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양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32초

교육훈련의 경제적 성과 -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dividual Wage Effect of Training)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25권1호
    • /
    • pp.131-160
    • /
    • 2002
  • 교육훈련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한국노동패널을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별로 살펴본 결과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근속의 두 배에 조금 미칠 정도로 크고 유의하게 나타난다. 교육훈련은 직무내용과 고용안정, 성장 가능성의 만족에 크고 유의한 양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선택편의를 통제하기 위해 임금함수의 1계차분으로 추정한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계속근속자와 이직경험자의 샘플로 나누어 추정하면 계속근속자의 교육훈련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으나, 이직 경험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크고 유의하게 나타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비용을 부담한 교육훈련의 효과를 보면 이직 경험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그고 유의하게 나타나나, 계속근속자의 교육훈련 임금효과는 작고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다. 이는 사용자들이 재직근로자가 교육훈련을 이수한 경우 그에 따라 임금을 올려 주지 않은 결과이다. 기업이 비용부담을 하는 경우에 교육훈련으로 인한 생산성 증가만큼 임금 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결국 기업이 교육훈련 비용부담을 개별 근로자들에게 전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PDF

과잉교육의 원인과 경제적 효과 (The Cause and Economic Effects of Overeducation)

  • 오호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1-37
    • /
    • 2005
  • 본 논문은 고학력화에 따른 직장불일치의 중요한 지표로서 과잉교육에 주목하여 과잉교육의 원인,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과잉교육의 해소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잉교육은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과 직업사전상의 필요학력을 기준으로 식별하였으며, 분석결과 과잉교육 규모는 전문대졸의 10.1%-20.7%, 대졸의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질이 과잉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1인당 학교시설면적이 과잉교육을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대학의 질은 임금에 제한적인 영향만을 미쳐 교육투자 확대가 졸업생의 임금상승에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잉교육의 임금효과는 유의하지 않거나 미약하여 기업이 생산요소 대체, 신기술 도입, 직무내용 변화 등의 내부조정을 통해 하향취업한 근로자를 활용할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아울러, 과잉교육이 직장이동 경험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지만 직장이동이 과잉교육 해소의 주된 통로는 아님이 밝혀졌다 이로부터 교육투자 확대가 과잉교육 해소에 제한적인 효과만을 가지며, 과잉교육에 따른 인적자원투자의 낭비가 심각하다는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사업체 급식소 영양사 직무분석 ( 제 2 보 ) : 업무수행시간 및 적정인원산출 (Developing standardized dietetic staffing indices in employee foodservice by job analysis methodology)

  • 이진미;양일선;김현아;차진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79-88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 a) investigate actual time spent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on management activities, and b) develop standardized indices of dietetic staffing needs in employee foodservice. A job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65 dietitian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ractice Group, members with management responsibilities in employee foodservice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32 dietitians for a response rate of 49%. The questionnaire contained two parts with a total of 99 statem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ctual time spent on management activities by dietitians in employee foodservice was 69.80 hours and expected labor time spent was 61.81 hour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2. ILO allowance rate( 11%) was applied: The standardized working hours per week of dietitians working in employee foodservice with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plants, and office building were 79.61 and 64.25 respectively ; Staffing need indices were 1.81 and 1.46 respectively on the base of 44 working hours. 3. The average standardized working hours per week was 68.61 hours and staffing need indices was 1.56

  • PDF

사업체 급식소 영양사 직무분석 ( 제 1 보 ) : 업무수행도 및 중요성 인식도 분석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alysis of dietitian's task in employee feeding facilities)

  • 이진미;양일선;김현아;차진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권1호
    • /
    • pp.66-78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analyze the dietitian's job as a foodservice manager in employee foodservice, b) examine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s of management activities, c) determin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s of management activities. A job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65 dietitians who were members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ractice Group, members with management responsibilities in employee foodservice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32 dietitians for a response rate of 49%. The questionnaire contained two parts with a total of 99 statem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AS programs for descriptive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s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s on management activities were 3.11, 3.99 respectively.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01). 2. The performance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working hours per week(r= .6598, p<.01), number of meals(r=.3934, p<.05) and foodcost(r=.5208, p<.05). 3. The importance level on management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working hours per week(r=.6214, p<.05), number of meals(r= .4161, p<.05) and foodcost (r =.6920, p<.01).

  • PDF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휴대폰 제조회사와 이동통신사의 통합적 사용자 경험 디자인 (Seamless User Experience for Mobile User :Co-Design between Handset Manufacturer and Carrier Service Operator)

  • 반영환;전선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75-178
    • /
    • 2006
  • 1990 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 휴대폰의 역사는 불과 10 년 사이에 전체 인구 중 3600 만명 이상의 가입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강국으로 발전하였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다양한 서비스 전략과 단말 제조사들의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은 단순한 전화기능만을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에서 다양한 VOD, AOD 서비스들의 도입으로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Entertainment Device)로 발전했고, DMB, TV, MP3, 카메라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컨버전스 기능성 기기(Functional Device)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매체와 디바이스가 결합 된 모바일 환경 속에서 이동통신사와 제조사의 관점에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나의 통합된 경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휴대폰을 만드는 제조업체가 수행하는 경험 디자인은 이동통신사에 상관없이, 자사의 경험 통일성(identity)을 강조하게 되고, 이동통신사는 제조업체와 상관없이 자사의 경험 통일성을 강조하게 된다. 통일성 뿐만 아니라 기능이나 직무(task)의 중요성도 다르기 때문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우선순위도 다르게 된다. 이것의 결과는 모두 사용자가 떠 앉게 된다. 즉 사용자의 경험이 복잡해지게 되고 이것은 장기적으로 제조업체 및 이동통신사 모두에게 불이익을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조사와 이통사를 위한 사용자 경험 모형을 세웠고, 각 요소별로 접근 방법의 차이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사용자가 휴대폰 경험에서 혼돈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제조사와 이통사의 인터랙션은 서로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스타일 부문에서는 서로간의 입장차이가 좁히기 쉽지 않으므로 둘 다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방향으로 진행을 한다. 기획단계에서 부터 협력을 함으로써 양사의 갭을 줄일 수 있다.

  • PDF

구조 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한 단체급식업체 점장의 감성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성 검증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Emotional Leadership of Branch Manage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y -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 정현영;김현아;양일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09-120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evidence concer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examine the impa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employee-related variables which we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3 to November 3, 2005 to collect data from kitchen staff(N=611).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12.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MOS(5.0)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itchen staffs gave high point to their leader in the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e 'Optimism: seeing the upside in events' and 'Adaptability: flexibility in handing change' and gave lower point in the Emotional Leadership competence 'Inspirational leadership: guiding and motivating with compelling visi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on 'coworker'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the extents of satisfaction on 'payroll', 'promotion', 'work environment' were relatively low.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 was higher at 'loyalty' factor than 'commitment' factor. the test of hypothe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job attitude and job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effects on their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their job.

서울.경기지역 위탁급식전문업체 영양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과 급식소 운영 특성 분석 (The Impa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mpany-Related Characteristics on the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Engaged in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 최미경;김희연;신서영;양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02-511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job satisfaction levels of dietitians engaged a in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and to examine the impa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230 dietitians of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a total of 187 (8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 11.5) for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score of the dietitians was 2.83, which is lower than "not satisfied" and "not dissatisfied" (3), "Marital status" (p < 0.001), "payroll per year" (p < 0.001), "age" (p < 0.05) and "work experience as a dietitians" (p < 0.05)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work and environmental factors. "Operating group" (p < 0.05), "type of menu" and "type of service" also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Overall, it is important that managers of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ies establish specifi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with understand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ietitians and companie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and to achieve their managerial goals.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 of Happiness in the Employees of SME Manufacturing industry)

  • 이숙;박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61-371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의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이 연구에 동의한 근로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최종 대상은 139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은 연령, 학력, 종교, 월수입, 월수입 만족도, 직급, 근무방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행복감은 자아 존중감과 대인 돌봄 인식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직무 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행복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은 자아존중감이었고, 그 다음은 대인돌봄인식 이었다. 이 들 변수의 설명력은 46.6%이었다.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자아존중감, 대인돌봄인식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소기업 제조업체 근로자의 행복감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위탁급식전문업체 종사자와 직무만족도 분석 (The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of Personnel Engaged in Contract Food service Management Company)

  • 양일선;박문경;차진아;이해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19-527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firstly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JS) levels of personnel engaged i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FMC), secondly to compare the job satisfaction levels by personal and company-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irdly to identify the effects of JS facets on overall job satisfaction. Of 1135 respondents, there were 712 employees in the headquarters and 423 in the branch office. From an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level was 3.22 out of a maximum 5 and the co-worker (3.71) facet of JS was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llowed by supervision (3.32), work itself (3.26), working condition (3.15), promotion (2.95) and payroll (2.74). In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by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personnel who were male (p < .01), had associate degrees (p < .01) or long-term careers in foodservice field (p < .05), or were regular employees (p < .01)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for overall JS. In comparison of the job satisfaction by company-related characteristics, overall JS was significant by company scale (p < .01) and by work place (p < .05), but it was not significant by operating group. Finally, on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JS facets on overall JS, adjusted R2 was 0.534 (p < .001) and all six JS facets, especially payroll, had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JS significantly (p < .001). Considering that the goal of enterprise on profit-making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CS) and the role of personnel on CS at moment of thrust (MOT), the findings confirmed the necessity for continuous internal marketing and human relation management focusing on the lower level of JS facets.

기업 이러닝 강좌의 중도탈락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rop-out in Corporate E-learning)

  • 주영주;심우진;김수미;박수영;김은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22
    • /
    • 2009
  • 최근 들어 이러닝 강좌의 양이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닝의 복병인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S 기업의 2007년 4분기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250명(이수자 157명, 중도탈락자 93명)을 대상으로 이수자와 중도탈락자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이 무엇인지, 또 이들 집단 분류를 어떤 변인들이 얼마만큼 설명하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자 배경변인 중 결혼여부,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 직무병행 어려움, 가사병행 어려움이었으며 학습자 내적변인, 강좌에 대한 기대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