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usion Image Reflected upon Modern Fashions

현대패션에 반영된 퓨젼이미지에 관한 연구

  • Kwak Tae-Gi (Dept.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 Shin Jae-Yong (Course, of Fashion Design, Sejong University)
  • 곽대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 신재룡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se new Phenomenon influences with the new terminology 'fusion' on the way of our life in all areas of our society including the clothes and foods. Along with post-structuralism, which aims at diversification and senses deconstructionalism is a characteristic of this time post-structuralism is based upon the deconstructionalism. Especially the arts 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called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lack the totality of a text and become fragmentary, and therefore it follows that traditional values are destroyed and at last a new code such as fusion which is incomprehensible if we would be in mono-linear perspective. Dislikes toward excessively formative and orthodox elements of modern pictures and constructs ; features of kitschs and subcultures against materialism are revealed in diverse objects and materialism. In such a situation of mingling of diversifications with no time to evaluate an object, another diverse forms come into the world and there is no room for evaluating. Therefore, this study will make a light on what are tendencies in the fashion design from the end of 20C to the beginning of 21C, and foreground the concept of fusion in modern fashion which is relevant with digitals and its generative background.

Keywords

References

  1. 이광래 편 (1989).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문고, p. 90
  2. 백욱인 (1997. 8). 디지털 복제 시대의 문화. 서울산업대학교
  3. 류호창 (2002. 2). 문화코드-퓨젼. 월간디자인
  4. Magaret A. Rose (1993). Parody: ancient. modern and post-mode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3
  5. 김정희 (2000. 3). 70년대 이후 국내 조각의 '새로운' 흐름. 월간 미술
  6. 양해림 (2001). 미의 퓨젼시대. 철학과 현실사, pp. 144-146
  7. 김정호 (2000. 6). 장성원, 디지털 기술과 산업의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8. 백욱인 (1997. 8). 디지털 복제시대의 문화. 서울산업대학교
  9. 김민자 (1986). 1960년대 팝아트의 사조와 패션. 한국의류학회지, 10(1), pp. 69-84
  10. 한윤숙 (2000. 10). 21세기 디지털 유목민 문화에 나타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pp. 7-9
  11. 양해림 (2001). 미의 퓨젼시대. 철학과 현실사, pp. 130-132
  12. 이광규 (1992). 문화인류학개론. 일조각
  13. 유수연 (2002. 12). 디지털시대의 퓨젼문화와 퓨젼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p. 64
  14. 최숙희 (2000. 8). 2000년 3분기 소비자태도 조사. 삼성경제연구소
  15. 이정호. 포스트 모던 문화 읽기. 서울대학교 출판사. p. 166
  16. 브랜든 테일러, 김수기, 김진송 공역 (1998. 1). 시각과 언어, p. 51
  17. 이연숙 (1998. 1). 실내디자인 양식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8. 원을지, 이선재 (1999. 8). 포스트모더니즘 의류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한국복식학회, 46, p. 188
  19. 김민자 (1998. 3).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I). 한국복식학회, 37, pp. 113-114
  20. 장 보드리야르, 이상률 역 (2000). 소비의 사회. 문예출판사
  21. 김욱동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청하출판사, p. 29
  22. 찰스 젱크스, 신수현 역 (1993). 포스트모더니즘. 열화당, p. 34
  23. 유수연 (2000. 12). 디지털시대의 퓨젼문화와 퓨젼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5, p. 65
  24. 철학사전 (1987). 중원문화사, p. 600
  25. 임영자, 김선영 (2000. 7). 현대패션에 표현된 New Orientalism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0(4), p. 38
  26.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Oxford: Clarendon Press
  27. 조정미, 김예형 (2000. 9). 현대 패션에 나타난 젠(zen:禪)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0(6), p. 173
  28. 정흥숙, 정현숙 (1997. 11). 포스트 모던 패션에 표현된 페미니즘 연구. 한국복식학회, 35, p. 237
  29. 루이 옐름슬레우, 김용숙, 김혜련 역 (2000. 12). 랑가쥬 이론 서설, p. 110
  30. 김경옥, 금기숙 (1998. 1). 현대 패션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36, p. 250
  31. Hi-Fashion (1984. 10), p. 209
  32. 양학미, 김민자 (2001. 1).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패션에 나타난 혼성모방. 한국복식학회, 50(1), p. 77
  33. 박현신 (1998. 5). 카오스.프랙탈적 사고에 기초한 의상의 해체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38, p. 179
  34. 정흥숙 (1995. 8). 포스트모던 복식의 복고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25, p.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