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구 상황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What is School Mathematics?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 Lee, Seoung Wo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5 no.3
    • /
    • pp.381-405
    • /
    • 2015
  • The nature of school mathematics has not been asked from th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In this paper, I compare two dominant perspectives of school mathematics: ethnomathematics and didactical transposition theory. Then, I show that there exist some examples from Old Babylonian (OB) mathematics, which is considered as the oldest school mathematics by the recent contextualized anthropological research, cannot be explained by above two perspectives. From this, I argue that the nature of school mathematics needs to be understand from new perspective and its meaning needs to be extended to include students' and teachers' products emergent from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my investigation about OB school mathematics, I assume that there exist an intrinsic function of school mathematics: Linking scholarly Mathematics(M) and everyday mathematics(m). Based on my assumption, I suggest the chain of ESMPR(Educational Setting for Mathematics Practice and Readiness) and ESMCE(Educational Setting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Errors) as a mechanism of the function of school mathematics.

Non-Textual Elements as Opportunities to Learn: An Analysis of Korean and U.S. Mathematics Textbooks (학습기회로서의 비문자적 표상 분석: 한미 중등 수학교과서 사례 연구)

  • Kim, Rae-Young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4
    • /
    • pp.605-617
    • /
    • 2010
  •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non-textual elements in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using a conceptual framework that I have developed: variety, contextuality, and connectivity. Analyzing five U.S. standards-based textbooks and 13 Korean textbooks, this study shows that although non-textual elements in mathematics textbooks are free of literal language, they exhibit different emphases and reflect assumptions about what is important in learning mathematics and how it can be taught and learned in a particular societal context (Mishra, 1999; Zazkis & Gadowsky, 2001). While there are similar patterns in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non-textual elements in textbooks from both countries, different opportunities are provided for students to learn mathematics between the two countries.

  • PDF

Korean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과학 탐구와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델과 모델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Kang, Nam-Hw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143-154
    • /
    • 2017
  • Science inquiry has long been emphasized in Korean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modeling is one of key practices in science inquiry with a potential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own explanations and knowledge thereaf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understanding of models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Models (PDM) was developed and refined through three times of implementation while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were examined. A total of 29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urvey based on model use of scientists in the history of science was developed and used to collect data and audio recordings of discussions among teachers and artifacts produced by the teachers during PDM were also collected. Three ways of ontological and two ways of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models and modeling were found in teachers' ideas. After PDM, a quarter of the teachers changed their ontological understanding whereas very few changed their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In contrast, more than two thirds of the teachers deepened and extended their ideas about using models and modeling in teaching. There were no clear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understanding of models and ways and ideas about using models in science teaching. However,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conditions were found to mediate their intention to use models in science teaching. The findings indicate possible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tent design and further research.

THE PROCESS OF NEGOTIATION OF PROOFS ACCEPTABLE TO MATHEMATICS CLASSROOM (수학교실에서 수용 가능한 증명의 상호 교섭 과정)

  • Kim, Dong-W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8 no.4
    • /
    • pp.455-467
    • /
    • 2008
  • We need to reflect the establishment of meaning and level of 'proof and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It should be considered as human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 community. Thus, we should design instruction from this standpoint. From this point of view, we had been operated 'Geometry Inquiry Class' aimed at middle school students in eighth grade for two years to improve current geometry class in middle school. In this study, we will observe how individual students' original proof schemes are developed and accepted to the class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 negoti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episode with four phases begins with the initial proof schemes students have offered. Through the negotiation of class participants, it gives birth to the proof scheme unique to the current geometry classroom. Why do we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It is because we think that the value of this type of instruction lie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ference, not in the completeness of the final product. This is the very appropriate proof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 PDF

상품에 대한 공급자 검색 문제 해결하기 위한 지능형 상품 에이전트 개발

  • Chae, Sang-Yong;Kim, Gyeong-Pil;Kim, U-Ju;Kim, Ch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5-480
    • /
    • 2005
  •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웹 페이지들에는 정형화되지 않은 각종 정보들이 이종의 형태로 산재되어 있다. 현재의 검색 기술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해내어 정형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자상거래의 폭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표준 활용 및 적용이 미비하여 e- Procurement, e-Marketplace, on-Line Shopping Mall 등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공급자에게는 보다 많은 매출의 기회를 구매자에게는 보다 좋은 자재 및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소싱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지능형 상품 에이전트는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공급자 검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부 정보의 확장 및 지식화 뿐만 아니라 웹 상의 다양한 상품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 및 가공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사용한 기술은 우선 database 의 schema 를 읽어 들일 수 있는 DB schema reader, 인터넷 웹 페이지(웹문서)를 방문해서 다양한 정보들의 URL을 수집하는 일을 하는 Meta Search Engine 과 Focused Crawler, 그리고 다른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특정 목적에 따라 표준화된 형태로 바꾸는 Wrapper가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 공급자 검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정보추출은 사용자의 관심사에 적합한 문서들로부터 어떤 구체적인 사실이나 관계를 정확히 추출하는 작업을 가리킨다.앞으로 e-메일, 매신저, 전자결재, 지식관리시스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기반 구조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오픈웨어에 적용하기 위한 P2P 기반의 지능형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에 관한 연구와 X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기반 웹인터페이스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

  • PDF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Based on CLAMP Inquiry of Fossil Leaves (잎화석의 CLAMP 탐구를 통한 고등학교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Yoon, Mab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1
    • /
    • pp.27-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AM program for teaching climate change through CLAMP (Climate-Leaf Analysis Multivariate Program) paleoclimate inquiry in connection with high school 'Integrated Science' subject. In order to do so, we analyze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cience textbook in terms of the P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10 class hours through expert panel discussion and pilot test. According to the STEAM class procedure, in the situation presentation stage, the fossil leaves were collected from the dicotyledon plants near school, and the LMA (Leaf Margin Analysis) climate inquiry activity. was presented as the learning goal. During the creative design stage, students were taught about geology and leaf fossils in the study region, and CLAMP input data (31 characteristics of morphotype and leaf architectural of fossil leaves) were given. In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new challenge stage, we collected leaf fossils for outdoor learning, explored paleoclimate with CLAMP method, and promoted climatic literacy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endencies and causes of Cenozoic's climate change.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program was assessed (CVI .84) as being suitable for development purpose in all item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liability among expert panel. In order to apply the program to the high school,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discrepancies and to review the suitability.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articipants was 4.48, and the program was complemented with their opinions. This study will enable high school students to have practical knowledge and reacting volition for climate change, and contribute to fostering students' climate literac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Beacon Synchronization of IEEE 802.15.4 MAC Protocol using a Reception Time Compensation Scheme (수신 대기시간 보정을 통한 IEEE 802.15.4 MAC 프로토콜의 비컨 동기화 신뢰성 개선)

  • Kim, Hiecheo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3 no.3
    • /
    • pp.1-11
    • /
    • 2018
  • This paper explores the reliability issue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time-division synchronous communication when a networking stack is implemented using software timers provided by embedded operating systems. Especially, we explore the reliability of beacon synchronization of IEEE 802.15.4. Our experiments based on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clearly show that processing delays or losses of hardware timer interrupts used for software timers lead to occasional failures in beacon synchronization. To avoid such failures, we suggest a reception time compensation scheme that turns on the receiver earlier than expected.

Journal Writ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 Kim, Sun-Hee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9 no.2
    • /
    • pp.289-306
    • /
    • 2009
  • In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who would be mathematics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wrote the journal about learning mathematics. Journal writing helped pre-service teachers' math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could think mathematics reflectively, inquire it, represent their affectivity, pla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have the records of learning. They considered the educational issues as instructional method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instruction, assessment, and attitude of teacher. As well, they thought that journal writing was important in learning mathematics and how they would apply their students. Journal writing was meaningful 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cognitive and situative aspects.

  • PDF

충북지역 초등수학 영재교육의 분석과 전망

  • Kim, Su-Hw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27-239
    • /
    • 1999
  • 영재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물이 국내에는 그다지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금 한국과학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국의 9개 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 역시 실천적인 차원의 활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대학부설 연구소들이 30년 이상 이와 같은 연구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천해오고 있는 사례들을 우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거울 삼아 모처럼 마련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토대로 그 바람직한 실천과 연구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본다. 첫째, 질적 연구의 집적에 힘써야 한다. 영재교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전제로 할 때는 더구나 그렇듯이 일반화를 전제로 한 양적 연구보다는,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물들의 집적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활동은 활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절한 조화가 요망된다.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모습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학습자 자신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의 탐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활동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요지는 활동은 정말로 전형적인 활동에 국한하고 나머지는 교사의 설명에 의해 학습자들이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의 소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히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일면 그 타당성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제적 ${\cdot}$ 통합적 연구가 절실하다. 연구의 측면에서 수학반 아동과 과학반 아동들의 활동상의 차이점이나 유사점 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PDF

대학입시에서의 선택과목 등화에 대한 연구

  • 박성현;김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13-122
    • /
    • 1998
  • 1999년 대학입학 수학능력고사(이하 수능)부터 새롭게 선택과목제와 표준점수제가 도입된다. 선택과목제는 수리탐구II 영역에서 공통과목외 한 개의 과목을 수험생 개인이 선택해서 보는 것을 의미하고, 표준점수제는 영역별 난이도를 조정하기 위해 각 영역의 원점수를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점수로 표준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선택과목이 있는 영역의 경우는 난이도차뿐만 아니라 각 선택과목 집단별로 일반적인 학업능력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점수를 표준화시킬 때 과목별 난이도뿐만 아니라 그룹별 학업능력의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발표된 등화방법은 대표적으로 모수적 방법인 선형등화와 비모수적 방법인 백분위수등화가 있는데 이 두 가지 방법은 모두 각 그룹의 학업능력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전개되어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 나라 입시상황에 적절한 그룹별 능력차이를 보정한 선형등화와 분위수 등화 방법을 비교해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