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Adolescents on Probation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 허정철 (광주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17
  • Accepted : 2018.10.01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In respect to sub-areas of the effects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reas including impulse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s sub-areas of self-control. Such results experimentally showed that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bability of repeating their crimes will decrease greatly if the subjects have self-esteem and self-control enhanced through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It is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and its practical use are needed to enhance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 가운데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하위 영역 가운데 충동억제, 정서통제 등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향상이 되면, 청소년들의 재범 확률이 크게 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임향미, 김택호, "중학생의 자기조절 능력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63-74, 2014.
  2. 황진규, "보호관찰 청소년 자기조절 프로그램 연구," 보호관찰, 제10권, 제2호, pp.287-324, 2010.
  3. 박미경, 중학생의 또래 애착과 자기통제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박태현,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높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이윤아, 비행청소년의 자아방어기제 유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6. 방영자, 자아존중감과 청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7. B. H. Kaplan, Self-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 new direc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Youth Society, 1982.
  8. 한성심,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9. D. W. Winnicott, 놀이와 현실, 이재훈 옮김, 서울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0. 장미연, 김원중, "Winnicott 이론 기반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공격성, 자기조절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제16권, 제1호, pp.92-129, 2016.
  11. 허정철,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93-30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93
  12. 허정철,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70-8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1.070
  13.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wood Clifs: Prentice-Hall Inc, 1978.
  14.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pp.187-248, 1991.
  15. J. H. Flavell,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 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Vol.34, pp.906-911, 1979.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16. C. B. Kopp, "The antecedents of self- 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8, No.2, pp.199-214, 1982.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17. 김양현, 자기통제법과 외적 통제법이 학업성취의 향상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형성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18. 이한숙,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 김명숙, 자기통제 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성취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S. Coopersmith,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21. M. Rosenberg and L. Leonard, "Social class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and adul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84, pp.5-55, 1978.
  22. 박기숙, 자기성장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3. J. H. Flavell, Cognitive development(2nd ed),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24. 임은실, 부모의 양육태도 및 그 일치도가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5. 현문정,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M. R.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7. 정영심,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8. 신금순,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인터넷중독 학생의 자기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박태현,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높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0. H. G. Grasmick, C. R. Tittle, R. J. Bursik, and B. K. Arneklev, "Testing the Core Empirical Implications of Gottfredson and Hirsch's General Theory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 Vol.30, pp.5-29, 1993. https://doi.org/10.1177/0022427893030001002
  31. 이경님, "아동의 자기통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7권, 제1호, pp.99-120, 2000.
  32. 최보가, 전귀연,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Vol.31, No.2, pp.41-54,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