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의 구성

Search Result 6,62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지역복지협의체, 제대로 가고 있나?

  • Kim, Tae-Hyeon
    • Social Workers
    • /
    • no.3 s.47
    • /
    • pp.10-13
    • /
    • 2006
  • 지난해는 본격적인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서비스 시대의 원년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닐 만큼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 중대 변화를 예고했던 몇 가지 일들이 있었다.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사업의 지방이양과 그에 따른 재정분권,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체계의 구축, 지역복지계획의 수립, 사회복지사무소의 설치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미 2001-2002년에 전국 15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시범사업이 실시되었고, 2003년 6월 사회복지사업법을 개정하여 2005년8월부터 전국234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구성, 운영하도록 하였다.

  • PDF

Th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Filipendula (Rosaceae) (터리풀속(Filipendula)의 분자계통학적연구)

  • Ahn, Bowoo;Kim, Ki-Jo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5-35
    • /
    • 2018
  • 터리풀속(Filipendula)은 장미과(Rosaceae), 장미아과(Rosoid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북반구 온대지역의 산지지역에 서식하며 15-20여 종이 보고되어 있고, 이 중 10여종이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DNA 염기서열 자료를 이용하여 터리풀속(Filipendula)내 종들간의 계통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11종 29개체의 터리풀속(Filipendula)샘플과 외군인 산딸기나무속(Rubus)에 속하는 3종 5개체의 샘플을 이용하였다. 추가로 Genbank에서 3속 10종 18개의 염기서열을 다운받아 비교분석에 이용하였다. 계통연구를 위하여 엽록체에 존재하는 atpF-atpH, psbK-psbI, psbA-trnH, matK, rbcL, 5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6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다. 총 52개의 샘플에 대하여 엽록체유전체 5개 마커지역은 염기서열 길이가 3,485bp였고 핵 ITS지역은 631bp였으며, 이들을 합한 염기서열 길이는 4,116bp였다. 계통분석결과, 터리풀속(Filipendula)은 단계통군을 이루었다. F. occidentalis와 F. vulgaris가 기저분류군을 이루었고 이들은 각각의 아속에 해당한다. 그리고 나머지 종들은 모두 하나의 단계통군을 이루었다. 위의 결과들은 1961년 시미즈가 본 속을 Hypogyna아속, Filipendula아속, Ulmaria아속으로 나눈 분류시스템과 일치한다. 나아가 분자계통수에서 Ulmaria아속은 크게 4개의 subclade로 구분되었다. 먼저 subclade I에는 F. vestita, F. kiraishiensis, F. tsuguwoi, F. multijiuga, F. purpurea 등 5개 종으로 구성되었다. Subclade II는 F. ulmaria 한 종으로만 구성되었다. Subclade III에는 F. glaberrima, F. koreana, F. formosa, F.camtschatica 로 구성되었으며 subclade III에는 한국에 서식하는 3종이 포함되었다. Subclade IV에는 F. rubra, F. angustiloba, F. palmata, F. intermedia 4종으로 구성되었다. 이번연구에서는 Ulmaria아속내에 4개의 subclade가 존재함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PDF

Areal Distribution Ratio of Rock ffes with Geologic Ages in the Gyeonggi-Seoul-Incheon Areas (경기-서울-인천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분포율)

  • Yun, Hyun-Soo;Lee, Jin-Young;Yang, Dong-Yoon;Hong, Sei-S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208-216
    • /
    • 2007
  • Based on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 : 250,000 scale, distributive ratios of rock types were obtained by ArcGIS 9.0 program in the Gyeonggi, Seoul and Incheon areas of the Gyeonggi province. In the Gyeonggi area, 37 rock types are developed, and their geologic ages can be classified into Precambrian, Age-unknown, Triassic, Jurassic, Cretaceous and Quatemary. Among them,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Jurassic Daebo granites, Precambrian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and Quatemary alluvium, all of which comprise about 83.7% of the rock types in the area. In the Seoul and Incheon areas, 10 and 15 rock types are developed, respectively., with the firmer being classified into Precambrian, Jurassic and Quatemary, and the latter into Precambrian, Jurassic, Cretaceous and Quatemary. In the Seoul area,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Daebo granites and alluvium, which consist of 95.5% of the rocks in the area. In the Incheon area, distributive ratio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alluvium, Daebo granites, banded gneiss of Gyeonggi gneiss complex, reclaimed land, and schists of Gyeonggi gneiss complex, which occupy about 96.2% of the rocks in the area. The ratio of alluvium in the Incheon area is greater than that of Gyeonggi and Seoul areas, and the ratio of reclaimed land in the Incheon area is greater that of the Seoul,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recent reclamation of the land for the industrial results such as new town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Gyeonggi Bay.

A Relational Approach to Political Geography of Border Dynamics: Case study of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Dandong, China (접경지역 변화의 관계론적 정치지리학: 북한-중국 접경지역 단둥을 중심으로)

  • Chi, Sang-Hyun;Chung, Su-Yeul;Kim, Minho;Lee, Sung-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3
    • /
    • pp.287-306
    • /
    • 2017
  • Since the 1990s, political geographers have focused on the study of the process of border construction. They have shifted from the old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approaches to boundary that have focused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boundaries. Recent scholarship on border studies understand boundaries and the border regions as entities with overlapping and competing relationships not as manifestation of territoriality. There has been the emphasis on the multidimensional actors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egacies inherent in the border region as well. Based on these recent discussion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order region has been constructed by various actors and strategies in Dandong China, the border cit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Several sanctions including UN Security Council have been resolved and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hich is a relevant example to examine the "border as relationships" in which strategies of various actors are competing. In addition, this paper has a significance as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bord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materiality, which i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discourse-oriented critical geopolitical research.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tegr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2010~2014 : Focused on Multi-Dimensional Model (2010~2014년 시·군·구 통합정책의 분석과 평가: 다차원분석모형을 중심으로)

  • Kim, Cheol Hoi;Jin, Ja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
    • /
    • pp.123-13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integr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2010~2014 has failed in the light of multi-dimensional model including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 Central government pushed integr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 focused on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based on the theory of economy of scale on 16 regions and 36 local governments. Only one region(Cheong-Ju and Cheong-Won), however, completed integration procedure in 2014. Although most regions don't have common value on integration, and cultural, political ties in normative and structural dimension, central government pushed the integration policy. Futhermore central government failed to coordinate various interests of the participants and design incentive system including demands of local residents in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 Based on this study central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se policy implications when it propel the integr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the future.

Stuides on Major Morphological Traits, Yield and Yield Components of Barley II. Variations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atterns, and Grain Yield by Different Locations and Sowing Dates (대맥의 생육 및 수량구성형질연구 제 2보 지역 및 파종기에 따른 대맥의 주요생태와 수량구성 형질의 변이)

  • 류용환;하용웅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1 no.1
    • /
    • pp.97-103
    • /
    • 198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morphological traits, and grain yield and its components on basis of regional variation of barley plant, Olbori was tested at 3 locations Suwon, Daejeon and Jinju for 3 years. It needed seven days around 15$^{\circ}C$ of daily average temperature for seed emergence. 104 to 144 days for Daejeon and 135 to 142 for Jinju after sowing are needed for productive till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sowing dates, and % of productive tillers were ranged on 37-77%, showing higher value at the southern region. Young spike elongated slowly at early stage, and after floret differentiation it appeared rapid development with 1.05-1.95 mm elongating per d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only number of kernels/spi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ocations, but every traits related to grain yields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owing dates. Little differences between locations existed on grain yield but its large variation appeared between sowing dates, especially indicating more variation at northern regions.

  • PDF

Correlation of mineralogical and textural properties with mechanical qualities of granite dimension stone from the Namwon area, Korea (남원지역 화강암 석재의 품질, 암석조직과 구성광물의 비교연구)

  • 홍세선;윤현수;이병태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4 no.1
    • /
    • pp.105-12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trographical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granitic rocks, widely used as building and ornamental stones in Korea, at the Namwon are a. This area is one of the most famous area as a domestic dimension stone production. The granitic rocks were examined for grain sizes, modal compositions and then same samples were tested to determine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porosity,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abrasive hardness, P-wave velocity, modulus of elasticity and Poisson's ratio. It is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the grain size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mode of mineralogical compositions. And quartz content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granitic rocks.

Flow pattern simulation at Intake tower of reservoir (저수지 취수탑지점의 수체거동 모의)

  • Lee, Yo-Sang;Kim, Yu-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24-928
    • /
    • 2009
  • 국내의 다목적댐 저수지는 물이 흐르는 하천에 용수공급, 홍수조절 및 수력발전을 위해 만든 구조물로 형성된 저류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체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유입수와 저수지에서 하천으로 방류되는 방류수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입수와 방류수에 의한 수체의 유동만을 고려하였다. 대상지는 용담댐 유역중 취수탑이 있는 지점으로 길이는 약 1,250m이고 폭은 평균 375m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는 지형이다. 대상 지역에서 저수지 수체의 흐름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MS-RMA2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용담댐 저수지 구역에 대한 1m 간격의 등고선을 가지고 대상지역에 대하여 격자를 구성하였다. 격자 크기는 평균 길이 방향으로 43m, 폭 방향으로 15m 크기로 구성하였으며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취수탑 부근은 좀더 세밀하게 구성하였다. 4년간 수문자료를 분석하여 이 지역의 흐름을 년중 크게 3가지로 구분하였다. 수체거동이 급변하는 여름 강우기 후에 저수지에 물이 풍부한 경우의 흐름, 봄철 저수지 물이 풍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자천으로 부터의 유입은 최하인 상태의 경우 그리고 강우기에 짧은 기간 나타나는 주자천 위주 흐름의 경우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각각의 경우 전체적인 흐름장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런 결과로 볼 때 수체의 흐름은 상하류의 유입량 변화에 따라 항상 흐름은 변화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저수지 수체의 흐름 속도는 모두 0.05$^{\sim}$1.5cm/sec 정도로 모의된 것은 수체적 대비 방류량이 적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f Factors for Public Library Space Needs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wak Chul-W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3
    • /
    • pp.149-1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for library space programs through user needs assessments in order to apply a library construction. Research method used was a questionnaire and subjects were residents and library users lived in Yongin where a new library was constructing. The results show that library use behavior, age, and user companions are identified as factors to influence to both functional space ratio and functional space arrangement. Heading in libraries is major activity and many subjects went to library with family so that family space is needed. Space for variable ages, also, is needed because of different needs based upon ages.

  • PDF

청양 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초기의 조계리층에서 철화된 목재화석의 발견

  • Song, In-Hyeon;Kim, Jong-H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03-103
    • /
    • 2010
  • 충남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지역에 분포하는 조계리층에서 역과 혼재된 상태로 보존된 목재화석을 정리하던 중에 규화목과 함께 철광물로 충전된 목재화석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철화된 상태로 보존된 재목화석의 구성광물과 화학성분 및 성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연구 지역은 선캄브리아기에 속하는 변성암을 기반암으로 하여 이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퇴적암층이 분포한다. 퇴적암은 하부로부터 조계리층과 백운사층으로 구분되며, 조계리층 상부의 역암대에서 재목화석이 산출된다. 규화목의 형태로 보존된 화석은 이미 백승덕(2003), Kim et al. (2005)의 분류학적 연구에 의해 Xenoxylon phyllocladoides, Agathoxylon sp.로 밝혀진 바가 있다. 재목화석의 구성광물을 알아보기 위해 보존상태가 좋은 5개의 표본을 골라서 XRF, XRD,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XRF 분석 결과, 재목화석의 화학성분은 $Fe_2O_3$ (평균 83.18 wt.%)가 가장 높았고, $SiO_2$(평균 7.82 wt.%)로 가장 낮았다. XRD 분석 결과, 목재화석은 침철석(Goethite)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재목화석의 단면을 잘라 연마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조직이 보존되어 있기는 하지만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분류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더 많은 시료를 채집하여 현미경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침철석은 기반암, 염기성암체, 황화광물, 함철대의 풍화로부터 생성된 철염의 산화와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다. 목재가 퇴적암 속에 묻혀 화석화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 같은 지역에서 규화작용과 철화작용이 동시에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