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v.1
no.2
s.2
/
pp.99-113
/
1999
The role of a GIS as a tool for a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can best be fulfilled once GIS standards are implemented. In this paper, we have identified what the contents of GIS standards in other countries are, and what should be the future direction for implementing a nation's GIS standards. Based on a detailed review on GIS standards in the USA, Australia, Japan and the United Kingdom, we derived the following: (1) A nations's GIS standards should include both geographic information content standard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tandards: (2) A nation's GIS standards should be a profile of ISO GIS standards: (3) Each GIS standards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sis of the Entity-Relationship Model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and (4) Experts in GIS should pay much more attention on studies on GIS service standardization. As for building the national GIS Standards for Korea, we recommend both GIS Content Standards and GIS Service Standards be simultaneously developed. GIS Content Standards include geographic feature content standard, feature classification standard, portrayal standard, rules for application standards, spatial reference model and terminology. GIS Service Standards include standards for data sharing such as metadata standard and transfer standard, quality standard, quality principle and portrayal standards.
국가GIS가 주요 정보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축되는 공간정보에 대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GIS 표준화 내용에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외국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미국, 호주, 일본, 영국 4개국의 국가GIS 표준화와 ISO/TC211, OGC의 표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가GIS 표준화는 지리정보 표준과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의 두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둘째, ISO/TC211 프로파일을 통해 국가GIS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째, 지리정보 어의(語義) 정의를 개체-관계의 데이터 내용으로 표현해야 하며 넷째,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v.2
no.1
s.3
/
pp.43-55
/
2000
Because the complexity in the development pha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s hard to change its operation or user interface after the development. So we should develop most part of the applied GIS even though previous GIS is almost exist. In other words, reusing the previous system is not easy. Therefore, its required to research reusable GIS for easy construction of applied GIS. This thesis describ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GIS framework which makes applied web GIS development more easy. Framework is software library composed of reusable units such like classes and objects. Proposed web GIS framework Provides basic web GIS functionalities and execution design to web GIS developers. They could extend the framework to build applied web GIS with applied operation and user interface. The development of applied web GIS could be archived by various tools used for general web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1.10a
/
pp.307-309
/
2001
OGC는 GIS와 관련된 연구기관과 산업체가 GIS 수요자에게 양질의 지리정보 서비스를 하고, GIS 기술발전을 위해 SFS 명세를 제안하였다. 이 명세는 각각의 연구기관에서 독자적인 데이터 사용하되, 다른 시스템에서도 그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하는 등의 많은 장점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2차원 지리정보와 더불어 3차원 지리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차원 GIS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기관이나 기업이 증가하고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정 GIS 시스템이 가지는 독특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다른 환경의 GIS 시스템에서도 운용될 수 있도록 OGC 명세를 수용하고,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를 분석, 관리 할 수 있도록 OGC의 OLE/COM SFS를 확장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3.10b
/
pp.7-9
/
2003
지리 정보 시스템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다른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유용한 공간 데이터에 대한 공유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기존의 지리 정보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공간 데이터 모델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공유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표준 공간 데이터 모델과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OpenGIS 표준 명세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세우스 객체관계형 DBMS를 기반으로 한 OpenGIS 시스템인 오디세우스/OpenGIS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오디세우스/OpenGI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OpenGIS 표준 명세 중 SQL 표준 명세를 지원하여 SQL 환경의 지리 정보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들이 오디세우스 객체 관계형 DB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OpenGIS 표준 명세 중 OLE/COM 표준 명세를 지원하여 OLE/CON 환경의 지리 정보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들이 오디세우스 객체 관계형 DB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OpenGIS 표준 명세에서 정의한 지리 정보 시스템의 기능과 DBMS를 밀결합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인다.
앞으로 다가오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보처리 및 운영능력이 대단히 중요하다. 지리정보는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국가 간접자본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국가 GIS에서 가장 풍요한 요소는 지리정보의 호환, 공유, 유통 등을 포함한 지리정보의 활용이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GIS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리정보의 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관인 ISO/TC211에서 수행중인 표준화 내용을 분석한다. 특히, 지리정보의 활용과 GIS들간의 상호 연동성을 위한 지리정보/지리공간 서비스를 중점으로 하여 IS0/TC211에서 표준안으로 제시하는 서비스 항목, 인터페이스 등 지리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5
no.2
/
pp.69-80
/
2002
GIS is essential to region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informatization age. But utilization of GIS in Korea remains still elementary area of automated mapping or facility management. In this paper, we suggest executable principles that are able to enhanc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regional development affairs using GIS DB. In order to accomplish the role of planning support tool, GIS DB have to be plentiful geographic contents. Metadata DB, user-friendly application interface and compatibility of data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must be constructed in GIS DB. And geographic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2004.10b
/
pp.70-72
/
2004
최근 웹이 확산됨에 따라 일반인들의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였고, 이와 관련된 정보 기술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GIS 분야에서도 지리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는 웹 GIS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기존 OpenGIS(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의 상호운용성을 웹 상에서 지원하고, 또한 상호 이질적인 지리정보의 접근을 위해 웹 맵 서비스 구현 명세(Web Map Service Interface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를 제안하였다. 웹 맵 서비스 구현 명세는 웹 상에서 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URL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있으며, URL 형식의 클라이언트 질의를 수행한 결과로 이미지, GML, SVG 등의 지리정보를 반환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분산된 지리정보를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왱 럼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들은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고도 본 논문에서 개발한 쇰 맵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GIS 서버들의 종류와 위치에 관계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9
no.4
/
pp.22-33
/
2006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geographic information policies and strategies of British government and suggest effective policies for Korea National GIS project GIS that has been implemented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s into public sectors and private markets for the last ten years. To obtain the research aim, this paper reviews the main factors of the Britain GIS project such as distribution structure and process of GI markets, government policies and strategies that are led by Ordnance Survey, most leading mapping agency in the UK. In conclusion, some issues have been explored with reference to the experiences of the Britain GIS projects. The first of these is the nature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ncerns the notion of the circulation policies of spatial data, and the last proposes Korea GIS policies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geographic information and spatial data im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of the Britain GIS development indicate that a shift began to take place from central government coordinate toward more extensive utilization of private and commercial sectors. This reflects bo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geospatial data circulation in all levels of GIS stakeholders. Finally these discussions are particularly to be the issues where multi-agency collaboration of Korea government is concerned and can take the form of joint ventures by consortiums of both involving data producers and data users in order to increase commercial participation for value-added geospatial items, and to encourage both research and development sectors with low or free price poli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v.4
no.2
/
pp.79-94
/
1998
This study begins with emphasis on the approach to public policy development and the extent to which a GIS framework can be used to evaluate projects objectively. This paper relates to public policy making and the use of GIS as a strategic management tool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GIS technologies which has been the focus of attention since the advent of the first generation GIS systems in the 1960s. In order to consolidate a view towards public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advantages of using GIS to generate results which could be evaluated by cost and benefit analysis giving options of the alternative methods to estimate the feasibility of projects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in a real public policy scenario. This study also reports that the tangible benefits associated with the GIS projects are better information processing, the easy analysis of data and the cost savings of map updates and printing, whilst the intangible benefits include quality decision making, and precise management of data through computing networks. In GIS context, the task of analysing and evaluating GIS projects is assumed in order to facilitate scientific and quantitative cost-benefit analysis. Previous methods of the cost-benefit analysis has not fully supported the evaluation of the intangible benefits and it has not been possible to make public policy realistic or scientifically understandable limiting decision makers in public domain. With the GIS decision makers are able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rojects with this powerful decision supporting tool in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basis of its potentials and limitations to cost-benefit analysi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more flexible 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ologies are needed to extend into the intangible benefits. In order to balance the evaluation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on the cost-benefit analysis new or additional utilities will be required for the next GIS generation appraisal too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