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학교계획

Search Result 37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Plannig Characteristics of Crow Island Elementary School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52-855
    • /
    • 2012
  •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는 미국 근대교육 및 학교 건축사에서 기념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40년 건립된 이래 현재까지도 초등학교로서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진보적인 교육철학이 학교 건축으로 구체화된 사례로 학교건축의 원론적 가치들은 시대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유효함을 웅변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의 계획 특성을 자기 수용형 단위교실의 구성, 아동중심공간의 실천, 통합디자인의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 PDF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an Primary School Building (서울 장안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59-70
    • /
    • 1996
  • 장안초등학교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에 개교된 초등학교이다. 처음에는 8학급의 가교사시설에 18학급으로 편성되어 초기부터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학생수 증가로 거의 매년에 걸쳐 학급수의 증가와 교실증축이 함께 이루어 졌다. 현재 건물의 건립년도를 살펴보면 1965년 6월에 처음 신관 1층 부분이 건설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꾸준히 증축되어 왔으며, 대지 동측의 별관은 1993년 12월에 건설된 새건물로, 학교교사 건물이 30년된 건물과 최근의 건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구조적으로는 100년도 견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 30년이면 콘크리트의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학설이 인정되어, 최근 30년이 경과된 학교 건축의 재건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는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서도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는 예 가 많아 교육부에서는 대체로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 대하여 재건축을 실시하고 있다. 장안초등학교는 20년에서 30년 경과된 건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재건축이 실시되는 예이다.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건물은 본관의 남측부분의 교사(1983년 증축)과 신관의 우측부분(1985년 9월 23일 증축)과 별관(1993년 12월 14일 신축)교사동을 들수 있다.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철거할 것인가 혹은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있어, 최종적으로 별관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본관 남측부분은 가장 마지막 건설시기에 철거하고 신관 우측부분은 규모가 작아 철거하기로 하였다. 학교건축은 다른 일반건물과는 달리 교육이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공간구성이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예전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자주성을 발휘시킬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 대하여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이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학년을 하나의 학습그룹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 학년의 그룹을 교대상의 기본으로하여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을 본 장안초등학교 기본계획에서 출발점으로 하였다. 물론 학교전체 학생을 콘트롤할 수 있는 교육방법도 존재한다. 선진 외국의 예를 살펴보면 아동의 능력별 교육을 위하여 무학년제(Non-Grade)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학급단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학급단위는 교육단위이면서 생활지도 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학교건축의 간장 기본 단위가 되는 보통교실 계획을 보통교실과 오픈스페이스를 연속시킨 유니트로 계획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 등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로는 36학급을 계획할 경우, 한학년의 6개 학급이 하나의 공통된 공간내에 그룹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제3안의 배치에서 제안하여 보았지만 북측교실, 오픈스페이스의 통로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3개학급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였다. 물론 한학년이 동일한 층에 배치시켜 서로의 관련성을 높게 하였다. 특별교실 계획은 보통교실과의 관련성과 장래 지역개방의 역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장안 초등학교의 경우는 별관을 그대로 사용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편복도 형식의 교실에서는 보통교실 계획의 어려움이 있어 특별 교실동으로 고려하였다. 때문에 지역개방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체육관은 기준령에는 권장시설로 되어 있지만 학교시설에 필수적인 시설이라 생각한다. 체육은 국민건강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체육관 건설은 실외체육 실내체육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학교 행사등에 유용히 사용되기 때문에 더욱 필요시설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지역개방을 위하여 정문 혹은 후문 가까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별관, 체육관, 운동장, 후문측에 12학급용의 단독건물 등의 기본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자면 자연히 교실동들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각각의 교사동을 A동을 중심으로 구름다리로 연결하여 동선의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주차장은 후문 가까이에 약 10정도의 주차공간이 확보가능하다. 이외에는 운동장을 사용하는 방법과 체육관의 1층부분을 필로티로 하여 그곳에 20대 정도 주차시키는 방안이 있다. 주차는 많을수록 편리는 하겠지만 제한된 대지에 모두 만족 시켜주기는 불가능하다. 공공용의 주차와 소방에 필요한 동선이 요구된다. 특히 도심주차난을 생각할 때는 차라리 적극적으로 지하주차장을 계획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67학급은 초대형 규모로 초등학교 규모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장래를 고려하여 48학급에서 최종적으로 36학급으로 계획하였으나 한동안은 67학급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신설 초등학교가 가까운 시기에 개교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Library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 Shin, Dong-Jun;Lee, Sang-Ho;Lim, Che-Z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165-179
    • /
    • 2009
  • The primary school library make high using conveni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support work of teachers efficiently because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fundamentally. Generally, the main purpose of space composition is economic Lay-out of space and furniture to connect faculty of between space and space. Therefore, to convenient for users and high effect of education, Lay-out of space and furniture, we survey and analyz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primary school library. To this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ate and analyze the occupancy character of space for students that user of primary school library then when we plan primary school library, accomplish more efficient space plan that specialization, pluralistic, individuality of primary school library and cope with environment of education and change of society actively.

The survey on the patterns of school facilities usages for studying a space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s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부지 협소 초등학교의 공간 조성 방안 연구를 위한 학교 시설 이용 실태 조사 -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 Kim, Sae-Rom;Lee, Jae-Rim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1
    • /
    • pp.49-61
    • /
    • 2019
  • In this study, interviews are held with the faculties of two elementary schools on narrow sites located in Seoul to examine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and the need for the new faci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in order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guidelines of such school 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substitutes of the playground installed in the elementary school on narrow site were not suitable for physical play activities,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ies, and other curriculum operations. In order to secure an adequate physical activity an space for elementary schools, faculty members were demanding that the entire floor or rooftop of the school building be spatialized for physical activities. Additionally, problems such as noise generation and the lack of special rooms and public space were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on narrow sites and are being deteriorated by accommodating an over number of students, and therefore policies are required to ensure that the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are maintained in the case of the schools on narrow sites.

A Study on the Planing of the Learning Space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English Learning Activities (초등학교 영어 교수·학습활동에 대응한 학습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 Choi, Byung-Kwan;Oh, Hyoung-Seok;Kim, Joong-H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538-3549
    • /
    • 2013
  • This study focu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solution and guid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spatial layout and operation program to establish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roper to English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ology by the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is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facility condition such as type of classroom, retainment and floor space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through the nationwide survey for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 study analyzes English educational procedures, contents and methodology and most typical educational scenes,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Finally, the study pursues the spatial layout factors and propos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principle for English only classroom to provide English educational environment per its size and typ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Using Advance Organizer (선행조직자를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Dagyeom;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19-221
    • /
    • 2022
  • 초등학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교육은 학교급별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놀이 및 체험 활동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수요 및 AI 리터러시 연구에서 AI 개념의 지도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초등학생에게 어렵고 생소한 AI 개념을 교육하기 위해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선행조직자는 개념 지도 시 학습자의 인지적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중 하나로 이미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분석 결과 선행조직자는 학생별 경험과 양육환경의 차이로 인해 선행조직자로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선행조직자를 초등 교육과정에서 추출하여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AI 교육 내용 기준에서 AI 개념 요소를 추출하여 초등학교 1~4학년 교과 교육과정에서 선행조직자를 선정하였고 4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AI 개념을 학습과 AI 리터러시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nalytic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mber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in Small Cities (중소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5 no.1
    • /
    • pp.30-39
    • /
    • 2016
  • Students receiving plan is not based on short-term indicators, such as student-centered, student-induced factor to address school needs new complai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chool in the center of a long-term (30 years) perspective. Therefore, analysis of Cheongju students can examine the entire 30 year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seven models and presented the case to its types. Second,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haracteristics classify 55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ity by dividing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 or decrease trend to 10 zon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Number increasing school group of 4 schools, 15 schools students Number fell in shot Term, the Students Number dropped in middle Term 26 schools, 10 was a small school. In particular,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stablish measures for these small schools. Third, despite the reduced number of students indicated in the analysis result, caused the social conflict factors by excessive new school requirements. It also caused a number of students from schools when the Curve of Students Number are to remain flat or decline. It shows that no additional new demand of School in the region. Fourth,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ing trend forecasting model

    as you can see, this was the accepted plan issues.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초등학교 교실 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 및 필요도)

  • Hoon, Kim-Young;Nam, Kyung 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269-276
    • /
    • 2020
  •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lassroom space of elementary schools that have implement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ream Classroom' project and identify satisfaction and needs in terms of users. Primary school was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and color of space was investigated by the present ministerial inspe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homeroom teachers and analyzed as SPSS/WIN Statistical Programme 22.0. The satisfaction level of space elements was verified by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he general classroom and the 'classroom with dreams' difference in response t-test, the need for planning elements (criticality),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one way ANOVA. The space had the most separate, primary-colored classrooms. They preferred emotional factors and bright and light atmosphere for the lower grades, and the soft and soft atmosphere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chool preferred communication space with the community, proper play and relaxation space for the complex type of classroom. This will help set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school classroom space planning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elf-driven scheduling service for dual-income families (맞벌이 가정 아이의 자기 주도적 일정관리 서비스)

  • Lee Hong, Eun-young;Kim, Hyung-sun;Park, Ji-hyo;Beak, Seung-min;Park, Su 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137-140
    • /
    • 2018
  • As the number os working-class households has increased and As the number of working-class households has increased and the birth rate has decreased, more than a third of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left alone. While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nation have implemented a policy of after-school care, even that has reduced the number of classrooms in the government. As such, parents cannot avoid leaving their children alone at home and wonder about their day. For these parents and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came up with a service that allows them to plan and implement their own work. The service enables children to develop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and allows them to receive feedback through the app on what plans and practices a child left alone at home is plan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