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경분포

검색결과 859건 처리시간 0.027초

Weibull 분포(分布)를 응용(應用)한 임학연구(林學硏究)(II) - Gamma함수(函數)에 의한 parameter의 추정(推定) -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Weibull Distribution to Forestry (II) - Estimation of Parameter by Gamma Function -)

  • 윤종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7
    • /
    • 1983
  • Weibull 분포함수(分布函數)에 의하여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를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 중(中)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실측치(實測値)로 직접(直接) 계산(計算)하는 방법(方法)에 대하여는 제(第) I 보(報)에서 발표(發表)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임의추출(任意抽出)한 표본목(標本木)의 평균직경(平均直徑)과 단면적평균직경(斷面績平均直徑)만을 구한 다음 Gamma함수(函數)를 사용(使用)한 Weibull 분포함수(分布函數)에 의하여 임분(林分)의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추정(推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실제(實際) 임분(林分)의 직경분포(直徑分布)와 매우 적합(適合)하였다. 그러므로 이 방법(方法)을 응용(應用)하면 임분(林分)의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추정(推定)은 물론 장래(將來)의 임분구조(林分構造)의 해석(解析)과 예측(豫測)도 쉽게할 수 있다.

  • PDF

원통형조사창에서의 절리선 길이분포를 이용한 암반 내 절리직경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stimation of Joint Diameter Distribution Using the Trace Length Distribution from Cylindrical Window Survey)

  • 전기환;송재준;조영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1권5호
    • /
    • pp.386-39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암반 내 원통형 공동면에 나타나는 절리선 길이분포를 이용하여 암반 내에 존재하는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암반 내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기 위해서 송재준(2005)에 의해 제시된 Joint Center Volume(JCV)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평면 조사창에 나타나는 절리선에 대한 JCV 값을 산정하는 송재준(2005)의 알고리듬을 확장하여, 원통형 공동면을 조사창으로 하는 경우의 암반 내 절리 직경분포 추정을 위해 전수조사 기법을 적용한 JCV 계산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추정된 절리 직경분포는 Monte-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절리직경 모분포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추정된 절리 직경분포가 모분포와 20% 내외의 오차 범위에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ibull분포(分布)를 응용(應用)한 임학연구(林學硏究) (I) -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추정(推定) -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Weibull Distribution in Forestry (I) - Estimation of Diameter Distribution -)

  • 윤종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6-50
    • /
    • 1983
  • Weibull 분포(分布)에 의(依)하여 임분(林分)의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추정(推定)하여 그 적합성(適合性)을 Kolomogorov-Smirnov법(法)에 의하여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매우 잘 적합(適合)함을 나타내었다.

  • PDF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판형 절리의 직경분포와 체적빈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ameter Distribution and Volumetric Frequency of Joint Discs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 송재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2호
    • /
    • pp.137-144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절리의 직경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전에 Song and Lee가 제안한 방법에서는 현장에서 조사한 양끝내포선(contained trace) 분포로부터 무한 조사창에서 정의되는 절리선(joint trace) 길이 분포를 먼저 구하고 이 후에 직경분포를 구하게 된다. 그러나 새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중간 추정과정없이 현장에서 얻은 양끝내포선 분포로부터 바로 절리의 직경분포를 구할 수 있다. 이전의 방법과 비교할 때 새로 제안된 방법은 표본의 크기가 작을 때 조금 더 높은 추정정밀도를 보이며, 직경분포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절리의 기하학적 파라미터의 하나인 체적빈도(volumetric frequency)도 제공한다. 새로운 추정법의 검증을 위해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였다.

테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Weibull 직경분포(直經分布) 수확예측(收穫豫測) 시스템에 관(關)한 연구(硏究) (Weibull Diameter Distribution Yield Prediction System for Loblolly Pine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76-183
    • /
    • 2001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목재(木材)의 다목적(多目的) 생산량(生産量)(multiple-product yield) 예측(豫測)에 대한 해결책(解決策)으로서 테다소나무(Pinus taeda L.) 조림지(造林地)를 대상으로 하여 Weibull 직경분포(直徑分布) 수확예측(收穫豫測) 시스템을 개발(開發)하였다. 직경분포(直徑分布) 수확예측(收穫豫測) 모형(模型)을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4개의 백분위수(百分位數) 식(式)들을 근거(根據)로 한 모수(母數) 회복(回復)(parameter recovery) 절차법(節次法)을 적용(適用)하였다. 또한 직경급(直徑級)에 대한 수확량(收穫量) 계산(計算)을 위하여 단목(單木) 수고(樹高) 예측식(豫測式)을 개발(開發)하였으며, 그리고 단목(單木) 재적(材積) 예측식(豫測式)을 이용(利用)함으로써 직경급(直徑級)에 대해 기대되는 재적량(材積量)을 계산(計算)할 수가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사용(使用)된 직경급(直徑級)에 대한 Weibull 누적함수(累積函數)의 상한선(上限線) 차이(差異) 방법(方法)이 기존(旣存)의 상한선(上限線)과 하한선(下限線)의 절차법(節次法)보다도 괄약오차(括約誤差)를 줄 일수 있는 보다 나은 절차법(節次法)이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시(提示)된 Weibull 직경분포(直徑分布) 수적예측(收積豫測) 시스템에 대한 타당성(妥當性) 검정(檢定)의 한 방법(方法)으로서 Kolmogorov-Smirnov test 결과(結果), 각(各) plot당 예측(豫測)된 직경분포(直徑分布)와 관측(觀測)된 직경(直徑) 분포급(分布級) 사이에서 통계적(統計的) 유의성(有意性)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직경분포(直徑分布) 수확예측(收穫豫測) 시스템은 다목적(多目的) 목재(木材) 생산량(生産量) 예측(豫測)과 임분(林分) 구조(構造) 모형(模型) 및 임분(林分)의 경영(經營)에 유용(有用)한 정보(情報)를 제공(提供)할 것이다.

  • PDF

Weibull분포(分布)에 의한 직경분포추정(直徑分布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 동해안일대(東海岸一帶) 해송림(海松林)을 중심(中心)으로 - (Estimating Diameter Distribution with the Weibull Distribution -Case of Kore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on the Eastern Sea Coast of Korea-)

  • 윤종화;조현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0-426
    • /
    • 1991
  • 강원도 동해안 일대 유명피서지 (16개소)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합리적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Weibull분포(分布)를 이용하여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도 동해안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經)은 10.3cm이며 각 지역별 평균직경(平均直徑)은 6.9-14.6cm로 나타났다. 2. Weibull 분포(分布)의 모수(母數)는 각 지역별로 추정되었으며, 전지역에 대한 모수는 a=5, b=5.6997, c=1.4079로 추정되었다. 3.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추정치와 실측치를 Kolmogorov-Smirnov법에 의하여 검정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잘 적합하였다.

  • PDF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직경 분포에 미치는 합성 템플레이트 및 공정변수의 영향

  • 곽은혜;윤경병;정구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0-250
    • /
    • 2013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nanotubes, SWNTs)는 나노스케일의 크기와 우수한 물성으로 인하여, 전자, 에너지, 바이오 분야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SWNTs의 직경을 제어하게 되면 튜브의 전도성 제어가 훨씬 수월하게 되어, 차세대 나노전자소자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들이 현재 행해지고 있다. SWNTs의 직경제어 합성을 위해서는 현재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합성 촉매와 합성되는 튜브의 직경과의 크기 연관성이 알려진 후로는, 촉매의 크기를 제어하여 SWNTs의 직경을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촉매 나노입자의 직경이 1~2 nm 이하로 감소될 경우, SWNTs의 직경 분포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가 최근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남아 있으나, 이러한 크기의 금속입자는 나노입자의 융점저하 현상이 발현되는 영역이므로, SWNTs의 합성온도 영역에서 촉매 금속입자는 반액체(Semi-liquid) 상태로 존재할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의 SWNTs 합성환경에서 금속나노촉매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나노사이즈의 기공이 규칙적으로 정렬된 다공성 물질인 제올라이트를 촉매담지체로 이용하였고, 이 때 다양한 합성변수가 SWNTs의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SWNTs의 합성을 위해 실리콘 산화막 기판 위에 제올라이트를 도포한 후, 합성 촉매로서 전자빔증발법을 통하여 수 ${\AA}$에서 수 nm 두께의 철 박막을 증착하였다. 합성은 메탄을 원료가스로 하여 TCVD법으로 실시하였다. 주요변수로는 제올라이트 종류, 증착하는 철 박막의 두께, 합성온도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합성된 SWNTs의 합성수율 및 직경분포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SWNTs의 전체적인 합성수율의 변화는 SEM 관찰결과를 이용하였으며, SWNTs의 직경은 AFM 관찰 및 Raman 스펙트럼의 분석에서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제올라이트 종류에 따라서는 명확한 튜브직경 분포의 변화 없이 비교적 좁은 직경분포를 갖는 SWNTs가 합성되었으며, 합성온도가 $850^{\circ}C$ 이하로 감소되면 합성수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촉매박막의 두께가 1 nm 이상인 경우에서는 직경 5 nm 전후의 나노입자가 형성되었으며, 이때 SWNTs의 합성수율은 높았으나 다양한 직경의 튜브가 합성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촉매입자의 크기가 2 nm 이하에서는 합성수율은 다소 저하되었으나, SWNTs의 직경분포의 폭이 상대적으로 훨씬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극미세 촉매와 저온합성 환경에서의 합성수율 향상을 위한 합성공정의 개량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 PDF

금강소나무 1영급 천연임분과 인공임분의 직경별 뿌리발달 (Root Distribution in Natural Stand and Plantation of One-Age Clas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 나성준;김정환;이도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5호
    • /
    • pp.33-39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지역 1영급 금강소나무를 대상으로 천연임분과 인공임분간의 직경별 뿌리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직경별 뿌리분포는 두 임분 모두 0.5-2.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많았고, 10.0-20.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적었다. 두 임분간 직경별 뿌리발달에서 5.0 mm 이하의 직경급은 인공임분이 천연임분보다 우수하였지만, 5.0 mm 이상의 직경급 발달은 천연임분이 더 우수하였다. 토양층위별 뿌리의 직경별 발달은 천연임분이 인공임분보다 다양한 토양층위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인공임분은 5.0 mm 이하의 직경급이 토심 10 cm, 토양 수평층위 20 cm 범위 내에 편중되어 발달하였다. 따라서 임분 성립방법의 차이는 뿌리발달의 현저한 구조적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인공조림시 올바른 식재방법과 조림지침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림시업이 일본잎갈나무 임분의 생장과 직경분포모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orest Management Activity on Growth and Diameter Distribution Models for Larix kaempferi Carriere Stands in South Korea)

  • 이선주;이영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37-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에 대해 산림시업 수행이 직경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중 시업지 232plots, 비시업지 47plots의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하였다.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누적분포함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에는 백분위(Percentile)에 근거한 직경모형추정, 백분위(Percentile)에 대한 모수복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한 모델을 이용하여 산림시업의 수행여부에 따른 시나리오(임령, 지위지수, 임분밀도) 별임분생장량을 예측한 결과, 시업지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차지하는 평균 흉고직경의 이동이 비시업지 임분에 비해 이동량과 생장량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경목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시업지 임분이 높게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경급에 따른 목재생산량의 장기적인 예측과 동적인 임분구조 해석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꿀샘식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 도출 및 직경분포 변화 (Development of Diameter Distribution Change and Site Index in a Stand of Robinia pseudoacacia, a Major Honey Plant)

  • 김소라;송정은;박천희;민수희;홍성희;윤준혁;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11-318
    • /
    • 2022
  • 본 연구는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의 적지적수 조림을 위해 판정기준인 지위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위지수별 경급별 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적용한 모델은 Chapman-Richards식이었다. 도출된 식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는 기준임령이 30년 일 때 16~22 범위 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위지수 추정 모델의 적합성은 약 37%정도로 낮았으나, 식의 잔차분포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아(bias -0.0030) 활용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까시나무 생장에 따른 지위별 직경분포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Weibull 직경분포함수를 이용하였다. 직경의 분포를 나타내는 인자로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를 설명변수로 하였으며, 이들은 Weibull 직경분포함수의 모수를 추정하고 복구하는 단계를 거쳤다. 최종적으로는 아까시나무 임분의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로서 직경급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분포 추정에 대한 설명력은 약 8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지수별 직경분포를 30년생 기준으로 도식화한 결과, 지위지수가 높을수록 직경분포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적지적수를 고려하여 지위지수가 높은 곳에 조림한다면 아까시나무의 생장이 왕성해져 용재생산 뿐만아니라 꿀 생산도 많아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아까시나무 지위지수분류표와 곡선이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를 조성 및 관리함에 있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