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Reductive Effect of Exposure Dose by Using Air Gap Apron in Nuclear Medicine Related Work Environment

핵의학과 내 작업 환경에서 공기층 납치마의 피폭선량 감소 효과 평가

  • 이왕희 (가천대 길병원 핵의학과) ;
  • 안성민 (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4.09.22
  • Accepted : 2014.11.04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dose reaching the OSLD dosimeter by using the regular lead apron, and air gap apron through 3 experiments, and researched the reductive effect of air gap apron on exposure dose based on the 140 keV gamma ray radiating from $^{99m}technetium$,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in nuclear medicine. As a result,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0.2mm lead plate is 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515 mSv,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lead plate is 2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138 mSv, which shows reductive effect of dose as much as 0.388 mSv.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0.5mm lead plate is 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296 mSv, and when the gap between the dosimeter and lead plate is 20 Cm, the average value of 10 dosimeters was 0.075 mSv, which shows reductive effect of dose as much as 0.221 mSv. As we check the cumulative dosage for 3 days, the lead apron without air layer shows average 0.239 mSv, and the air gap apron shows 0.176 mSv, which is actually reduced by 0.062 mSv. As we check the cumulative dosage for a month, the lead apron without air layer shows 0.59 mSv, and the air gap apron shows 0.54 mSv, which is reduced by 0.05 mSv.

본 연구는 핵의학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99m}Tc$에서 방출되는 140 keV 감마선을 기준으로, 세 가지 실험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납치마와 공기층 납치마를 이용해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OSLD) 선량계에 도달하는 선량을 측정하고, 공기층 납치마의 피폭선량 감소효과에 대해 연구했다. 그 결과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납치마의 공기층이라고 가정했을 때, 선량계와 0.2 mm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는 0 Cm일 때 측정된 10개의 선량계의 평균값은 0.515 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 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138 mSv로 약 0.377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선량계와 0.5 mm 납판 사이의 거리가 없는 0 Cm일 때 10개의 선량계의 측정값의 평균은 0.296 mSv이고, 선량계와 납판 사이의 거리를 20 Cm로 떨어뜨린 경우 10개의 측정값의 평균이 0.075 mSv로 약 0.221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3일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공기층이 없는 납치마의 경우 측정된 누적선량의 평균은 0.238 mSv, 공기층 납치마의 누적선량은 0.176 mSv로 0.062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한 달 간의 누적선량을 측정한 결과, 공기층이 없는 납치마의 누적선량의 평균은 0.59 mSv, 공기층 납치마의 누적선량은 0.54 mSv로 0.05 mSv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귀순, 방사선 물리학, 펴냄홍, p.85, p.219, 2004.
  2. 정준기, 이명철, 고창순핵의학, 고려의학, pp.35-37, pp.186-193, 2008.
  3. 원자력안전법시행령 제2조 제4호, 2013.
  4. 방사선작업종사자를 위한 방사선안전교육 교재, 방사선안전재단, pp.21-22, 2014.
  5. 정준기, 이명철, 고창순핵의학, 고려의학, pp.186-193, 2008.
  6. 방사선작업종사자를 위한 방사선안전교육 교재, 방사선안전재단, pp.21-22, 2014.
  7. R. J. Vetter, "Medical health physics: a review," Health. Phys, Vol.88, No.6, pp.653-664, 2008.
  8. 이왕희, 김성철, 안성민,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 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329-334, 2012.
  9. N. L. McElroy, "Efficacy of various syringe shields for 99mTc," Health Physics, Vol.41, No.3, pp.535-542, 1981. https://doi.org/10.1097/00004032-198109000-00011
  10. E. A. Clark, A. Notghi, and L. K. Harding, "Are MIBI/tetrofosmin heart studies a potential radiation hazard to technologists?," Nucl, Med. Commun, Vol.8, pp.574-577, 1997.
  11. 한국방사선진흥협회, 방사선이용통계, 2013.
  12. 동경래, 김창복, 박용순, "방사선취급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환경학회지, 제6권, 제1호, pp.38-47, 2009.
  13. W. F. Helen, C. Paul, S. Bradley, and C. Llewellyn, "COMPARISON OF DOSE SAVINGS OF LEADAND LIGHTWEIGHT APRONS FOR SHIELDING OF 99m-TECHNETIUM," RADIATION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124, No.2, pp.89-96, 2007. https://doi.org/10.1093/rpd/ncm176
  14. U. M. Kujala, S. Taimela, and T. Viljanen, "Physicalloading and performance as predictors of back pain in healthy adults, A 5-year prospective study," Eur. J. Appl. Physiol, Vol.73, No.5, pp.452-458, 1996. https://doi.org/10.1007/BF00334423
  15. 최태진, 오영기, 김진희, "의료영상용 방사선 방호를 위한 무납차폐체개발", 의학물리, 제21권, 제2호, pp.232-237, 2010.
  16. 김선칠, 박명환, "친환경소재의 의료 방사선 차폐 시트 개발", 방사선기술과학, 제34권, 제2호, pp.141-147, 2011.

Cited by

  1. Simulation of Energy Absorption Distribution using of Lead Shielding in the PET/CT vol.9, pp.7, 2015, https://doi.org/10.7742/jksr.2015.9.7.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