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Avatar's Clothing Image and Casual Brand Image based on Avatar's Fashion Marketing

아바타 패션마케팅에 따른 아바타 의복 이미지와 캐주얼 브랜드 이미지 비교 연구

  • Jang Se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Lee Sun-Ja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장승의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이선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bout the avatar's fashion products efficiency on casual wear advertisements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avatar's clothing image provided by apparel industry and to investigate about the effort of avatar's fashion product on apparel advertisement for fundamental data on the avatar's fashion marketing. Following we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of nate avatar's fashion marketing,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and maru male, female that is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unique and sensitive to latest fashio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FUBU and maru brand images. Therefore, consumers' higher perception on avatar's clothing image that ar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and 'unique', indicated higher casual brand image perception, proving avatar's clothing image is effective in suggesting the brand. Second, in terms of advertising the avatar by clothing them with garments of each brand and comparing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active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emphasized active brand image of FUBU. However, FUBU male avatar's clothing image did not emphasiz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cool', or '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s compared to FUBU female avatar's clothing image. Also, in case of maru, 'male', 'conseuative' and 'in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 of male avatar clothing emphasized maru brand image. Maru female's 'unpractical' ,'female' and 'characteristical' images emphasized maru brand image.

Keywords

References

  1. 권성용 (2001. 12. 26). 2001년 10대 히트 상품, 아바타(AVATAR),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328호, pp. 21-22
  2. 이효진 (2003. 4). 10대 영판타스트(fantast), 그들은? 사이버 캐릭터 아바타에 열광. 패션비즈, p. 146
  3. 이선재, 장승희 (2004). 캐주얼웨어의 아바타 패션마케팅 전략 제고 연구. 복식, 54(8), p. 36
  4. 네이버 지식검색,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5. 이효진 (2003. 4).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6. 온기홍 (2002. 1. 23). [e-리서치] 아바타 서비스 이용.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03. 3. 30, 자료출처: http://www.etnews.co.kr
  7. 곽효순 (2003). 청소년들의 아바타 사용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7-48
  8. 임동희 (2003). nate사 아바타 서비스 제작 사례. 2003년 2월 10일 - 2003년 2월 13일, HCI학술대회, Back of the culture 사례발표
  9. 김수정 (2003).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아바타 이용자의 활용형태 분석을 통한 아바타 디자인 전략 연구: 아이러브스쿨(iloveschool)사이트 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2003년 2월 10일 - 2003년 2월 13일, HCI학술대회, Back of the culture, 웹 3 주제발표, pp. 1-6
  10. Tadasi Ozawa (2000). 애니메이션 캐릭터 만들기. 생각나라
  11. 한창완 (2002). 대안 비즈니스의 활성화, 아바타 서비스. 문화예술, 2003. 3월호, pp. 82-92
  12. 김문석 (2002). '아바타'를 이용한 E-business 적용사례연구. 디자인 과학연구, pp. 25-30
  13. 백승수 (2002. 4. 30) 온.오프라인 제휴, 아바타 마케팅 활발,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03. 3. 12,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
  14. Lawson & Buad-Bovy (1977). A new approach to market segmentation. Business Horison, 20(Feb), pp. 61-63 https://doi.org/10.1016/0007-6813(77)90104-5
  15. 神山進 (1987). 仕服心理學入門. 衣生活硏究. 14(5). pp. 13-27
  16.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준에 대한 신념과 추구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263-272
  17. 김칠순, 이훈자 (1999). IMF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3), pp. 447-458
  18. 변영복 (1999). 자기이미지가 상표이미지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학생의 화장품 구매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지영 (1998). 정보원 및 의류이미지와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텔레비전 매체에 나타난 패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Keller, Keven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January, pp. 1-12
  21. Dobni, D. & M. Zinkhan (1990). In search of brand image: A foundation analysi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pp. 110-118
  22. Aaker, D. A. (1992). Managing brand equity. N.Y.: Fress Press
  23. Osgood, C. E., Sui, G. J., &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김영인 (1992). 패션이미지에 의한 남자대학생 의류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pp. 299-314
  25. 김진원, 임숙자 (1995). 쇼핑백의 브랜드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숙녀복 정장과 캐주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6), pp. 895-910
  26. 최일경 (1994).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칠순, 이훈자 (1999). IMF이후의 신세대 진바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3), pp. 447-458
  28. 구명진 (2000). 청바지 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른 평가기준과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Oxenfeldt, A. R. (1967). Executive action in marketing. belmont Calfornia. Wardsworth Publishing Co. Inc, pp. 86-87
  30. (주) 인터넷 메트릭스 2003, 4. 14 - 20까지의 커뮤니티 포탈사이트 순위. 한국 인터넷 정보센터(2002)가 선정한 대표적인 커뮤니티에 선정
  31. 하오선, 신혜원 (2003). 아바타의 의복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7(5), pp. 560-569
  32. 차은정, 박혜선 (1999). 여고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상표 및 광고 이미지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8), pp. 1119-1130
  33. 이미현, 임숙자 (1997). 의류상품의 효과적인 TV광고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5), pp. 880-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