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of Objective Images of Traditional Casual Brands

트래디셔널 캐주얼 브랜드의 객체적 이미지 비교

  • Yu, Ji-Hun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 Park, NoHyun (Dept. of Clothing & Textile, Sangmy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brand image profile by analyzing how the consumer perceived the rival brands having relative structure between corporate image, store image, and. product image. Fifty-two questions were prepared for the respondents, and 262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a frequency, a mean, a reliability, and a paired t-test of the SPSS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s influence rank of the brand image, a product image had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a store image and a corporate image. 2. The factors, which were regarded as important from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those factor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actors was relatively low than that of the importance. It was prov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brand's imag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actors were not the same from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박병천 (2002.11.23). '기업 이름도 브랜드다' 브랜딩 CI로 거듭나야, 자료검색일 2009.04.23, 자료출처 http://www.kobaco.co.kr/information/adinfo/uploadfile/0211_23.pdf,
  2. Kotler, Philip (1991).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p.5 70
  3. 이상하 (2001). 브랜드 이미지 강화전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p. 10
  4. Keller, Kevin Lane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uary), pp.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5. 이경형 (1991). 상표이미지와 제품선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최성희 (1991). 상표이미지가 상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Gadner, G. & Levy, S. (1955). The Product & the Brand. Harvard Business Review, p. 33
  8. 김미경 (2000).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화장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
  9. 장명숙 (1999). 브랜드 이미지가 패션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0. Kotler, Philip (1991). op. cit.. p. 570
  11. 김재환 (1999.5). 브랜드파워 기르는 장기 캠페인 소비자 욕구 근거한 상징적 차별점 도출. 광고정보, p. 86
  12. Tucker, W. T. (1957). Foundation for Theory of Consumer Behavior. N.Y.: Holt Reinhart & Winston, pp. 47-55
  13. Oxenfelt, A. R. (1974). Developing a Favorable Price Quality Im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0(4). winter. pp. 8-14.
  14. Jain, A. K. & Etgar, M. (1976). Measuring Store Image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of Free Response Data, Journal of Marketing, 57. pp. 1-22
  15. Horowitz, I. A. and R. S. Kaye (1975). perception an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5(3), June, p. 15
  16. 정순태 (1984). 마케팅관리론, 서울: 법문사, p. 527
  17. Aaker, D. A. (199).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Y.: The Free Press, pp. 118-120
  18. Keller, op. cit.. pp.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19. 이상하 (2001). 앞의 책, p. 4, p. 10
  20.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0
  21. 정강옥 (2005).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브랜드명과 심볼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주), p. 15
  22. Carpenter, Gregory S.. Rashi Glazer and Kent Nakamoto (1994). Meaningful Brands from Meaningless Differentiation: The Dependence on Irrelevant Attribut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 August, pp. 339-350 https://doi.org/10.2307/3152221
  23. 김주호 (1995). 이미지 메이킹시대-기능에서 이미지 경쟁시대로. 제일커뮤니케이션즈, 9월호, pp. 45-59
  24. 이준일, 우소영. 배현미 (2007 winter), 기업자산으로서 기업 공증관계성과 기업이미지 가치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18(4), pp. 53-81
  25. Fever, R. (1974). Handbook of marketing research. New York: McGraw-Hill
  26. Winters, L. C. (1986).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6(April/May), pp. 58-81
  27. 김현 (2003). 기업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제품이미지 집중 체계. 디자인학연구, 16(2). 통권52호, pp. 375-384
  28. 강호봉 (2006).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제품이미지와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2
  29. Olson, J. C. and Jacoby, J. (1972). Cue Utilization in the Quality Perception Proc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 pp. 167-179
  30.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pp.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31.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2
  32. 이영선 (1997). 의복구매시의 정보처리와 평가과정. 한국의류학회지, 21(8), pp. 1323-1333
  33. 정인희 (2002). 의류제품 구매시 소재의 영향과 소비자 소재 선호 구조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83-94
  34. 정인희 (2002). 앞의 책, pp. 83-94
  35. 김은영 (1998). 소비자 의류제품지식과 의복구매시 평가기준과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53-364
  36. 김은영, 이영선 (1997).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경험이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1(1), pp. 104-118
  37. 여의재 (1996). 구매후 의복평자 기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박은주, 이은영 (1982). 의복 선택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의류학회지, 6(2), pp. 41-48
  39.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pp. 3-22
  40. Kotler, Philip (1974).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50(4), pp. 48-64
  41. 김라미 (1984). 점포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점포분위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성채 (1982). 소비자 구매행도에 있어서 점포선택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Mazursky, David and Jacob Jacoby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50(4), Winter, pp. 29-38
  44. 임숙자, 이주은 (1993). 의복구매 동기에 따른 점포 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1), pp. 3-10
  45. Martineau, P. (1958). The responsibility of retail store. Harvard Business Review
  46. 임숙자, 김선의 (1998). 의류유통업태의 점포 이미지와 의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pp. 185-195
  47. 김현숙 (1990). 패션점포의 이미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Lindquist, Jay D. (1974). Meaning of Image : A Survey of Empirical and Hypothetical Evidence. Journal of Retailing, 50(4), Winter, pp. 29-38
  49. Shim, S. Y. and A. Kotsiopulos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2, Testing Patronage model of consumer behavio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pp. 59-64
  50. Pettijohn. L.. Dougles Mellot, and C. E. Pettijohn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er Image and Brand Image. Psychology and Marketing, 9(July/August), pp. 311-328 https://doi.org/10.1002/mar.4220090405
  51. Texherald (2008). 2008 상반기 패션유통 바이어가 뽑은 최고 브랜드-남성 트레디셔널. Texherald, 548. p. 25
  52. 김주호 (1995). 앞의 책, pp. 45-59
  53. Kennedy, S. (1958). op. cit.. pp. 113-138
  54. Fever, R. (1974). op. cit.. pp. 4-11
  55. Winters, L. C. (1986). op. cit.. pp. 58-81
  56.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2
  57. 정인희 (2002). 앞의 책, pp. 83-94
  58. 김정희 (1996). 앞의 책, pp. 353-364
  59. 박은주, 이은영 (1982). 앞의 책, pp. 41-48
  60.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pp. 3-22
  61. 임숙자, 이주은 (1993). 앞의 책, pp.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