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mage of the casual Hanbok brand is being communicated to consumers successfully. We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ways of revitalizing communication between casual Hanbok brands and consumers; in addition, w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marketing through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QAP) analysis. Unstructured data from 2014-2021 were collected through portal sites and then refined and networked. Our analysis showed that casual Hanbok brands generally target younger people and that different brands employ similar methods to promote and popularize the casual Hanbok style. Consumers tended to recognize and show interest in casual Hanbok, suggesting the potential to expand the market to Blue Ocean. However, some of our findings revealed the potential factors of style coordination risk and prejudice against existing Hanbok, which could potentially hinder casual Hanbok's uptake and adoption. We conclude that increasing the demand for casual Hanbok depends not only on delivering an accurate brand image to consumers but also on balancing fashion with traditional images when planning products and providing styling information.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여 섬유/패션산업에서도 이를 시급히 적용하게 되었다. 패션상품은 인터넷의 적용에 있어서도 여러 취약점을 강고 있으나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채널을 통한 섬유/패션산업에서도 성공하는 기업이 늘고 있으며 그 잠재 가능성은 매우 크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상거래 시 온라인 응답자와 오프라인 응답자간에 브랜드 인지도에 관해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오프라인 상에서 기업이 갖고 있는 캐주얼 브랜드 인지도의 잠재력과 시장현황을 분석하여 기업에게 제시함으로 인터넷 패션 비즈니스에서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조사하여 캐주얼 브랜드 컨셉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 쓰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brand image profile by analyzing how the consumer perceived the rival brands having relative structure between corporate image, store image, and. product image. Fifty-two questions were prepared for the respondents, and 262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a frequency, a mean, a reliability, and a paired t-test of the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influence rank of the brand image, a product image had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a store image and a corporate image. 2. The factors, which were regarded as important from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those factor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actors was relatively low than that of the importance. It was prov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brand's imag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actors were not the same from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make comparison of clothing images presented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9 formal brands out of 155 and 64 casual brands out of 256 in Korea Fashion Brand Annual in 2005/2006. 316 words selected were classified into five clothing image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according to age ranges and price zones of bran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mal brands focused on thirties and forties in age ranges and better and prestige in price zones, while casual brands centered on twenties in age range and better and volume in price zones. 2) Luxury, modem and feminine were more frequent words than others both in formal and casual brands, but elegant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formal brands, while comfortable, chic and simple were found frequently in casual brands. 3) Clothing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appeared in elegance, modernity, individuality, and activeness order in formal brands, while clothing images in casual bran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cluding youthfulness and appeared in elegance, activeness, modernity, individuality, and youthfulness order. 4) Elegance was a highly presented as clothing image in all the age ranges except thirties of formal brands but modernity and activeness with elegance were presented in price zones of casual brand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clothing images in women's formal and casual brands.
Fashion products are goods purchased based on cultural and psychological values derived from a brand image as well as on the physical value of the product itself. Management of brand imag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research, three best-selling young casual brands were tested with 200 male and female subjects to compare brand image, logo image, and advertisement imag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o explor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on the purchase of young casual wear and brand image management status through advertisements of domestic brands, and 2)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 on brand logo image and advertisement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young casual brands are depending much on star marketing rather than developing differentiated brand image through advertisements as indicated in brand image management status. Failure in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and consistent brand image is a barrier to the long-term and continuous advancement of young casual brands. Therefor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reinforcement of brand image for the consistent growth of domestic young casual brand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bout the avatar's fashion products efficiency on casual wear advertisements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avatar's clothing image provided by apparel industry and to investigate about the effort of avatar's fashion product on apparel advertisement for fundamental data on the avatar's fashion marketing. Following we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of nate avatar's fashion marketing,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and maru male, female that is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unique and sensitive to latest fashio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FUBU and maru brand images. Therefore, consumers' higher perception on avatar's clothing image that ar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and 'unique', indicated higher casual brand image perception, proving avatar's clothing image is effective in suggesting the brand. Second, in terms of advertising the avatar by clothing them with garments of each brand and comparing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active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emphasized active brand image of FUBU. However, FUBU male avatar's clothing image did not emphasiz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cool', or '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s compared to FUBU female avatar's clothing image. Also, in case of maru, 'male', 'conseuative' and 'in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 of male avatar clothing emphasized maru brand image. Maru female's 'unpractical' ,'female' and 'characteristical' images emphasized maru brand image.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complex marketing world, marketers find themselves having to grapple with difficult issues about branding and their brand management. In many cas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feel, think, and act could provide valuable guidance to address these brand-management challeng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nd test the framework of building fashion brand equity, utilizing Keller's CBBE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Kim and Lim's (2002) scale as a measurement model of fashion brand equity. We conducted a survey toward 696 university students using Kim and Lim's fashion brand equity scale. To test the hypothesized building paths of fashion brand equit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AMOS 4.1 program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six components; customer-brand resonance, customer feeling, customer judgment, brand imagery. brand performance and brand awareness. Fashion brand equity was multi-dimensional brand attitude, which could be measured by 16 items. Consequently, Kim and Lim's scale acquired a statistical validity. Second,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partially significant. We can provide an effectiveness of Keller's CBBE model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process of fashion brand equity. Third, it was different between two brands to build fashion brand equ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the casual brand equity measurement, utilizing Heller 5(2001) ‘CBBE(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rom May to November in 2001. In the exploratory step, focus-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5 times for gathering responses related to fashion equity. In Pilot study, 945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fashion brand equity and to develop questionnaires. In the main research, 696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three brands in order to compare their equity that were formed in customers' percep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 and LISREL 8.12 program using factor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sual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six components; customer-brand resonance, customer feeling, customer judgment, brand imagery, brand performance and brand awareness. Second, casual brand equity was multi-dimensional brand attitude, which could be measured by 23 items that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measurement such as Aaker's ‘Brand Equity Ten' and K-BP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pp.267-278
/
2006
소득 수준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의식의 강화는 보다 쾌적한 라이프스타일의 추구와 여가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웰빙 문화확산에 따른 레저 인구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등산에만 국한되던 아웃도어 이미지가 점차 다양한 레저활동으로 확대되고 등산복과 캐주얼웨어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아웃도어 브랜드 업체들도 캐주얼 의류보다 화사하고 편안한 등산복을 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등산복 소비자의 일반적인 구매행동 특성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 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등산복의 구매 목적은 '등산만을 위해서'와 '등산복과 일상복으로' 구매하는 경우도 비슷하게 나타나 등산복을 일상적인 캐주얼웨어로도 겸하여 입는 소비자가 많다. 그리고 여자는 '등산만을 위해서'가, 남자는 '등산과 일상복으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 소비자들에 비해 남성 소비자들이 등산복 한 벌 당 가격대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모든 연령대에서 구매 정보원으로서 '친구 소 소속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산복 브랜드의 선호도와 보유현황은 전체 선호도는 코오롱 스포츠가 1위, 노스페이스가 2위, 케이투가 3위로 나타났나.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