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적

Search Result 6,026, Processing Time 0.083 seconds

A Study of Ecological Flow Assesment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in Natural River (자연형하천의 환경개선을 위한 생태유량산정 연구)

  • Hahm, Chang-Hahk;Kim, Gee-H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1
    • /
    • pp.47-53
    • /
    • 2010
  • The correct river discharge is a important item to keep a river role of using, controlling and ecology. Especially river role of ecology is very important for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river. In assesment of ecological flow, exact information of river life and topograph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the assesment of environmental flow is conducted using geo-spatial data of basin and river. The geo-spatial data is used as a important basic data in river restoration.

A Study on Terrain Digitalization for Earthwork Automation (토공사 자동화를 위한 토공지형 디지털화 방안연구)

  • Kim, Seok;Park, Jae Woo;Kim, Ky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07-408
    • /
    • 2017
  • 최근 IoT, AI, Big-data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이 다양한 산업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건설산업에도 4차 산업혁명기술 도입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토목 및 건축을 포함한 다양한 건설사업 초기단계에 적용되는 토공사의 자동화를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공사 자동화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반지형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건설산업 초기 단계에 활용하기 위한 형태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반지형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현장계측, 계측데이터 정합, 건설정보 입력, 분석단위 생성 등의 기능이 요구된다. 토공지형 디지털화 기술은 향후 토공사 자동화를 위한 건설장비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Survey of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Digital Terrain Model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토지정보관리체계의 수치지형정보에 활용되는 보간법에 대한 비교연구)

  • 이규석;이환용;서혜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8 no.2
    • /
    • pp.17-22
    • /
    • 1990
  • The Digital Terrain Model(DTM) data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needs to be interpolated for various purposes. Three interpolation methods-Bilinear, Bicubic Spline, and Gregory-Newton interpolation-were used,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visual comparison and numerical analysis in the hilly terrain and relatively flat terrain.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errain Volume Us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불규칙삼각망에 의한 지형체적 산정에 관한 연구)

  • Jeong, In-Ju;Kim, Sang-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1 s.24
    • /
    • pp.77-82
    • /
    • 2003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xtends several teamed circles so for and took in application step. Specially, GIS is applying much in civil engineering works field, and is trying to express terrain numerically and look for true value. It is very important that express terrain, can become important parameter to do three-dimensional analysis in later. We are using irregularity triangulation network mainly to express these terrain. In this study, calculated volume of topography by irregularity triangulation by developed formula.

  • PDF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rom Satellite Imagery and DEM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DEM으로부터의 수계지역 추출)

  • Sohn, Hong-Gyoo;Jung, Won-Jo;Yoo, Hwan-Hee;Song, Yeong-S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51-57
    • /
    • 2002
  •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매핑, 환경관리, 시설물 관리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날씨나 태양의 제약을 받지 않는 RADARSAT SAR 영상의 수계지역을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RADARSAT은 경사관측을 통하여 영상을 취득하며 지형의 기복에 의한 음영효과(Shadow effect)로 인하여 수계지역 분류시 정확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SAR 영상의 역산란계수를 계산하고 음영효과에 의한 분류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사용하였다. 지형의 기복이 작은 평지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악지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여 각 지역별로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역산란계수를 신경망기법의 단일 입력 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수치고도모형을 같이 사용한 것이 분류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수치고도모형을 역산란계수와 함께 입력 자료로 이용할 경우 평지보다 산악지에서 효율적이었다. 산악지역이 많은 국내에서는 SAR영상의 수계지역 추출을 신경망 기법으로 할 경우에는 수치고도모형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분류정확도 향상을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Tactical Databases of the Army (군의 전술적 자료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 Yeu, Bock-Mo;Jo, Jeong-Heon;Jo, Hong-Su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 no.1 s.3
    • /
    • pp.107-119
    • /
    • 1994
  • Modern war is called as information war. So an Information Systems which operate hitech-weapon is evaluated important by the ARMY. As terrain analysis techniques we an essential element, computer-based terrain analysis techniques for the army are developed. This paper studies the method of tactical terrain analysis data base construction and presents cross-country mobility after analysis officer analysis overlayed terrain data. Also, Terrain information data base construction method is presented through this analysis, which planned a suitable plan of operations in order to mission accomplishment in normal times.

  • PDF

Wave Propagation Models Due to Topographic Change: Scatterer Method and Transfer Matrix Method (지형변화에 의한 파랑전파모형: 산란체법과 변환행렬법)

  • Seo, Seung-Na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3
    • /
    • pp.163-170
    • /
    • 2010
  • Both scatterer method and transfer matrix method are compared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which are wave propagation models due to topographic change based on plane wave approximation. Results from the scatterer method are closer to the results obtained by the more accurate existing models and it is appraised that the scatterer method gives the clearer explanation about physical process involved in the wave transformation. Since both methods have analytical solutions, in the computational point of view they are very fast and easy to be implemented. Both methods give a good prediction for wave scattering by relatively simple bedform.

Development of Stream Bed-slope Estimation Equation for Preparing Data in a Grid-based Storm 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자료구축을 위한 하상경사 산정공식 개발)

  • Jung, In-Kyun;Joh, Hyung-Kyung;Park, Jong-Yoon;Park, Min-Ji;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0-163
    • /
    • 2010
  •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모의결과는 지형, 토지피복 및 토양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 지형과 관련하여 하도에 위치한 셀의 경사는 첨두 유출량의 도달시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에서 하도의 지형적 특성은 모든 하도 셀마다 입력되어야 하는데 셀이 위치한 지점별로 실제 하천측량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일 수 있으나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산정된 경사 값을 주로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유역의 2006~2008년 수립된 13개 하천의 하천정비기본계획을 참고하여 1,100개 횡단측점에 대한 하상경사를 구축하고 유역의 흐름경로길이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하상경사를 적용할 수 있는 산정공식을 개발하였다. 4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적용하여 DEM으로부터 산정된 경사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첨두유량이 증가하고 첨두유출 발생시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Application of mixed mesh for flexible treatment of Topography (지형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혼합격자 적용 기법)

  • Kim, Byung-Hyun;Son, In-Ho;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8-201
    • /
    • 2010
  • 지형이 불규칙한 자연하천에 대해 2차원 격자를 구성할 경우, 사각형 격자만을 사용한다면 지류와 본류의 합류부분에서 격자의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삼각형 격자만을 사용하여 지형을 처리한다면 격자수가 많아져 계산시간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혼합격자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이러한 어려움은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정확도 기법인 HLLC 기법을 적용하고, 지형이 복잡한 자연하천에 대한 격자처리의 유연성을 위해 삼각형 및 사각형 격자 그리고 이 두 격자가 혼용된 혼합격자의 적용이 가능한 2차원 유한체적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모형을 수리모형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실험자료가 존재하는 실험하도 및 실제 자연하천에서의 댐 붕괴에 대해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포항 대형산불지역 전소피해 시설물들의 피해특성분석

  • Gwon, Chun-Geun;Lee, Si-Yeong;Yeom, Chan-Ho;Park, H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199-200
    • /
    • 2013
  • 본 연구는 2013년 3월 9일부터 3월 10일 동안 79ha의 산림피해와 110동의 시설물 피해를 준 포항산불에 대하여 산림 내 시설물들의 산불피해 특성분석을 위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물은 전소피해를 입은 주택 10개소, 창고 1개소 등 총 11개소에 대하여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시설물주변의 지형적 특성, 임상 및 이격거리, 수관화발생여부, 시설물의 재질 등 총 5개 항목에 대하여 피해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전소지역의 피해 특성은 지형의 경우 골짜기막장형 지형, 주변임상은 침엽수, 임분밀도는 중임분, 산림과의 평균 이격거리는 3.1m, 산불의 종류는 수관화 발생지역 이었으며, 시설물의 재질은 슬레이트, 조립식 판넬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