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반감기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토양에서 살균제 Iminoctadine Triacetate의 반감기와 잔류농도의 분석 (Analysis of Half-life Time and Residual Concentration of Fungicide Iminoctadine Triacetate in Soils)

  • 오해범;김일광;정승일;임방현;한성수;최용화
    • 분석과학
    • /
    • 제13권1호
    • /
    • pp.34-40
    • /
    • 2000
  •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살균제 iminoctadine triacetate의 잔류분석을 위한 최적 측정 조건을 구하고, 토양에서 반감기와 잔류농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시료 중의 iminoctadine triacetate를 2.0 M NaOH/methanol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hexafluoropentanedione과 반응시켜 pyrimidine 유도체를 얻었다. Pyrimidine 유도체를 trifluoroacetic anhydride로 아세틸화시키고, Sep-Pak 컬럼에서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전자포획형 검출기가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GC/ECD)로 분석하였다. 0.1 ppm과 1.0 ppm 표준물을 첨가하였을 때, 83.8~93.2% 의 회수율을 얻었며, 검출한계는 0.005 ppm이었다. Iminoctadine triacetate 의 반감기가 미사질 양토 경우에는 실내에서 30일, 야외에서 19.5일이었으며, 미사질 식토의 경우에는 실내에서 27일, 야외에서 17.5일이었다.

  • PDF

토양중(土壞中) 제초제분해(除草劑分解)에 미치는 수분(水分), 유기물(有機物), 석회(石灰)의 영향(影響) (Effect of Water, Organic Matter, and Lime on Degradation of Herbicide in Soil)

  • 오병열;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4-162
    • /
    • 1984
  •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와 첨가수준(添加水準), 석탄시용수준(石炭施用水準), 수분(水分),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殺蟲劑)와의 혼용(混用)에 의(依)한 Butachlor와 Nitrofen의 토양중(土壤中) 분리양상(分離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는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를 현저(顯著)히 저해(沮害)하였고 무균상태하(無菌狀態下)에서의 Nitrofen 반감기(半減期)는 Butachlor 보다 길었다. 2. 토양(土壤)의 담수처리(湛水處理)는 포장용수량상태(圃場容水量狀態)에서 보다 제초제(除草劑)의 분해효과(分解效果)가 컸으며 특(特)히 Nitrofe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담수(湛水)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였다. 포장용수량조건하(圃場容水量條件)에서의 Nitrofen 반감기(半減期)는 Butachlor 보다 2배정도(培程度) 길었다. 3. 유기물급원(有機物給源)으로서 볏짚은 벼그루터기에 비(比)하여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 분해촉진효과(分解促進效果)가 높았으나 볏짚첨가수준(添加水準)이 1,000kg/10a를 상회(上廻)할 때 토양중(土壤中) Butachlor 분해(分解)는 지연(遲延)되었다. 4. 석탄시용(石炭施用)은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하였으나 pH와의 직접적(直接的)인 관계(關係)는 없었다. 5.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殺蟲劑)와의 혼용(混用)에 의한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Butachlor의 반감기(半減期)는 단용(單用)에 비(比)하여 단축(短縮)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Nitrofen은 영향(影響)이 없었다.

  • PDF

토양(土壤)중 제초제(除草劑) alachlor 분해(分解)에 미치는 토양(土壤) 오염(汚染) 물질(物質)과 비료(肥料) 성분(成分)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Soil Pollutants and Fertilizers on Degradation Rate of Herbicide Alachlor in Soil)

  • 김영석;김용휘;문영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4-219
    • /
    • 1997
  • 토양중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 alachlor 분해(分解)에 미치는 퇴비(堆肥), 화학(化學) 비료(肥料), 중금속(重金屬), 합성(合成) 세제(洗劑)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중 alachlor는 1차 반응식(反應式)에 따라 분해(分解)되었으며 반감기(半減期)는 6.4일이었다. 퇴비(堆肥) 첨가(添加)는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시켰다. 화학(化學) 비료(肥料)중 질소와 칼리 특히 질소 첨가에 의하여 alachlor의 분해(分解)가 촉진(促進)되었다. 토양중 alachlor의 분해(分解)는 중금속(重金屬)에 의하여 억제(抑制)되었으며 Cd, Cr, Ni, Zn, Cu 첨가(添加) 토양(土壤)중 반감기(半減期)는 각각 11.0, 8.3, 7.9, 7.2, 6.7일이었다. 합성(合成) 세제(洗劑) 첨가(添加) 또한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억제(抑制)시켰으며 반감기는 7.5일이었다. 각종(各種) 물질(物質)을 첨가(添加)한 토양(土壤)중에서 alachlor의 분해율(分解率)은 토양(土壤)의 microbial biomass나 호흡율(呼吸率)과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 관계(關係)를 보여 각종(各種) 첨가(添加) 물질(物質)이 alachlor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혹은 억제(抑制)하는 것은 이들 첨가(添加) 물질(物質)이 분해(分解) 미생물(微生物)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또는 억제(抑制)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삼재배를 위한 차광조건이 인삼의 생육과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verings on the Growth of Ginseng and the Persistency of Procymidone in Growing Soils)

  • 김효근;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4-30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음지식물인 인삼의 재배에 필요한 차광조건이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몇 가지 차광재료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차광조건을 만들고서, 각 차광조건에서의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차광재료들을 인삼포장에 가설하여 만든 다양한 차광조건하에서 토양 중 Procymidone의 반감기는 차광재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혼합일복 (161일)>유리 (76일)>청색차광망 (39일)$\simeq$흑색차광망 (36일)>볏짚일복 (21일)>노지 (7일) 순이었고, 이러한 토양 중 잔류성의 변화는 각 차광재료들의 누수율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삼재배를 위한 차광시설의 존재는 토양 중 Procymidone의 잔류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농약의 토양 중 잔류성을 감소시키는 측면에서만 고려할 때, 강우시 가능한한 누수율을 증대시키는 차광재료들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토양 중 Prorymidone의 잔류반감기는 차팡재료들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각 차광재료들의 누수율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논 토양 및 현미중 Imidacloprid의 잔류성 (Residue of Imidacloprid in Hulled Rice and Paddy Soil)

  • 문영희;양희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4-387
    • /
    • 1999
  • 논 토양과 현미 중 살충제 imidacloprid의 잔류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내 조건의 토양 중 imidacloprid의 분해속도는 1차 반응식에 따랐으며 토양온도 및 토양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8-23^{\circ}C$의 토양중 imidacloprid의 반감기는 증식토에서 66.7-96.3일, 식양토에서 56.8-117.5일이었다. Arrhenius activation energy는 증식토에서 25.5KJ/mol, 식양토에서 50.3KJ/mol이었다. 포장조건하의 토양 중 imidacloprid의 분해는 처리 초기에는 매우 빨랐으나 점점 분해속도가 느려 1차반감기는 약 10일 정도이었으나 2차, 3차 반감기는 점점 길어져 처리량의 90%까지 분해되는데는 약 120일이 소요되었다. 현미 중 imidacloprid의 잔류량은 검출한계 0.01ppm이하이었다.

  • PDF

합성 Pyrethroid 계 살충제인 Bifenthrin의 토양환경중 동태 제1보. Bifenthrin 및 Cyhalothrin의 토양 및 수용액중에서의 분해양상 (Behavior of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 Bifenthrin in Soil Environment I) Degradation Pattern of Bifenthrin and Cyhalothrin in Soils and Aqueous Media)

  • 김장억;최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1992
  • 합성 pyrethroid계 살충제의 화학구조중 alcohol부분이 2-methyl biphenyl 그룹이 있는 bifenthrin과 ${\alpha}$-cyanobenzyl ester 그룹이 있는 cyhalothrin의 분해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토양의 환경조건을 호기적, 혐기적 및 살균조건으로 하였을 때와 pH를 변화시킨 수용액중에서 분해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fenthrin의 호기적 토양조건에서의 분해반감기는 칠곡 및 복현 토양에서 85.1 및 61.2일이었으며 cyhalothrin은 각각 54.6 및 32.2일로서 유기물함량이 많은 복현토양에서 두 약제 모두 분해가 빨랐다. 두 약제 모두 혐기적 조건 및 살균 조건의 토양에서는 매우 느린 분해양상을 보였다 Bifenthrin과 cyhalothrin의 분해는 주로 호기성 미생물이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약제간에는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분해반감기가 30일 정도 빨랐다. 수용액의 pH가 10인 알카리성 조건에서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상당히 빨리 분해되 었으며 pH 2 및 6의 산성조건에서도 두 약제 모두 분해가 지연되었다.

  • PDF

답토양(畓土壤) 및 수도체중(水稻體中) Diazinon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Diazinon Residues in Paddy Soil, Brown Rice and Rice Straw)

  • 이영득;이성희;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
    • /
    • 1983
  •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2개포장(個圃場)에서 diazinon립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잔류소장(殘留消長)을 구명(究明)하고 약제(藥劑) 철포회수(撤布回數) 및 시기별(時期別)로 수확(收穫)한 현미(玄米) 및 볏짚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에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반감기(半減期)는 $9{\sim}12$일(日)로 철포회수(撤布回數)와 포장간(圃場間)에 큰 차리(差異)가 없었다. 2) 실험실시험(實驗室試驗)에서 diazinon의 토양중(土壤中) 반감기(半減期)는 수원토양(水原土壤)에서 12.6일(日), 리리토양(裡里土壤)에서 11.6일(日)이었다. 3) 락제처리별(樂劑處理別) 현미중(玄米中)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부검출(不檢出)${\sim}0.14ppm$으로 이에 따른 안전사용기준(安全使用基準)은 수확전(收穫前) 15일한(日限), 살포회수(撒布回數) 4회 이내(回 以內)였다. 4) 볏짚 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0.08{\sim}4.76ppm$의 범위(範圍)였다.

  • PDF

토양(土壤)중 살충제(殺蟲劑) ethoprophos의 분해성(分解性) 및 이동성(移動性)의 측정(測定)과 예측(豫測)에 관한 모델 연구(硏究)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Degradation and Movement of Insecticide Ethoprophos in Soil)

  • 문영희;김윤태;김영석;한수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8
    • /
    • 1993
  • 토양(土壤)중에 있어서 살충제(殺蟲劑) ethoprophos의 행동특성(行動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조건(室內條件)중의 토양(土壤)중 ethoprophos분해(分解)는 일차반응식(一次反應式)에 따랐으며, 반감기(半減期)는 10, 18, $25^{\circ}C$ 에서 각각 12.4, 5.5, 2.5일이었고, Arrhenius activation energy는 73.8 KJ/mol이었다. 수분함량(水分含量)이 7, 14, 19%인 토양(土壤)에서 ethoprophos의 반감기(半減期)는 각각 46.4, 17.6, 6.9일이었으며 Empirical방정식에서 수분의존도(水分依存度)(B)값은 1.67이었다. Ethoprophos의 토양(土壤)중 흡착등온선(吸着等溫線)은 Freundlich식(式)에 따랐으며 흡착분배계수(吸着分配係數)(Kd)값은 0.27이었다. Mini-lysimeter를 이용한 실외조건(室外條件)하의 이동실험(移動實驗)에서 ethoprophos는 대부분이 $0{\sim}2cm$층위(層位)에 분포(分布)되었으며 6cm층위(層位)까지 이동(移動)되었다. 실외포장(室外圃場)에서 ethoprophos의 분해(分解)는 기상변화(氣象變化)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으며, 3월과 10월의 처리에서 반감기(半減期)는 각각 17일과 5일 정도이었고, 처리 후 약 37일에는 90%까지 분해(分解) 소실(消失)되었다. 토양(土壤)중 농약(農藥)의 행동(行動) 예측(豫測) computer model에 의한 ethoprophos의 이동성(移動性)과 잔유성(殘留性)의 예측치(豫測値)는 분석치(分析値)와 유사(類似)하였다.

  • PDF

폴리에틸렌 멀칭재배시(栽培時) 농약(農藥)의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體中) 잔류(殘留)에 관한 연구(硏究);제(第)3보(報) 토양살충제 Endosulfan, Fonofos, Ethoprophos의 잔류성(殘留性) (Studies on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Soils and Crops unde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ure;III. Persistence of Soil Insecticides Endosulfan, Fonofos and Ethoprophos)

  • 양환승;문영희;김낙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13
    • /
    • 1988
  • 폴리에틸렌(P.E.)필름 피복재배조건하(被覆栽培條件下)의 고추, 땅콩, 참깨포장(圃場)에 있어서 endosulfan, fonofos, ethoprophos의 잔류성(殘留性)을 로지조건(露地條件)과 비교조사(比較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토양중(土壤中)에서 endosulfan, fonofos, ethoprophos의 분해(分解)는 양조건하(兩條件下)에서 1차반응식(次反應式)에 따랐다. 토양중(土壤中) 잔류기간(殘留期間)은 유기인계(有機燐系)인 fonofos(반감기(半減期) : $19{\sim}21$일(日))와 ethoprophos(반감기(半減期) : $25{\sim}37$일(日))보다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인 endosulfan(반감기(半減期) : ${\alpha}-$이성체(異性體) ; $33{\sim}39$일(日), ${\beta}-$이성체(異性體) ; $56{\sim}81$일(日))이 길었으며, 특히 ${\beta}-$이성체(異性體)에서의 잔류기간(殘留期間)이 현저(顯著)히 길었다. P.E. 피복조건(被覆條件)과 로지조건(露地條件)에서 fonofos의 반감기(半減期)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그러나 ${\alpha}-endosulfan$과 ethoprophos는 반감기(半減期)가 각각 6日(일)과 12日(일), ${\beta}-endosulfan$의 경우는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52日(일)이 P.E. 피복조건하(被覆條件下)에서 더 길었다. P.E. 피복(被覆)이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분해속도(分解速度)가 느린 농약(農藥)일수록 더 컸다. P.E. 피복(被覆)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endosulfan은 관계(關係)된 고추에서 관계(關係)되지 않았고, 참깨중에(中)서 검출(檢出)된 ethoprophos의 잔류량(殘留量)(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 : 0.024ppm, 로지조건(露地條件) : 0.074ppm)과 땅콩중(中)에서 검출(檢出)된 fonofos의 잔류량(殘留量)(투명(透明) P.E. 피복조건(被覆條件) : 0.078ppm, 로지조건(露地條件) : 0.017ppm)도 매우 낮았다.

  • PDF

새로운 Diazinon입제의 제조 및 담수토양중의 잔류특성에 관하여 (On the preparation of new formulation of Diazinon and its residual pattern in submerged soil)

  • 최종우;류종국;신동린;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1992
  • 농약분해에 관여하는 monooxygenase와 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PBO와 TPP를 첨가하여 제조한 신(新)다이아지논입제에 대하여 벼멸구에 대한 살충률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신(新)다이아지논 입제와 두효소를 저해하는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는 tricyclazole, carbofuran 그리고 EPN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다이아지논입제에 대하여 담수토양중의 잔류경향을 조사하였다. 1. 살균토양과 비살균토양에서 신(新)다이아지논 입제(0.1% 첨가)의 반감기는 4.53일과 2.33일 이었고, 시판품에 비하여 각각 0.74일과 0.45일 주성분의 분해가 지연되었다. 2. 신(新)다이아지논입제(0.1% 첨가)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률은 추천량에서는 12%, 추천 1/2량에서는 $30{\sim}60%$가 증가되었다. 3. 신(新)다이아지논 입제 (1%)중 PBO 첨가는 토양중 반감기가 0.44일 그리고 PBO-TPP첨가로 0.65일 지연되었다. 4. 혼합다이아지논 입제는 시판품에 비하여 tricyclazole, carbofuran 그리고 EPN첨가로 반감기가 2.61일, 1.04일 그리고 0.43일 지연되었으며, EPN+carbofuran을 첨가하여 제조한 혼합다이아지논 입제는 2.7일 연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