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인 문제해결

Search Result 1,00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Scratch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Scratch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07-312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재량시간을 통해 진행하려 한다. 프로그래밍 수업은 전문 용어, 결과가 눈에 쉽게 보이지 않는 이유 등으로 초등학생에게는 지루하고 어려워서 적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아동인지단계에 맞추어 흥미를 느끼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Scratc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고자 한다. 단일 집단에게 수업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Scratch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Design of PBL(Problem - Bas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for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learning (HTML 학습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모형 개발)

  • Lee, Sun-Hyun;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01-408
    • /
    • 2005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 Problem-Based Learning: PBL) 모형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HTML 학습 방안의 탐색을 위해 수행되었다. 초등학생이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학습을 통해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때 단순문법을 익히는 것을 넘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자율적이고 창의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차원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제중심학습의 기존모형들이 갖고 있는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문제중심학습의 절차는 문제와의 만남- 문제의 해결 전략 세우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수집- 문제의 해결 -평가 단계와 같다. 학습과정 에세이 기록을 통해 학습절차를 설계하고 과정을 돌이킬 수 있으며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학습의 결손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모형인 문제중심학습(PBL)을 HTML 언어교육에 적용 할 경우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창의력 논리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연구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0-60
    • /
    • 2017
  • 4차산업혁명 시대에 대학교육은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청년실업율 상승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으로 청년창업으로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부터 창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지위한 정책과 지원을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대학교육의 교과 비교과 교육커리큘럼 역시 시대적 요구에 맞춰 변화하고 있으며 창의성 역량을 강조하는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창의성역량 함양과 도전정신을 강조하며 기업가정신을 함양하는 추세이다. 이는 작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상과 일치하며 정부와 대학에서도 창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창업의지, 창업성과, 청년창업 등 창업에 관련된 단편적 측면으로 연구가 많이 되고 있다. 즉,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성 측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창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지역 거점별 5개 대학교의 창업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여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만 창업교육의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통해 매개효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창업교육의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이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실증적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단순히 대학의 창업교육을 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창업교육을 통하여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써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창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측정과 평가에서 창업과 같은 실무적 성과 접근뿐만 아니라 사회진출을 위한 진로 영역 등과 같이 다각도의 효과와 올바른 방향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Possibility of Social-cultural Creativity Education: A Case Study of "Imaginative Innovator" at H University (사회문화적 창의력 교육의 가능성 제안 : H대학교 '상상력 이노베이터'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 Lee, J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448-458
    • /
    • 2021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universities have made great efforts to develop and reform creative convergence courses for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ies. Although various subjects such as "Capstone" and "Design Thinking"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es, many courses focus on creativity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creating new products or outputs such as engineering, design, and art, so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and subjects on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ies from a humanities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of creative courses, "H" University developed a 'Imaginative Innovators' class with the purpose of solving creative problems on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s, culture, politics, economics, and so on.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purpose, methodology, students' best practices etc. of the "Imaginative innovator" course.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complements as well as the 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ours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reativity education.

수학퍼즐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Jeon, Pyeong-Guk;An, So-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69-182
    • /
    • 2002
  • 퍼즐의 교육적 의도는 수학 학습의 즐거움과 호기심, 그리고 지적 도전감이나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수학적 창의성이 신장되리라는 믿음에서 비롯되며, 퍼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 창의성은 다양한 퍼즐 문제를 통해 교육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좀더 체계적인 퍼즐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 수학퍼즐이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 PDF

Contradiction Problem Solving Algorithm based on the Butterfly Model Focused on Divide and Combine Strategy Design (분할과 결합 전략의 설계를 중심으로 한 나비 모형에 기반을 둔 모순 문제 해결 알고리즘)

  • Hyun, Jung Suk;Ko, Ye June;Kim, Yung Gyeol;Jean, Seungjae;Park, Chan Jung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59-62
    • /
    • 2018
  • 모순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자 한 나비 모형은 모순의 유형을 나누어 정의하고 유형별 문제 해결 목표와 추상적 해결 전략을 정의하여 논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순 문제와 문제에 대한 시간 및 구성요소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모순 유형을 결정하고 주어진 문제의 문제 해결 목표와 추상적 해결 전략, 나비 다이어그램을 제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모순 유형 중에서 추상적 해결 전략으로 두 가지 매개 모순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 문제의 구체적 해결 전략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간과 구성요소의 분할과 결합 전략에 대한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본 연구는 나비 모형을 기반으로 모순 문제의 구체적인 해결 전략을 자동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궁극적으로는 나비 모형을 기반으로 컴퓨터가 스스로 모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Programs about Molecular Genetics Based on the HS-CPS Model for Gifted Students (영재 학생들을 위한 과학사-CPS 수업 모형을 활용한 분자생물 영역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Lee, Ju-Hyun;Lee, Mi-Sook;Ju, Hee-Young;Lee, Kil-Ja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5 no.2
    • /
    • pp.262-273
    • /
    • 2011
  • This research was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molecular genetics teaching program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HS-CPS model)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strategi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cientific theory development, the HS-CPS teaching program were developed. This program was applied to 8 first and second graders of the special class for invention activity in a high schoo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DNA and gene concept were tested in pre and post of 12 less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cience was improved meaningfully. Second, HS-CPS teaching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understanding of DNA and gene concepts. Third,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program evaluation questionnaire.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hinking and Strategies Appeared in Solving Mathematical Puzzles (수학퍼즐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와 전략)

  • Kim, Pansoo
    • Journal of Creative Information Culture
    • /
    • v.5 no.3
    • /
    • pp.295-306
    • /
    • 2019
  • Despite the popularity and convenient accessibility of puzzles, the variety of puzzles have led to a lack of research on the nature of the puzzle itself. In guiding certain skills, such as abstractness, creativity, and logic, a teacher should have the thinking skill and strategy that appear in solving puzzles. In this study, the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s in solving puzzle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ts is identified, and the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and classified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85 math puzzles including the well-know puzzles to the public, plus puzzles from a popular book for the gifted student. The research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6 types of mathematics puzzles in which require mathematical thinking.

The Effect of CPS Programming Model on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vergent thinking (초등학생의 확산적 사고 촉진을 위한 CPS 프로그래밍 수업의 효과 분석)

  • Jeon, Seong-Kyun;Lee, Young-J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1-8
    • /
    • 2012
  • General form of the programing education is finding and realizing algorithm to solve problems faster and more efficiently. In other words, it is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However, the programming education mus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education targe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centered investigation environments. They should learn how to find the most efficient problem solving method by themselves. This study had adopted divergent thinking strategy where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can be repeated at the same time to suit a programming education with great importance of convergent thinking to elementary school leaners, and analyzed its effects. This study was applied to 5th graders, and 12 times of experimental measure classes were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general programming class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a programming class including divergent thinking of CPS model. As a result, CPS model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self-assurance, independence, and divergent thinking.

  • PDF

Effects of an Action Learning based Creative Problem-Solving Course for Nursing Students (액션러닝 교수설계에 의한 창의적 문제해결 교과의 학습성과)

  • Jang, Keum Seong;Kim, Nam Young;Park, Hyunyo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20 no.5
    • /
    • pp.587-598
    • /
    • 2014
  •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 action learning based creative problem-solving (CPS) course on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team-member exchang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apply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as employed. Sophomore nursing students (3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3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G-city, Korea.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team-member exchange were measured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Kolmogorov-Smirnov test,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Win 20.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scores for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team-member ex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 action learning based CPS course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he futur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long term effects of the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