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자료

Search Result 9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f Data Structure for Efficient Storing of 3D Point Cloud Data (3차원 점군자료의 효율적 저장을 위한 자료구조 연구)

  • Jang, Young-Woon;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113-118
    • /
    • 2010
  • Recently, 3D-reconstruc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study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progressing in various fields through national policy such as R&D business and pilot project. LiDAR system has a advantage of acquisition the 3D information data easily and densely so that is used in many different fields. Considering to characterist of the point data formed with 3D, it need a high specification CPU because it requires a number of processing operation for 2D form expressed by monitor. In contrast, 2D grid structure, like DEM, has a advantage on costs because of simple structure and processing speed.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of requirement of more storage space, when LiDAR data stored in forms of 3D is used for 3D-geographic and 3D-buliding represent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reconstitutes 2D-gird data to supply the representation data of 3D-geographic and presents the storage method which is available for detailed representation applying tree-structure and reduces the storage space.

Estimation of Spatial Soil Distribution Changed by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and the Topography Restoration Method (항공 Lidar 자료와 지형복원기법을 이용한 토석류 토사변화 공간분포 추정)

  • Woo, Choongshik;Youn, Hojoong;Lee, Changwoo;Lee, Kyu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1
    • /
    • pp.20-27
    • /
    • 2012
  • The flowed soil volume is able to be estimated simply from topographic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debris flow. However, it is often difficult to obtain high resolution topographic data before debris flow because debris flow was occurred in mountainous area and airborne Lidar data was mainly surveyed in urban area. For this reason, Woo(2011) developed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that can reconstruct the topography before the debris flow using airborne Lidar data.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topographic restoration method on Inje county, Bongwha county and Jecheon city, produced topography data before debris flow that RMSE is from 0.16 to 0.34 m. Also, a soil variation was analyzed by topography data before and after debris flow, and it was used to estimate a real soil volume flowed to downstream and a spatial distribution showing collapses, flows, sedimentations appeared to debris flow.

Technology of flood monitoring using UAV (UAV를 이용한 홍수모니터링 기술)

  • Choi, Mikyoung;Lee, Geunsang;Kim, Seongwo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5-275
    • /
    • 2019
  •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면서 대규모 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홍수 상황을 신속하게 확보하고 홍수피해를 빠르게 예측하는 모니터링 기술이 필요하다. 최근 공간정보 분야에서 무인항공기 (UAV: Unmanned aerial vehicles)를 이용한 3차원 지형자료 확보 연구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무인항공기는 지형자료 구축 뿐 만 아니라 홍수 시 신속한 홍수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홍수 전 지형자료 구축을 비롯하여, 홍수 시 모니터링, 홍수 후 지형자료 구축에 이르기까지 UAV를 이용한 홍수 모니터링 기술을 소개한다. 연구대상지는 금강 합류 직전 논산천 하류 1 km 지점으로, UAV를 이용한 지형자료를 구축하기 이전에 좌표 매칭을 위한 GCP (Ground Control Point ) 측량을 실시하고, UAV 비행계획을 수립하고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을 GCP좌표와 소프트웨어 (Pix4D)를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DSM(Digital Surface Model)자료를 구축한다. 홍수시 UAV를 이용한 촬영을 통하여 동영상은 수재해 플랫폼에 송신하고, 이미지 영상은 홍수 전 영상처리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형 자료를 구축하여, 홍수시 침수심이나 지형변화를 분석한다.

  • PDF

Improvement of interpretability for color aerial imagery by combining shadow effects correction and Lidar data (Lidar 자료와 그림자 보정을 통한 컬러항공사진 판독력 향상)

  • Sohn, Hong-Gyoo;Yun, Kong-Hy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177-181
    • /
    • 2003
  • 최근 고해상도의 영상과 컬러항공영상의 출현과 더불어 도심지역의 지물 지모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가능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심지역의 지물 지모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지물의 추출이 쉽지 않다. 특히, 건물에 의한 가림, 그림자에 의한 정보 왜곡 등의 발생으로 지형정보 추출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물에 의한 폐색은 다른 위치에서 촬영을 하므로서 보정을 할 수 있지만 그림자에 의한 영향은 촬영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서 촬영한 컬러항공사진에서 그림자에 의한 정보 왜곡을 LIDAR 자료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보다 자동화된 과정으로 처리하므로서 그 판독력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Drought Assessment Scheme using Root Zone Soil Moisture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 개발)

  • Shin, Yongchul;Park, KyungWon;Yoon, Sunkwon;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24
    • /
    • 2015
  • 최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많은 가뭄평가기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산림과 함께 산악지형이 우세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가뭄평가시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농업가뭄은 기후와 지표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특성만을 고려한 가뭄지수는 실제 필요한 농업가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표특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Drought Assessment Scheme)을 개발하였다. 가뭄평가기법을 위하여 역추적기법(Inverse Modeling-IM) 기반의 자료동화기법(Data Assimilation, DA)을 이용하였다. 자료동화기법은 1-Dimensional (1-D) 기반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SWMI_ST 모형과 최적화 알고리즘(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GA)을 연계하여 실측 및 위성기반의 토양수분자료로부터 토양의 수리학적 매개변수(${\alpha}$, n, ${\Theta}_{res}$, ${\Theta}_{sat}$, $K_{sat}$)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30 m X 30 m) 및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500 m X 500 m) 이미지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수분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MODIS 토양수분자료로 부터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의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매개변수, GIS 기반의 지표피복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토양수분을 산정 및 예측 할 수 있다. 고해상도의 이미지 자료를 사용하는 가뭄평가기법은 필지~시 군 단위까지 실제 우리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을 모니터링 및 예측 할 수 있다.

  • PDF

Application of Structur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GIS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구조물 유지관리 시스템 적용)

  • Roh, Tae-Ho;Lee, Jong-Chool;Lee, Young-Do;Park, Kyu-Yeol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145-148
    • /
    • 2003
  • 좁은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현대의 구조물들은 더욱 고층화 및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구조물들에 대한 안정성 및 유지관리의 효율적인 자료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에 관여된 여러 가지 요소들을 보다 종합적이며 효율적인 자료의 관리가 뒷받침이 되어야 보다 정확하고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효율적이며 조직적인 자료관리를 위하여 GIS를 적용하여 구조물의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효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A Basic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ree-Dimensional Electronic Nautical Chart in the Virtual Space (가상공간에서 3차원 전자해도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 김봉석;김창경;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1.05a
    • /
    • pp.71-79
    • /
    • 2001
  • 가상공간(virtual space)에서 3차원 전자해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하였다. 가상현실 언어인 VRML 과 ID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DEM 자료로부터 3차원 지형객체를 제작한 후, VRML 브라우저인 데이터를 호출하여 지속적으로 이동 가능하였다. 실험결과, 3차원 지형객체를 가상공간에 가시화하였다. 또한, 가상공간에서 객체가 임의의 GPS 데이터  호출하여 지속적으로 이동 가능하였다. 실험결과, 3차원 전자해도 구현에 대한 방법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