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 상담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3초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36-2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가운데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하위 영역 가운데 충동억제, 정서통제 등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향상이 되면, 청소년들의 재범 확률이 크게 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갈등해결 집단상담이 아동의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flict Resolution Group Counseling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 송주연;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123-13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해결 집단상담이 아동의 갈등해결전략과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학생 36명으로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8명 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처치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재구성한 갈등해결 집단상담을 주 2회 50분간 11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원(2005)의 갈등해결전략 척도와 이은해와 고윤주(1999)의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양적자료가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 회기별 집단참여일지와 집단상담 종료 후 평 가문항의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전략과 양보전략을 향상, 지배전략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을 향상과 친구관계의 부정적 측면을 감소 그리고 친구관계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갈등해결 집단상담은 아동의 갈등해결전략의 변화뿐만 아니라 아동의 친구관계의 질 또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BT Career Group Counseling 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Career-Inturrupted Married Women in Thirties)

  • 여숙현;김명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1-577
    • /
    • 2016
  • 최근에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와 사회참여에 대한 문제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고, 주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에게 REBT 이론을 적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 및 실시하여,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초등학교 자녀를 둔 30대 경력단절 기혼여성 45명이었다. 본 연구에 지원한 45명을 상담집단(REBT 집단), 통제집단1(일반부모 교육 집단)과 통제집단2(직업상담사 교육집단) 3집단에 각 15명씩 무선배정하고 사전-사후 비교를 실시했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진로태도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사회효능감, 자기효능감(전체) 등이 사후에 증진되었다. 또한 REBT 진로 집단상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의 현실성, 준비성, 결정성, 진로성숙도(전체)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REBT 진로 집단상담이 경력단절 30대 기혼여성의 진로와 경력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기업상담 대상자의 상담 선택기준에 의한 유형분석: 마케팅 믹스 7P를 근거로 (Types of Workplace Counseling Recipient by Selection Criteria of Counseling Services: Based on Marketing Mix 7p)

  • 김정은;이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07-3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 대상자를 상담 선택요인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 직무소진,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회사 중 기업상담 서비스를 도입한 회사의 상담 경험이 없는 직원 3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사람·제품 중시 집단', '사람·제품·유통 중시 집단', '사람·제품·서비스전달과정 중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로 주니어 계층들은 '사람·제품 중시 집단'에 속해 있고 나머지 두 군집은 시니어 계층들로 구성되었으며, 추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상담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집단은 '사람·제품·서비스전달과정 중시 집단'이었다. 또한 하위유형에 따라 직무소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람·제품 중시 집단'이 가장 직무소진이 큰 것으로 나타나 상담이 시급한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위유형에 따라 중요시 하는 상담서비스 선택요인과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해서 차별화된 홍보 전략을 기획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상담자의 모래놀이교육분석과 언어교육분석의 비교 : 상담자발달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andplay Educational Analysis and Verval Educational Analysis of Counselors with a Focus on Their Development)

  • 구세경;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71-279
    • /
    • 2021
  • 본 연구는 모래놀이 교육분석과 언어 교육분석의 전후에 상담자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래놀이 교육분석 받은 집단, 언어 교육분석을 받은 집단, 교육분석을 받지 않은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10명씩 선정하여 모래놀이 교육분석과 언어 교육분석을 받기 전과 후에 상담자발달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각 척도별 사전검사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놀이 교육분석을 한 집단은 상담자발달전체, 사례이해, 인간적 윤리적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교육분석을 받은 집단과 교육분석을 받지 않은 집단은 상담자발달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모래놀이 교육분석이 상담자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pirituality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Burnout Resto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ffice Workers)

  • 김세봉;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47-459
    • /
    • 2012
  • 본 연구는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32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정과 사후검사 검증,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내 사전-사후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 극복과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직장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lity Therapy Group Program on Leadership Life Skills, Sociality, and Classroom Un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세용;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의 K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34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증과 사후검사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중다선형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리더십 생활기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급 응집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사회성, 학급 응집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PDF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er Counseling Program on Classmate Relationships of Children)

  • 오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700-708
    • /
    • 2016
  • 본 연구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K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안내문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 26명(남 14명, 여12)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동 28명(남15명, 여 1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2014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실험집단에게 또래상담(주 1회, 60분, 총 10회기)을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교우관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여 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고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또래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또래상담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Solution Focused Group Program Effec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476-4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5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의 효과크기가 1.6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교적응능력이 1.35, 대인관계능력이 1.07, 자기효능감이 1.03 의 순으로 나타나서 네 가지 변수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변수는 자아존중감의 경우에 '총회기수'이었고 학교적응능력의 경우에는 '총회기수'와 '1회기당 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실천적 함의와 전략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