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overall structural framework was studied using the regional 2D seismic data, followed by the sequence stratigraphic study on the 3D seismic and well- log data in the margin of the South Con Son basin of the South China Sea.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elineate depositional stratigraphy,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geologic history in the 3D seismic area of highly complicated faulting. Eight Miocene sequences were indicated on the 3D seismic and well-log data, in which the structural maps of each sequence boundary and the isochron maps for the corresponding sequence were made. The seismic facies were analyzed for each sequence volume and sequence boundary surface. The 3D seismic area is characterized by coal beds deposited in the transgression environment (transgression systems tract) and channel distributions just above the sequence boundaries. During the Early Miocene, the coals and thick shales deposited in the mangrove swamp representing the lower coastal plain environment. During the Mid to Late Miocene, thick clastic sediments deposited in the coastal to shallow shelf by regional subsidence and marine transgression. The isochron maps and structural patterns indicate that the sediments were transported from west to east or from northwest to southeast.
남중국해 남서부 남콘손분지 지역에서 광역적인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지역의 지구조적 분석을 시도하고,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한 지역에 대해 3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활용하여 탄성파층서 분석을 통한 퇴적층서, 퇴적환경 및 구조적 진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3차원 탄성파 자료 및 2개 시추정자료를 활용하여 제3기 마이오세층에 대한 8개의 연계층을 해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조도, 층후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각 연계층 및 연계층 경계면에 대한 탄성파상(seismic facies) 분석을 시도하였다. 3차원 탄성파지역의 특성은 연계층내 해침환경하의 퇴적층에서 석탄층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연계층 경계부 위에 하도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이오세 초기층은 석탄층 및 두꺼운 셰일층으로 대변되는 습지환경의 육해성 점이지대 퇴적층이 주로 분포하다가, 중기 및 후기 마이오세에 이르면서 본격적인 침강 및 해침 작용으로 천해성 대륙붕 환경하의 쇄설성 퇴적물이 두껍게 쌓인 것으로 해석된다. 연계층에 대한 층후도 및 구조적 발달 상태로부터 퇴적물은 서에서 동으로 혹은 북서 방향에서 남동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