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정체감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1초

치기공과 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해결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ego resili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ir career identity)

  • 김형미;김창희;권은자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49-5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go resili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career identity. Methods: An online survey targeti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was conducted, and the responses of 206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Duncan post-ho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ego resilience-emotion control ability increased with career identity (β=0.129, p=0.007). The problem-solving and analysis ability, increased with the career identity-cognitive factor (β=0.535, p<0.001). In addition, career identity was observed to be high in male respondents (p=0.003) who were aged >23 years (p=0.002), in their 4th grade (p=0.023), had a grade of ≥4.0 (p=0.018), and hoped to get a job as a dental technician after graduation (p=0.001). Conclusion: Programs to establish the career identity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are recommended to include contents that can improve cognitive abilities such a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mong those with ego resilience.

대학생의 신체상, 진로 정체감,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Career Identity, Family Healt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 이순희;차은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7-134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define the effects of body image, career identity, and family health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descriptiv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1st to the 16th of July, 2018.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222 college students. To draw conclusions from the data, we used statistical analysi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Results: Depress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dy image, career identity and family health.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depression were body image, career identity, and gender. The total explanation of depression by these variables was 29.9%.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should include programs to help them develop positive body image and career identity,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Nursing Image and Self-Esteem on Vocational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서영숙;정추영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77-138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nursing image and self-esteem on vocational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nursing students majoring nursing science in D college, D city and seniors who took the clinical practice course. The date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image and self-esteem(r=.242, p=.001), vocational identity(r=.196, p=.009),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542,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vocational identity were self-esteem(t=7.193, p<.001), aptitude and nursing belief of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t=5.472, p<.001), grade(t=-3.249, p=.001), professions of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t=2.694, p=.008),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t=2.295, p=.023).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models was 38.2%.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mprove the vocational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in college, it is needed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strengthen self-esteem, aptitude and nursing belief, professions,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major. Also it is needed a study on verifying application effects.

임상실습 중 치위생과 학생들이 경험한 언어폭력이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dental hygiene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on thei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 이명주;이효진;천유송;권소진;권선화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30
    • /
    • 2021
  • Background: To confirm verbal violence experien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verify its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argeting 180 dental hygiene students at M Universit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 25.0. Results: Older student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verbal violence more frequently during clinical training, especially those who were dissatisfied with clinical training. The students experienced verbal violence more frequently from dental hygienists than from dentists and patients. Dental hygiene students had high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The students who were majorly satisfied with clinical training had highe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than those who were dissatisfied. Dental hygiene students had lowe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when they experience verbal violence more frequently from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during clinical training and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An interven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prevent verbal violence against dental hygiene students and a strategy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is required.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cial work field training awareness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career)

  • 전성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9-128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전문직업인으로서 성장하는데 있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 198명을 목적표집에 의하여 조사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상 및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분석, T-test, F-test, ANOVA, 상관관계(correlation), 회귀분석(regression)을 위해 SPSS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 실습생이 개인의 의사가 반영(${\beta}=.197$)되는 것과 사회복지학 전공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beta}=.205$)이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요인으로 자신이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beta}=-.291$)을 느끼는 경우와 부모가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으로 개인의사 반영(${\beta}=.156$)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기독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of Christian North Korean Adolescents to Korean Society)

  • 김은희;임창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147-17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 있어 기독교 신앙이 기여하는 바를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를 활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입국하여 1년 이상이 된 17세에서 24세로 교회에 소속되어 있는 9명의 후기청소년이다. 연구문제는 네 가지이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은 탈북동기와 여정을 통해 과거를 어떻게 회고하는가? 둘째, 탈북청소년들은 현재 남한 사회에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극복하면서 정체감을 확립하는가? 셋째, 탈북청소년들은 통일세대 주역으로 미래를 재구성해나갈 수 있는가? 넷째, 탈북청소년들은 기독교신앙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으며 신앙은 한국사회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의 탈북 동기와 과정에서 이들의 불안과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체성 혼란을 가져오며 한국 사회 적응에 방해 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탈북청소년들의 불안정한 정착에는 가족 갈등, 세대 갈등, 죄책감과 딜레마라는 미해결 감정과 학업 경쟁, 진로 고민, 취직의 부담감, 높은 사회적 장벽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태어난 청소년에 비해 탈북청소년들은 통일에 대한 인식이 높아 이들의 남한 사회 유입은 통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탈북청소년들은 가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한국 사회에서 예배의 경험과 신앙과 문화와의 만남은 한국 사회 정착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탈북청소년중 기독교 신앙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남한 사회에서 정체감 형성과 적응과정에 기독교 신앙이 어떻게 기여하였는지 규명하고 북한 선교와 통일을 앞두고 미래세대를 위해 일하는 모든 기독교 사역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진로발달 과정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Gifted Students from Elementary Through High School Years)

  • 이기순;최경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8-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환경에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시기까지 과학영재의 진로발달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고 학생 18명이며, 회고적인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시절 이들은 과학에 대해 막연한 흥미가 발현되었는데, 환경적 요인보다 내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학교 시절에는 이들에게 과학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와 과학을 통해 사회적으로 앞서고자 하는 욕구가 발현되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일반적인 교육과정과 학습방법은 과학을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이들은 과학을 보다 전문적으로 심도 깊게 배울 수 있는 곳이라는 강한 기대로 과학고 진학을 선택하였다. 또한 과학고가 과학에 우수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이 선발되는 곳이라는 사실은 이들의 사회적 발전의 욕구를 더욱 자극하였다. 과학고에서 일반교육과정 이상의 심도 깊은 다양한 교육과정, 형식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학습 환경, 그리고 과학에 열정과 능력을 지닌 동료들은 이들의 진로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중학교 시절에 주로 학교 학습에 충실했던 경우는 학문적 측면에서 자신을 재발견하며 과학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이해에 도달하였다. 또한 중학교 시절 과학경시대회 준비 등을 통해 수학이나 과학을 일반 교육과정이상으로 심도 깊게 접했던 경우는 과학고의 자유롭고 능동적인 학습 환경에 만족스러워 했으며, 특히 경시대회 준비를 지속함으로써 자신의 전문 분야에 계속 깊이 몰입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 겪는 시련의 극복을 통해 심리적 성숙이 이루어지면서 진로에 대한 정체감이 더욱 확고해졌다. 그들은 지금까지의 학습 경험에서 개인적으로 깊은 감동과 가치를 느낀 학문 분야가 있었으며, 대학에서도 이를 전공할 계획을 세웠다.

진로체험 참여 고등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진로 정체감에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Nurse's Image and Career Identity of High-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Job Experience)

  • 문인오;이선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nurse and career ident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to find influential factor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er and to obtain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rsing department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9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executed at the Nursing Department of W University in G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6 to July 19 in 2014.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factors influencing the image of nurse were career identity(${\beta}=0.339$, p=0.002)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153$, p=0.043) in order of significance(F=9.51, p<0.001), and factors influencing career identity were the image of nurse(${\beta}=0.301$, p=0.002),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beta}=0.254$, p=0.010), and gender(${\beta}=0.231$, p=0.015) in order of significance(F=12.06, p<0.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 of a nursing department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mage of nurse and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career identity.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get strateg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experience programs, to provide high school students with vo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nursing through the program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uch programs.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및 전공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nurse's im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on their career identit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 이민희;김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8-25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and career identity, and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methodology, and 205 nursing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it.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March 26 and April 30, 2022.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22.0 program and Sobel test. Results: The mean score of career identity was 2.92±0.57 out of a possible 4. Career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image (r=.32, p<.001), satisfaction with major (r=.47, p<.001),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r=.32, p<.001). Additionally,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Z=2.44, p<.001), satisfaction with major (Z=2.35, p<.001), and career ident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major, and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study's results, career identity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need to include nursing image, satisfaction with major,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Disaster Safety and On-Site Emergency Management' weekend course in the High School-University affiliated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 Yun, Hyeong-Wan;Jung, Ji-Yeon;Jung, Eun-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43-149
    • /
    • 2019
  • 이 연구는 '재난안전과 현장응급처치'란 주제로 대학과 고등학교의 주말 연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대학의 전공연계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방법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전라북도에서 실시한 D일반고와 B대학의 연계 주말 강좌에 참석한 고등학생 9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년으로는 2학년이 52%(51명)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은 남자가 56.1%(55명), 여자가 43.9%(43명)를 차지했다. 주말 강좌 프로그램을 스스로 참여했다가 80.6%(79명)였으며, 분명한 동기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85.7%(84명), 참여이유로는 '응급구조학과에 관심이 많아서' 42.9%(42명)를 차지했다. 프로그램 선택 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은 '청소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도'가 4.6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도자의 전문성' 4.58점, '청소년들의 의견 반영 정도' 4.53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체험 후 '심폐소생술 응급처치 자격증 과정'이 중요도 4.78점, 만족도 4.83점으로 가장 중요하면서 가장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이처럼 다양한 직업체험을 활용한 대학의 진로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의미있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가 사회 시스템 환경이 충분히 갖추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