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교사임용시험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16초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기출문항 분석 (Analysis of the Previous Appointment Examinations for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s)

  • 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9-3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 동안 시행된 정보 컴퓨터 표시과목 임용시험의 기출문항을 13개 기본이수과목으로 분류하고, 과목별 점수 및 문항수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기본이수과목 중에서 출제비율이 높은 6개 과목에 대해 평가영역별 점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들이 차지하는 점수 비중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교과내용학 분야에서 과목별 점수 비율은 0~17.1%, 문항수 비율은 0~15.8%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3개 과목은 연도별 점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분석 대상 과목들의 평가영역별 점수 비율은 0~52%로 분포되어 영역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 동안의 임용시험에서 C언어를 사용한 문항의 점수 비율은 평균 3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학교과 내용학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변지수;최병옥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9-140
    • /
    • 2012
  • 본 연구는 교육과정 평가원이 제시한 수학과 교과 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수학과 교과 내용학의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4년간 출제된 수학과 교과내용학의 105 문항을 수집하여, 9개 과목 간,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출제된 비율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의 운영이나 평가영역의 재조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과 내용학의 9과목 간 출제비중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과목별 평가 영역 간에도 출제 비중에 있어서 큰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내용 요소의 분석에 있어서도 262개 중에서 153개가 4년동안 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수학과 내용학의 출제 과목간의 비중이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의 재 조정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 분석 (Analysis of Programming Questions of the Informatics·Computer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10호
    • /
    • pp.291-29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정보·컴퓨터 표시과목의 임용시험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이 프로그래밍 능력을 겸비한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연구하였다. 최근 5년 동안의 문항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래밍 문항의 평균 배점이 교과내용학 총점의 38%(20.8점)로 높게 나타났다. 기출문항에서 프로그래밍 문항의 배점 비중이 높은 과목은 프로그래밍과 자료구조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평가영역별 배점분포를 분석한 결과 각각 0%~47%, 0%~53%로 영역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문항이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사 선발에 적합한지 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임용시험의 프로그래밍 문항에서 평가할 내용에 대한 응답으로 컴퓨팅 사고력이 5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문항의 적합도에 대한 응답에서 문제해결력이 5점 척도 기준에서 2.84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를 위해 적합한 언어로 C언어와 파이썬의 응답이 각각 55%, 45%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교사들은 기존의 C언어 외에 파이썬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문항 출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중등교사임용시험 공업계열 교과교육학 문항분석 (An Analysis of Industrial Education Discipline Items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 고희령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9-23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용시험에서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출제 경향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2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공업계열(건설, 기계 금속, 전기 전자 통신, 화공 섬유) 임용시험 전공영역평가 중 교과교육학 문항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교과교육학 출제 문항수와 배점 비율을 살펴 본 결과, 2002-2004학년도, 2005-2008학년도, 2009-2011학년도를 분기로 공업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최근 2010학년과 2011학년에는 출제 문항수와 배점이 모든 공업교과에서 통일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2011학년도까지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별 문항의 배점 비율을 분기별로 분석한 결과, 분기별로 교과교육학 관련 문항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공업교과교육학 하위영역의 문항들이 출제되었고, 최근에는 하위 영역들 중 2개 이상의 영역이 포함된 '복합' 영역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졌다. 셋째, 교수내용지식의 관점에서 2009-2011학년도까지 과학교과군(공통과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교육학 문항과 공업교과교육학 문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수내용지식의 반영 비율이 공업교과군의 경우에 해마다 증가하고는 있으나, 과학교과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교과교육학 지식 관점에서 본 중등 가정과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6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which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school year 2002 to 2010,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PCK). Two frameworks were used: (1) H-PCK matrix transformed from the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CK) and the Pedagogical Knowledge; (2) Five components of H-PC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st items were classified into H-CK items and H-PCK items from the H-PCK matrix analysis. (2) While the number of items on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was the highest, no item on knowledge of understanding students was identified. Since the test can be considered as Measurement-Driven Instruction, it will have backward influence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ies. Thus, if promising and capable new Home Economics teachers are to be recruited, the test items should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H-PCK.

중등 가정교과 임용시험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 (A Trend analysi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Home Economics subject - From 2009 to 2016 -)

  • 백민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 8년간 출제된 중등 가정교사 임용시험의 문항을 '임용 상세화 기준'을 기본 잣대로 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8년간 출제된 문항을 분석한 결과 평가 영역 12개 중 12개, 평가내용 요소 43개 중 42개가 출제되어 평가 영역 및 평가내용 요소와 출제된 문항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8년간 출제된 각 영역은 가정과교육학 93회(32.7%), 가족생활 41회(14.4%), 소비생활 31회(11.3%), 식생활 43회(15.2%), 의생활 41회(14.4%), 주생활 34회(12.0%)로 교과내용학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셋째, 8년간 출제 빈도가 높은 영역별 평가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가정과교육학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실제', 가족생활은 '인간 발달 과정', 소비생활은 '가계경제의 이해와 재무관리'와 '소비자 의사결정', 식생활은 '조리원리 및 실습'과 '식생활 관리', 의생활은 '의복 및 생활용품 제작', 주생활은 '주거생활 문화의 이해' 등으로 출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 및 내용에 설정된 모든 영역들이 균등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관점으로 질적인 문항 분석이 필요하겠다.

중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인 전기·전자·통신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개발·보완 연구 (Development and Complementation of Evaluation Area and Content Elements i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Subject)

  • 송영직;강윤국;조한욱;김성득;임승각;이혁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2-71
    • /
    • 2019
  • 학교 교육의 질은 국가 교육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학교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교육을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자질이다. 그러므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서 유능한 교원을 임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및 산업수요 맞춤형고등학교는 NCS 기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기존의 전기 전자 통신 3과목이 각각 분리됨에 따라 임용시험의 출제 기준이 변화하여 새로운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기, 전자, 통신의 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교육과정과 NCS 기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분석 및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전기 전자 통신의 교사 자격 기준 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 평가연구(김성열, 2018)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내용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검증한 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기"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전기전자실습"의 기본이수과목에 NCS 학습 모듈을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로 제시하여 NCS 기반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전자"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전자회로"의 기본이수과목에서 NCS 기초과목인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전자파응용"과목에서 "전자기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통신"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기존의 "전기 전자" 기반에서 시작된 통신 관련 실습을 "통신"과목의 특성에 맞게 구성 하였으며 "전기전자실습"에서 NCS 실무과목인 네트워크 구축 실습과 통신 관련 실습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에 제시하여 통신관련 실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several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 양혜지;김자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3-34
    • /
    • 2017
  • 정보기술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윤리는 교과로서 '정보'가 처음 교육과정을 구성한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윤리와 다르게 정보윤리 교육을 해야 하는 정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내용 지식의 정도를 분석하고,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달성을 위해 2002학년도 부터 2016학년도까지 정보 컴퓨터교사 임용시험의 정보윤리 내용을 분석하고, 32개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2004학년도 임용시험부터 10회의 시험에서 정보윤리 관련 문항이 출제되었다. 둘째, 임용시험 초기에는 역기능에 관한 문항들이 주로 출제되었으나, 2010학년도 이후로 저작권, 정보보안, 다양한 중독 관련 문항이 많았다. 셋째, 정보교사 양성기능이 있는 32개의 교육대학원 중 11개(33%)에만 정보윤리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정보윤리 관련 문항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고, 정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정보윤리교육에 대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 비교 분석 (Does the Quantitative Supply of Secondary Teachers Compromise their Quality?: 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 and China)

  • 김이경;안지윤;위화구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57-177
    • /
    • 2014
  • 중등학교 교사의 신규채용제도는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는 시작점일 뿐만 아니라, 교원양성 방향과 프로그램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양적 수급조절에 치우쳐 적격자 선발이라는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하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유사한 상황에 직면해 있는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를 비교 관점에서 분석한 후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변천과정 및 변화동인, 자격요건, 선발방식을 준거로 삼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의 변화에는 사회 경제적 요인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선발의 적합성보다는 교원의 양적 수급 불균형 해소가 주된 변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양 국가 모두 신규채용의 전제 조건으로 교사자격증을 요구하고 있으나, 교사 자격을 검증하는 기제가 취약하다는 점은 공통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교직 적성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선발한다는 목적 하에 양 국가는 각기 다른 접근을 채택하여 선발방식을 부단히 변화시켜 왔으나 교원수급의 조절 실패 및 과잉공급된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한 객관성과 공정성의 강조로 인하여 교사로서의 적합성 검증기능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 신규채용제도가 양적 수급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교직에 적합한 인재를 충원하기 위한 질적 접근을 지향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