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rand Image that Appeared in the National Young Casual Brand Advertisement

국내 영 캐주얼 브랜드 광고에 나타난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권해경 (한국 염색기술연구소) ;
  • 김문영 (계명대학교 패션대학 패션마케팅학과)
  • Received : 2013.02.18
  • Accepted : 2013.06.01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Fashion products are goods purchased based on cultural and psychological values derived from a brand image as well as on the physical value of the product itself. Management of brand image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is research, three best-selling young casual brands were tested with 200 male and female subjects to compare brand image, logo image, and advertisement imag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o explor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on the purchase of young casual wear and brand image management status through advertisements of domestic brands, and 2)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 on brand logo image and advertisement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young casual brands are depending much on star marketing rather than developing differentiated brand image through advertisements as indicated in brand image management status. Failure in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and consistent brand image is a barrier to the long-term and continuous advancement of young casual brands. Therefore, more efforts should be made for the reinforcement of brand image for the consistent growth of domestic young casual brands.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영 (2012), 해외시장에서의 한국패션제품의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복식, 62(4), pp. 123-135.
  2. 이은영 (2000),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p. 187.
  3. Aaker, D. A. (1995), Building Strong Brands, NY: The Free Press, p. 68.
  4. 이은선 (2002), 패션브래드 아이덴티티 특성 연구 및 개발 -스포츠 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4.
  5. 이민경, 나수임 (2005), 의류브랜드 로고마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5), pp. 833-843.
  6. 임동욱 (1999), 정보사회와 광고, 서울: 이진출판사, p. 34.
  7. 이승희, 장윤경, 박수경 (2008), 패션제품의 광고표현요소와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브랜드 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2(11), p. 1665.
  8. 2012년 하반기 캐주얼 패션시장 분석,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12. 8. 20, http://www.samsungdesign.net/
  9. 신혜봉 (2004), 캐주얼 의류 광고의 평가가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2(4), pp. 566-578.
  10. 이상은 (2005), 브랜드 개성의 형성을 위한 통합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국내 자동차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9-65.
  11. 이종명, 이선재 (2002),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복식, 52(3), pp. 99-109.
  12. 신초영, 이승희 (2003), 패션전단 광고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5), p. 479.
  13. 김홍규, 김유경, 최원주 (2001),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브랜드 개성과 광고표현요소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2(3), pp. 143-170.
  14. 김상무 (2012), 한국패션브랜드연감(2012/2013), 서울: 어패럴뉴스사, pp. 261-292.
  15. 패션비즈 (2012), 2012년 대리점 주력브랜드 개설정보, 섬유저널, 18, pp. 128-130.
  16. 김정명, 2011년을 빛낸 베스트 브랜드, 패션인사이트, 자료검색일 2012. 9. 18, http://www.fi.co.kr/main/view.asp?idx=37823
  17. 박재민 외 (2010), 국내 캐릭터 커리어 여성복 브랜드의 스타일 정체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연구, 복식문화연구, 18(2), pp. 337-347.
  18. 은숙, 박재옥 (2008), 여성 정장과 캐주얼 브랜드에 나타난 의복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4), p.634.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630
  19. 김칠순, 이은아, 남영미 (2001), 인터넷 상거래를 위한 캐주얼웨어 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 분석, 마케팅과학연구, 8, p. 12.
  20. 양수미, 박은주 (1995),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연구 -소비자의 의류광고관여와 상표사용경험에 따라서, 한국의류학회지, 19(6), pp. 887-894.
  21. TBJ 브랜드 컨셉, 자료검색일 2013. 4. 30, http://www.tbj.net/
  22. 장진리, "'시크릿가든'의 썬, 이종석이 2011년 캐주얼 의류 TBJ의 S/S 광고 모델로 발탁됐다.", Joy News, 자료검색일 2012. 4. 25, 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0100&g_serial=543024&rrf=nv
  23. "JJ프로젝트 데뷔 두달만 광고모델 두개 대박신인 광고 잭팟", Newsen, 자료검색일 2013. 4. 25,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207021121401410

Cited by

  1. Fashion Brand Attitude of Tweenagers - Focused on Brand Awareness, Image, Identification and Loyalty - vol.66, pp.1,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1.090
  2.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인식에 관한 연구 vol.32, pp.3,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237
  3. 직장여성의 패션제품이미지 선호도가 브랜드이미지 중요도 및 광고요소 평가에 미치는 영향 vol.24, pp.3, 2016, https://doi.org/10.7741/rjcc.2016.24.3.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