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허정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08.08
  • Accepted : 2012.09.26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influence a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goal choice, job information and future plan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ile 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Also the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decision, independency, and involvement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maturity while 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compromise. Such results show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 subjec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should be properly developed and provid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career which fit for their aptitude and ability. Further, courses for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should be provided at universities to help them with career.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인간이해, 제19집, pp.1-20, 1998.
  2. 강덕구,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 이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박은성,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5. 정지숙,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박미옥,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 이지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김순옥, REBT를 적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 그램이 일반계 여자고등학생들의 진로신화 및 진로정체감, 진로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박경분,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김헌수, 장기명, 이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261-278, 2004.
  11. 박완성,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결정수준.진로정체감.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 203-216, 2005.
  12. 고미나, 박재황,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 관계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69-85, 2008.
  13. 조규판, 주희진,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9권, 제2 호, pp.273-291, 2009.
  14. 이윤우, 진석언, "여자대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직업카드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제 16권, 제2호, pp.135-157, 2011.
  15. 이윤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여대생의 집단 진로 탐색활동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19-133, 2010.
  16.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86-495, 2011.
  17.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6.
  18. N. E. Betz and G. Hackett,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pp.326-339, 1981.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19. N. Mazurek and A. Shoemaker,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Implications fo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service provid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89 763), 1997.
  20.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제8권, 제1호, pp.143-160, 1989.
  21. D. E. Super,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 Persons, Positions and Processes," The Counseling Psychology, Vol.1, pp.2-20, 1969.
  22. 김충기, 진로교육의 본질, 평민사, 1983.
  23. 이혜경,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4. 김경모,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남자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강지윤, 김성지, "진로탐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 인간이해, 제24집, pp.1-31, 2003.
  26. N. E, Betz and K. K. Voyte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6, No.2, pp.179-189, 1997.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1004.x
  27.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 정도에 대한 예언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27-136, 2000.
  28. J. O. Crites, "Career Maturity Inventory : Administration & user's manual(2nd ed.)", Monterey, CA : McGraw-Hill, 1978.
  29. 김원중, 진로의식 성숙과 사회,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