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한 사회적지지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9초

수출입 업자간의 거래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특성에 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 이형탁;이동진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61-182
    • /
    • 2005
  • 본 연구는 수출입 업자간의 거래지속기간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그간 관계 마케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던 대부분의 연구들은 관계 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들을 규명하는데 집중되어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수출업자와의 관계에 대한 수입 업자의 몰입을 그 동기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몰입이 거래지속기간이라는 구체적인 마케팅 성과에 실제로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모형은 수출업자에 대한 수입업자의 정서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이 수출입업자간의 관계지속기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정서적 몰입은 사회적 만족에 의해 영향 받을 것이라고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만족은 다시 문화적 친밀감, 인지된 유사성, 그리고 신용에 의해서 영향 받을 것이라고 설정 하였다. 그리고 계산적 몰입은 경제적인 만족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정하였으며, 경제적인 만족은 다시 기회주의적인 행동과 관계적 성과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가설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유사성은 가설과는 다르게 사회적 만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그리고 정서적 몰입은 실제로 관계지속기간에 영향을 끼치는데 반해 계산적 몰입은 관계지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국제 거래 관계에서 수출 기업의 실무자들이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해 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 영향요인 (The Elderly Welfare Housing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Elderly Wome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심의경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63-579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여성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의 요소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와 영향을 갖는 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총 420명의 60세 이상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대면면접법과 자기기입식의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380명만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태도가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여성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높아질수록 노인복지주택 입주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행동의도가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해낸 Ajzen(1985)의 계획된 행동이론 연구결과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주택은 앞으로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도록 노인복지주택의 가치가 재조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 김희순;오가실;신영희;김태임;유하나;심미경;정경화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290-30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8 primiparas of infants aged 1-6 months who visited well baby clinics in 5 hospita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5 to June 15, 2003. Results: The mean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2.4 of a possible 5 and thus considered average. The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an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he primiparas and prenatal management. For the primiparas, social support($20\%$) and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and increase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primiparas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 PDF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운동 행위 예측 요인 (Prediction Model of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옥;김인자;김종임;강현숙;배상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1-691
    • /
    • 2001
  • Purpose: The exercise statu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personal factors, and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specific cognitions and their effects were assessed. Method: Four hundred thirty nine out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ere studied. The exercise status was measured by a single item. The intensity was multiplied by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exercise. The product of these intensity values for all exercises was defined as exercise behavior. Based on the Pender's revised health promotion model, exercise benefit, barrier, self-efficacy, enjoyment and social support were chosen as exercise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Path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Results: Compared to the duration before being diagnosed, the number of subjects who exercised regularly increased after being diagnosed. However over half of the subjects refrain from any sort of exercise and the type of exercise is very limited. Among the variables, exercise barri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and only previous exercise exper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all behavior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should explore exercise behaviors and strategies to emphasize the cognitive-motivational messages to promote exercise behaviors.

  • PDF

사회적 행위 지각에 있어 해석 효과: 관점에 따른 운동공명효과의 조절 (Effect of Contruals on Social Action Perception: Modulation of Motor Resonance Effect by Perspectives)

  • 이동훈;신천우;신현정
    • 인지과학
    • /
    • 제23권1호
    • /
    • pp.109-132
    • /
    • 2012
  • 최근 체화된 인지 접근에 따르면 행위의 이해는 추상적인 기호 처리가 아니라 그 행위와 관련된 감각-운동 정보의 심적 모사(mental simulation)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되고 있다. 이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로서 제시된 운동공명효과(motor resonance effect)는 관찰되는 행위와 현재 수행하는 행위 사이의 유사성에 의해 행위자의 운동 반응에 일어나는 간섭 혹은 촉진 효과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운동공명효과가 복잡한 사회적 행위를 지각하는 상황에서도 일어나는지 그리고 사회적 행위의 해석 관점에 따라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떤 행위자가 세 가지 신체 부위(팔, 발, 입)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다투는 행위 장면을 그림으로 묘사하고, 각 그림을 행위자의 관점에서 기술하거나(예, 간호사가 의사를 때렸다/밟았다/물었다), 피행위자의 관점에서 기술하여(예, 의사가 간호사에게 맞았다/밟혔다/물렸다), 행위 사건 지각의 관점을 조절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제시된 그림과 문장이 일치하면 페달을 밟거나 혹은 버튼을 누르는 행동 반응을 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발 행위의 운동공명효과를 측정하였고, 실험 2에서는 마이크와 버튼을 이용하여 입 행위에 대한 운동공명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페달을 밟는 발 행동 반응이 발 행위 장면을 행위자의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해석한 경우 다른 행위 지각 조건에 비해 빨라졌으며, 피행위자 관점에서 수동적으로 해석한 경우에는 오히려 느려졌다. 이와 유사하게, 실험 2에서는 마이크에 '합'이라는 소리를 내는 입 행동 반응이 입 행위 장면을 행위자가 상대방을 무는 행위로 능동적으로 해석한 경우 빨라졌으며, 같은 장면이라도 피행위자 관점에서 기술하였을 때는 오히려 느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상생활에서 사회적 행위를 지각하는 과정에서도 운동공명효과는 일어날 수 있다는 것과, 그러나 그 효과 또한 행위 사건을 해석하는 관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분석 (Hospitalization Stress in Child : Concept Analysis)

  • 이영옥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7-335
    • /
    • 2020
  • 본 연구은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개념분석 연구로 개념의 속성을 확인하고 명확한 개념을 내리고자 시도 되었고, Walker & Avant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은 생리적 변화, 개인-환경 상호작용, 인지적,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적 반응, 대처방식으로 인한 내재적, 외현적 변화로 도출되었다.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선행요인은 질병의 심각성, 생물학적 요인, 지지체계였으며, 결과는 입원생활적응, 질병 및 건강회복, 아동발달 증진, 대처기술의 획득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 선행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질병의 인지지각이 되어야 하고 부모-가족의 지지체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후 아동의 입원 스트레스에 대한 더 많은 질적 연구와 아동의 입원스트레스 속성이 잘 반영된 도구개발 연구, 입원스트레스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유전자 치료를 받는 암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 장미경;김경희;정연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8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0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at two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4, 1996 to November 11, 1996.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family support scale made by Hyun Sook Kang, by the medical support of life scale developed by Ok Soo Kim. The quality of life scale developed by Bang-Whal-Ran was used, among the questionnaire, physical factors was developed by U.S.A National Conference on Cancer Nursing.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SAS statistical program. Percentil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 -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subjects was 83.66, the item score was 3.8.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subjects was 44.96, the item mean score was 4.5. 2)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of the subjects was 38.70, the item mean score was 3.2. 2.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was 120.38, the item mean score was 3.17. For each factor in quality of life scale, the mean score was follows: for attitude toward life, 3.95, for familial relationship and financial status, 3.53, for social activity 3.24, for emotional status, 3.08, for healthy perceptive, 2.90, for physical symptom, 2.80. 3.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4853, p=.0004).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1)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r=. 3566, p=.0110).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2)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4477, p=.0011).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of the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sex(F=2.1437, p= .0371), others coping non-family (F=2.4863, p=.0164) and duration of treatment (F=4.16, p=.0218).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a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F=2.6932, p=.0097), degree of education(F=2.3610, p=.0223), others coping non-family(F=2.0502, p=.0458).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gene therapy.

  • PDF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aptive College to Work Transition through Enhancing Coping Resources)

  • 김지근;이진구;이기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283-3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개입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chlossberg(1995)의 이행 모형을 기반으로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대처자원인 4S(상황지각, 자기지각, 지지자원, 전략)에 개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교 4학년 이상의 취업준비생 1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이행대처자원,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취업소진, 진로적응성의 수준을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종결 1개월 후 시점에 수집하여, 취업준비행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비교집단 10명, 무처치 통제 집단 11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자원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이행대처자원과 대학-직장 이행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의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종결 1개월 후 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반면, 취업소진과 진로적응성에서는 실험, 비교, 통제집단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학-직장 이행을 위한 대처 자원 향상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연구가 지니는 제한점과 더불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취업여부에 따른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윤선영;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249-27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Specifically, we compared these relations for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The second through fourth wave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alyses. First, parenting stress of non-working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working mothers and working mothers perceived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compared to nonworking mothers. Second, both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stable over tim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ciprocal effects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Differences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ere found in the paths from parenting stress to social support. The implications of the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difference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in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onstructs have been discussed.

심방세동 대상자의 우울, 주관적 건강지각 관련요인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강윤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6-94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115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3 tertiary medical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Study subjects perceived the low frequency of symptoms, relatively high social support, low depression, moderately low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2) The 38% of variance i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ymptom(${\beta}$ = .49), social support(${\beta}$ = -.21), and education(${\beta}$ = -.17). 3) The 40% of variance in physical health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ymptom(${\beta}$ = -.55), social support(${\beta}$ = .16), and education(${\beta}$ = .20). 4) the 12% of variance in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ymptom(${\beta}$ = -.26), and social support(${\beta}$ = .24). Conclusion: Most health care providers assume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have very few symptoms. However, symptom related to atrial fibrilla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dditionally, higher social support had great influences on the lower depression and higher perceived health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nursing practice and further nursing research for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