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박병천 (2002.11.23). '기업 이름도 브랜드다' 브랜딩 CI로 거듭나야, 자료검색일 2009.04.23, 자료출처 http://www.kobaco.co.kr/information/adinfo/uploadfile/0211_23.pdf,
- Kotler, Philip (1991). Marketing Management, Prentice Hall, p.5 70
- 이상하 (2001). 브랜드 이미지 강화전략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 p. 10
- Keller, Kevin Lane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january), pp.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 이경형 (1991). 상표이미지와 제품선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성희 (1991). 상표이미지가 상표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Gadner, G. & Levy, S. (1955). The Product & the Brand. Harvard Business Review, p. 33
- 김미경 (2000).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제품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화장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
- 장명숙 (1999). 브랜드 이미지가 패션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 Kotler, Philip (1991). op. cit.. p. 570
- 김재환 (1999.5). 브랜드파워 기르는 장기 캠페인 소비자 욕구 근거한 상징적 차별점 도출. 광고정보, p. 86
- Tucker, W. T. (1957). Foundation for Theory of Consumer Behavior. N.Y.: Holt Reinhart & Winston, pp. 47-55
- Oxenfelt, A. R. (1974). Developing a Favorable Price Quality Im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0(4). winter. pp. 8-14.
- Jain, A. K. & Etgar, M. (1976). Measuring Store Image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of Free Response Data, Journal of Marketing, 57. pp. 1-22
- Horowitz, I. A. and R. S. Kaye (1975). perception an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5(3), June, p. 15
- 정순태 (1984). 마케팅관리론, 서울: 법문사, p. 527
- Aaker, D. A. (199).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Y.: The Free Press, pp. 118-120
- Keller, op. cit.. pp. 1-22 https://doi.org/10.2307/1252054
- 이상하 (2001). 앞의 책, p. 4, p. 10
-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0
- 정강옥 (2005).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브랜드명과 심볼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정보(주), p. 15
- Carpenter, Gregory S.. Rashi Glazer and Kent Nakamoto (1994). Meaningful Brands from Meaningless Differentiation: The Dependence on Irrelevant Attribut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 August, pp. 339-350 https://doi.org/10.2307/3152221
- 김주호 (1995). 이미지 메이킹시대-기능에서 이미지 경쟁시대로. 제일커뮤니케이션즈, 9월호, pp. 45-59
- 이준일, 우소영. 배현미 (2007 winter), 기업자산으로서 기업 공증관계성과 기업이미지 가치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18(4), pp. 53-81
- Fever, R. (1974). Handbook of marketing research. New York: McGraw-Hill
- Winters, L. C. (1986). The effect of brand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on company image: implications for corporat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6(April/May), pp. 58-81
- 김현 (2003). 기업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제품이미지 집중 체계. 디자인학연구, 16(2). 통권52호, pp. 375-384
- 강호봉 (2006).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제품이미지와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2
- Olson, J. C. and Jacoby, J. (1972). Cue Utilization in the Quality Perception Proc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 pp. 167-179
-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pp.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2
- 이영선 (1997). 의복구매시의 정보처리와 평가과정. 한국의류학회지, 21(8), pp. 1323-1333
- 정인희 (2002). 의류제품 구매시 소재의 영향과 소비자 소재 선호 구조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83-94
- 정인희 (2002). 앞의 책, pp. 83-94
- 김은영 (1998). 소비자 의류제품지식과 의복구매시 평가기준과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53-364
- 김은영, 이영선 (1997).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경험이 상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1(1), pp. 104-118
- 여의재 (1996). 구매후 의복평자 기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은주, 이은영 (1982). 의복 선택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의류학회지, 6(2), pp. 41-48
-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pp. 3-22
- Kotler, Philip (1974).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Journal of Retailing, 50(4), pp. 48-64
- 김라미 (1984). 점포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점포분위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성채 (1982). 소비자 구매행도에 있어서 점포선택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Mazursky, David and Jacob Jacoby (1986).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Store Image. Journal of Retailing, 50(4), Winter, pp. 29-38
- 임숙자, 이주은 (1993). 의복구매 동기에 따른 점포 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1), pp. 3-10
- Martineau, P. (1958). The responsibility of retail store. Harvard Business Review
- 임숙자, 김선의 (1998). 의류유통업태의 점포 이미지와 의복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pp. 185-195
- 김현숙 (1990). 패션점포의 이미지에 따른 유형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Lindquist, Jay D. (1974). Meaning of Image : A Survey of Empirical and Hypothetical Evidence. Journal of Retailing, 50(4), Winter, pp. 29-38
- Shim, S. Y. and A. Kotsiopulos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Part 2, Testing Patronage model of consumer behavio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pp. 59-64
- Pettijohn. L.. Dougles Mellot, and C. E. Pettijohn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er Image and Brand Image. Psychology and Marketing, 9(July/August), pp. 311-328 https://doi.org/10.1002/mar.4220090405
- Texherald (2008). 2008 상반기 패션유통 바이어가 뽑은 최고 브랜드-남성 트레디셔널. Texherald, 548. p. 25
- 김주호 (1995). 앞의 책, pp. 45-59
- Kennedy, S. (1958). op. cit.. pp. 113-138
- Fever, R. (1974). op. cit.. pp. 4-11
- Winters, L. C. (1986). op. cit.. pp. 58-81
- 이상하 (2001). 앞의 책, p. 12
- 정인희 (2002). 앞의 책, pp. 83-94
- 김정희 (1996). 앞의 책, pp. 353-364
- 박은주, 이은영 (1982). 앞의 책, pp. 41-48
- 김미영, 이은영 (1992). 생활양식유형과 의복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1), pp. 3-22
- 임숙자, 이주은 (1993). 앞의 책, pp.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