초기값은 ωs가 증가하므로 감소하나 원점에서 시작하지는 않았다. Butterworth나 Chebyshev의 경우와는 다르게 임펄스 응답은 원점에서 시작하지 않는 것도 있으며 위와 같은 독특한 특성을 알아보도록 8개의 특성곡선을 제시하였다.

  • PDF

最近의 高性能傳熱管의 開發 (Recent Developments in High-Flux Heat Transfer Tubes)

  • 서정윤
    • 기계저널
    • /
    • 제18권3호
    • /
    • pp.18-24
    • /
    • 1978
  • 열고환기에는 boiler와 같이 다량의 열 energy를 취급하는 것을 비롯하여 가정용 냉장고, 냉방기 기와 같이 비교적 적은 양의 열 energy를 취급하는것, 가종 고온 gas-gas 열교환기, 초전도송전 등의 초저온기기에 부속되는 저온열교환기 혹은 배열회수, 태양열이용을 위한 장치에 포함되는 열교환기등이 있으며, 그 종류와 내용에 있어서 다양하다. 따라서 새 형식의 열교환기 혹은 우수 한 전열특성을 갖는 표면, 형상을 갖는 전열관의 연구, 개발은 한층더 절실하게 요망된다. 최근주 목을 받고 있는 열교환기용전열관중에는 관축방향을 따라 표면을 파상으로 가공한 것(corrugate 식)과 축과 평형이 되게 만든 좁은 흠을 갖는 관(fluted tube)등이 있는데 이들에 있어서는 다같 이 표면의 요철에 의한 면부근의 난동을 촉진시켜서 우수한 대류열전달의 특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응축과 비등등의 상변화를 동반하는 열전달에 대해서는 세구, 기공질금속층, 세공등을 갖는 면에 관해서 새로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후자의 전열면은 유축열전달에서는 평활면보 다 약10배의 높은 열전달율을 가지며 불등열전달에서는 벽면과 액의 온도차는 평활면의 경우보다 약1/5의 값을 갖는다. 동시에 한계열유속은 5활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후자의 전열면중에서 최근에 알려진 비약적으로 높은 전열성능을 갖는 전열면에 관해 서 소개하기로 한다.

  • PDF

온도 및 황산처리가 헛개나무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ulfuric acid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이강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6-172
    • /
    • 2001
  • 본 연구는 헛개나무 종자의 휴면 타파 방법과 발아 조건을 구명 하고자 실시하였다. 종피를 제거하지 않은 종자는 온도와 상관없이 발아하지 않았으나 종피를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15^{\circ}C$에서 94%가 발아되었다. 종피를 파상하기 위한 휴면타파 방법은 농황산을 40분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종자를 건조 저장하였을 경우 채종 후 5년까지도 발아능력은 유지하고 있으나 발아율이 다소 낮아졌고 평균발아일수가 길었다. 장기(5년) 저장한 종자는 30일 이상의 저온처리에 의하여 발아율이 높아져 저온처리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