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마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2초

경북 울진군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the Bulyeong Valley in Uljin-gun, Gyeongbuk)

  • 오현경;신현탁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59-367
    • /
    • 2006
  • 본 연구는 불영계곡 일대의 관속식물을 조사한 후 무분별한 개발과 채취로 인해 점점 멸종되어가고 있는 희귀식물과 한국특산식물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제시함으로써, 식물자원과 식생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101과 340속 547종 80변종 12품종 1아종 1교잡종으로 총 641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희귀식물에는 식재수종을 제외한 창포(보존우선순위 54번), 꼬리겨우살이 (170번), 등칡 (57번), 쥐 방울덩 굴 (151번), 태 백제 비꽃 (202번), 지리산오갈피(58번), 꼬리진달래 (140번), 개불알꽃 (29번), 미치광이풀(208번)등 총 9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에는 키버들, 각시족도리, 흰명아주여뀌, 숲개 별꽃, 진범, 점현호색, 흰현호색, 갈퀴현호색, 꽃황새냉이, 흰털괭이눈, 터리풀, 틸조록싸리, 지리산오갈피, 새며느리밥풀,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가야은분취 등 총 1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식재종인 왕벚나무, IV등급에는 측백나무, 승마, 애기기린초, 꼬리진달래 등 13종류, III등급에는 개쇠뜨기, 돌단풍, 참당귀, 고려엉겅퀴 등 17종류, II등급에는 처녀치마, 동자꽃, 참바위취, 노랑제비꽃 등 15종류, 그리고 I등급에는 일월비비추, 촛대승마, 애기괭이눈, 초롱꽃 등 35종류로 분석되어 총 81종류(12.6%)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2과 40속 51종 2변종으로 총 53종류(taxa)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2%, 도시화지수는 20.7%로 분석되었다. 최근 들어 불영계곡 일대는 도로 확장 등의 개발계획과 무분별한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빠른 시일에 생태계복원계획에 대한 다양한 대책과 제한적인 국토개발계획의 재수립이 필요하며, 희귀식물이나 특산식물 등이 분포하고 있는 서식처를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의학과 내 작업 환경에서 공기층 납치마의 피폭선량 감소 효과 평가 (Evaluation of Reductive Effect of Exposure Dose by Using Air Gap Apron in Nuclear Medicine Related Work Environment)

  • 이왕희;안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845-853
    • /
    • 2014
  • 본 연구는 핵의학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99m}Tc$에서 방출되는 140 keV 감마선을 기준으로, 세 가지 실험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납치마와 공기층 납치마를 이용해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OSLD) 선량계에 도달하는 선량을 측정하고, 공기층 납치마의 피폭선량 감소효과에 대해 연구했다. 그 결과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납치마의 공기층이라고 가정했을 때, 선량계와 0.2 mm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는 0 Cm일 때 측정된 10개의 선량계의 평균값은 0.515 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 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138 mSv로 약 0.377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선량계와 0.5 mm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는 0 Cm일 때 10개의 선량계의 측정값의 평균은 0.296 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 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075 mSv로 약 0.221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3일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공기층이 없는 납치마의 경우 측정된 누적선량의 평균은 0.238 mSv, 공기층 납치마의 누적선량은 0.176 mSv로 0.062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한 달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공기층이 없는 납치마의 누적선량의 평균은 0.59 mSv, 공기층 납치마의 누적선량은 0.54 mSv로 0.05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한반도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의 식물계절성 변화 연구 - 덕유산 정상 지역을 중심으로 -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 - 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

  • 김혁진;홍정기;김상철;오승환;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9-556
    • /
    • 2011
  • 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식물종인 목본식물 20종, 초본식물 18종 총 38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식물계절 변화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식물은 개엽, 개화, 낙화, 단풍, 낙엽 등 5개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아고산지대내 기후변화 취약종의 식물계절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상 자료는 2009년 11월 말부터 2010년 12월 초까지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기온은 향적봉-중봉 지역에서 최대가 $30.4^{\circ}C$, 최소가 $-20.3^{\circ}C$로 조사되었으며, 상대습도는 최고 100%, 최소 3.4%로 조사되었다. 덕유산 향적봉과 중봉지역의 개엽시기를 조사한 결과 박새, 산오풀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은 비슷하거나 전년도에 비해 6~20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개화시기는 식물계절 변화 중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른 봄에 개화하는 처녀치마, 산철쭉, 노랑제비꽃은 2차년도에 13일~20일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늦은 봄과 여름에 개화하는 백당나무, 풀솜대, 개시호 등은 2차년도에 6일~10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화시기와 단풍시기는 전년도에 비해 10일~18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낙엽시기는 전년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이 한반도 아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취약종들에게 상당히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에 인접한 각화산 일대의 식물 분포 연구 (The Flora of Mt. Gakhwasan Adjacent to the Baekdudaegan)

  • 변준기;허태임;이동혁;이준우;박병주;김영수;김현탁;신승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44
    • /
    • 2018
  •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각화산(1,177m)은 태백산맥에서 소백산맥으로 갈라지는 기점을 이루는 산으로 구령산, 청옥산, 옥석산 등과 함께 백두대간 일대의 중요한 산으로 인식된다. 특히 각화산은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했던 태백산 사고지터(사적 제 348호)를 품고 있는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각화산 일대 관속식물의 분포상을 파악하고자 2017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조사지 내 관속식물은 92과 291속 413종 4아종 38변종 6품종으로 총 46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7.4%,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10.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화산 일대의 주요 식물 가운데 한국특산식물은 12분류군(할미밀망, 진범, 처녀치마, 지리대사초 등)이 확인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꼬리진달래, 노랑무늬붓꽃) 2분류군, LC등급(너도바람꽃, 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3분류군으로 총 5분류군의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 5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 II등급 21분류군, I 등급 2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6.8%, 귀화율은 5.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의 유용성 분석 결과, 식용식물 348분류군(75.5%), 섬유용식물 1분류군(0.2%), 약용식물 기분류군(15.4%), 관상용식물 18분류군(3.9%), 목초용식물 102분류군(22.1%) 목재용식물 14분류군(3.0%) 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물은 각화산의 식물 현황을 제시함과 동시에 생태축으로 연결된 백두대간 일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봉화군 갈방산 일대의 식물 분포 연구 (The Flora of Mt. Galbangsan in Bonghwa-gun)

  • 변준기;이동혁;허태임;이준우;박병주;김영수;김현탁;신승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8
  •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갈방산(712m)은 백두대간 옥석산(1,244m)에서 분기한 문수지맥의 산지 가운데 하나다. 본 연구는 갈방산 일대 관속식물의 분포상을 파악하고자 2017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92과 265속 373종 4아종 44변종 5품종으로 총 426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지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경상북도 관속식물 1,684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25.3%, 한반도 관속식물 4,499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8; Http://www.nature.go.kr/kpni/)의 9.5%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갈방산 일대의 주요 식물 가운데 한국특산식물은 11분류군(키버들, 병꽃나무, 처녀치마 등)이 확인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VU등급(세잎승마) 1분류군, LC등급(도깨비부채, 태백제비꽃) 2분류군으로 총 3분류군의 희귀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 1분류군,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10분류군, II등급 16분류군, I 등급 2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은 총 2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 6.3%, 귀화율은 5.2%에 해당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된 식물의 유용성 분석 결과, 식용식물 345분류군(81%), 섬유용식물 4분류군(0.9%), 약용식물 85분류군(20.0%), 관상용식물 18분류군(4.2%), 목초용식물 109분류군(25.6%) 목재용식물 15분류군(3.5%) 등으로 확인되었다. 요컨대 갈방산 일대의 식물 현황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물이 갈방산 일대의 희귀특산식물과 유용식물의 보전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CAD SYSTEM을 이용한 한복의 기성복 설계에 관한 연구(I) -여아 색\ulcorner 저고리 및 치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Costume Pattern Design Using CAD System(I) -With Concentration on the Girl's Color-Strip Blouse & Skirt-)

  • 조영아
    • 복식
    • /
    • 제19권
    • /
    • pp.105-125
    • /
    • 1992
  • The research, aiming an automatic pattern design of Korean Costume by utilizing CAD system, tried Grading, Seaming and Marking with a theme of girl's color-strip blouse & skirt. The content & conclusion of the research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As w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ostume which becomes more likely celebrational or festival costume, while the demand of it is getting increase, it's being dealt mostly as ready-made dresses with different qualities & designs. Especially childrens ready-made ones were highly demanded to be picked up as the theme. 2) For the original drawing of children's color-strip blouse & skirt, Kyung-Ja Park's drawing method was used here, and for the substitute of particular body parts absolute size, Joo-Won Lee's standard size chart from a size-study by ages. 3) To work with CAD system we had input master pattern, drawn for age 5 as basic size, then graded six step-sizes for 1-11 years old. For add-subtract of particular body parts size, we graded through computing the standard variation among items to get the pattern developed into ready-made standard size, we can make precise plotting by grading wanted size very rapidly if we correct the rule of changed items different from standard size to make utilization possible enough with easy order method of ready-made Korean Dress. 4) We produced Marker after attaching a margin to seam accordingly by parts for each pattern using P/D/S to mark, In mass gament-cutting, the loss of time and material can minimized. In this research the apparel CAD system which has been utilized and only be western fashion industry was introduced for the design of ready-made Korean costume and utilized it in Grading, Marking which are critical step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have reported the result in the research. Thus we expect that less cost, improved productivity and better quality with minimized loss of material from marking as well as from prompt and precise size-drawing. Furthermore the utilization of CAD system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one in terms of the research & the development to remove effective one in terms of the research & the development to remove irra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of Korean costume as well as in terms of the study of Korean Costume development through creative works of Korean Costume.

  • PDF

경상북도 안강 행주 기씨 묘 출토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 보존처리 - 직금단 편금사의 금박 재접착을 중심으로 - (Conservation of Golden Decorative(Jikgeumdan) Jeogori and Chima of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 of Angang, Kyungsangbukdo Province - Re-adhesion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

  • 오준석;노수정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67-7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erve of golden decoration(Jikgeumdan) of Chima(skirt) and Jeogori(Korean jacket) of the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1392{\sim}1910)$ and to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skill to prevent flaking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Up to the present, in case of golden decorations of costumes excavated from tombs of Joseon dynasty, some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ostumes were flaked away by deterioration of adhesives in tombs. However, most of gold leaves were flaked away and totally lost by wet cleaning for eliminating contaminants after excavation. In order to prevent flaking, preliminary experiments for re-adhesion of gold leaves have been carried out. Firstly,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gold leaf which was available in the market. Adhesives used in this research were water-soluble adhesives(hide glue(cow, rabbit), glue made from air bladders of sciaenoid fish and Primal AC-3444 of acrylic emulsion) and solvent-soluble adhesives(acrylic adhesive Paraloid B-67 and B-72). Because of difficulty in wetting and spreading of adhesive solution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water-soluble adhesives were not proper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olvent-soluble adhesives were easily infiltrated into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and the adhesive force was also satisfied. From this result, the researchers chose more flexible Paraloid B-72$(Tg\;40^{\circ}C)$ 1% solution than Paraloid B-67$(Tg\;50^{\circ}C)$ for adhesion of gold leaf and Korean paper. Secondly, using Paraloid B-72 1% solution, the estimations of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Jeogori were carried out. When Paraloid B-72 1% solution was injected three times into the interface between gold leaf and Korean paper, the re-adhesion was most effec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ese preliminary experiments, re-adhesions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of Chima and Jeogori were carried out on condition of three times injections of Paraloid B-72 1% solution before wet cleaning. After wet cleaning, the most of the gold leaves were survived, which was confirmed by both the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and the microscopic examination.

저온 관련 유전자를 이용한 상추 (Lactuca sativa L.)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Using Cold Regulated Gene (BN115))

  • 정재훈;양덕춘;장홍기;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12
    • /
    • 2000
  • 저온관련 유전자인 BN115 gene과 표지유전자인 npt II gene을 함유하고 있는 Agrobacterium tumifacience GV 3101 균주를 이용하여 겨울상추품종인 청치마의 잎절편과 공동배양하는 방법으로 형질전환 시켰다. 상추의 잎절편을 Agrobacterium과 공동배양 후 MS 기본배지에 100 mg/L kanamycin, 500 mg/L carbenicillin, 0.1 mg/L NAA, 0.5 mg/L kinetin을 첨가한 선발배지에 치상하였는데, 치상 후 3-4주부터 절편체로부터 multiple shoot들이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선발배지에서 살아남은 선발체들은 1/2 MS배지에 100 mg/L kanamycin, 250 mg/L carbenicillin이 첨가된 발근배지로 옮겨졌다. 한편, 선발된 shoot들은 PCR반응을 이용하여 도입유전자의 삽입여부를 확인하였다. PCR 반응은 표지유전자인 nptII와 저온관련 유전자인 BN115 및 식물에 도입되지 않는 vir G 유전자를 각각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rimer를 가지고 실시하였다. PCR 반응 결과 대조구로 쓰인 정상 상추식물체에서는 nptII와 BNl15유전자의 증폭을 볼 수 없는 반면에 형질전환체에서는 두 유전자 모두 PCR 증폭 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확인된 식물체의 DNA에서는 vir G유전자가 발견되지 않아 이는 Agrobacterium의 혼입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또한 선발된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Southern analysis와 RT-PCR을 실시한 결과 내한성 유전자가 상추 식물에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 PD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 미생물 제재의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 및 상추와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bial product made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 on microorganisms in soil and growth of lettuce and Chinese cabbage.)

  • 김순희;배계선;양재균;이유정;오주성;정순재;문병주;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78-787
    • /
    • 2004
  •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분리하여 동정한 Bacillus stearothermophilus DL-3와 미강을 사용하여 미생물 제재를 제조하고 미생물 제재의 처리가 상추(적치마 상추)와 배추(가락 신1호 배추)재배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및 상추와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 한 6주 후, 미생물 제재를 처 리 한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의 총 균수는 미생물 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 미생물의 총 균수에 비하여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양에 비례하여 많음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 재배한 상추와 배추의 생육이 미생물 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서 재배한 상추와 배추에 비하여 빠름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제재를 처리한 토양에서는 처리하지 않은 토양에 비하여 전체적인 토양 미생물 수의 증가와 작물의 생장에 유용한 종류의 미생물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상추와 배추의 생장을 촉진시킨다고 판단된다.

유방특이감마영상검사에서 액와부 영상 획득 방법에 대한 연구 (Technical Details Imaging Axillary Lymph Nodes in Breast-Specific Gamma Imaging)

  • 장지연;정은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115-119
    • /
    • 2012
  • 유방특이감마영상검사(Breast-specific Gamma Imaging, BSGI)는 $^{99m}Tc$-sestamibi와 고해상도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양측상하영상, 내외사방향영상을 얻으며 추가로 액와 림프절 검사를 시행 할 수 있다. 액와 림프절 전이 여부가 중요한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BSGI의 액와부 검사는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5월부터 2012년 3월까지 본원에서 유방특이감마영상검사를 시행한 총 3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액와 림프절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올바른 검사를 위한 기술적 사항을 연구하였다. 방사성의약품 주입 시 일어날 수 있는 혈관 포획, 혈관 외 유출현상이 영상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방지하는 방법과 영상의 획득 방법을 규정하였다. 혈관 외 유출과 혈관의 포획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99m}Tc$-sestamibi를 주입 후, 10 cc의 생리 식염수를 주입한다. 주사 후 팔을 귀 위로 올리고 공을 이용하여 약 1분간 운동한다. 감마카메라의 납 차폐체를 제거하고 검출기에 기울기를 주어 최대한 검출기에 액와부를 밀착시키고, 납 앞치마를 이용하여 촬영하려는 측의 어깨 부분을 가려주어 배후 방사능을 최소화 한다. 액와부 영상은 2-3분 획득한다. BSGI 검사 시, 기존에 시행되던 양측 상하방향, 내외사방향영상만을 얻는 방식에서 액와 림프절 영상을 함께 획득 한다면 유방암의 치료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며, 본 연구에서 얻은 기술적 사항을 검사에 적용한다면 유방암 환자들의 액와 림프절 영상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