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 교과교육학 지식 관점에서 본 중등 가정과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 Yu, Nan-Sook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Learning Systems, Florida State University)
  • 유난숙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교육심리 및 교육공학)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10.01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which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school year 2002 to 2010,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PCK). Two frameworks were used: (1) H-PCK matrix transformed from the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CK) and the Pedagogical Knowledge; (2) Five components of H-PC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st items were classified into H-CK items and H-PCK items from the H-PCK matrix analysis. (2) While the number of items on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was the highest, no item on knowledge of understanding students was identified. Since the test can be considered as Measurement-Driven Instruction, it will have backward influence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ies. Thus, if promising and capable new Home Economics teachers are to be recruited, the test items should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H-PCK.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교육과정. http://curri.mest.go.kr에서 2010년 6월 10일 인출.
  2. 김동현(2004). 일본어 교원 이용 시험 및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육 과정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경(2010). 가정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 '가정경영.소비자학'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주(2004). 일반사회과 중등교원 임용시험 분석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숙(2007).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가정과 교과교육학 출제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학년도 석사학위논문.
  6. 김영남, 조재순, 이혜자, 조병은, 윤인경, 채정현(2004). 중등가정교사 임용시험의 출제문항 분석. 교원교육, 20(1), 260-271.
  7. 김영미(2009). 중등 영어 교원 임용시험 문항 분석 연구: 2006학년도-2009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미(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 수학교육, 48(1), 93-105.
  9. 박미진(2005). 영양권장량과 식사구성안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 연구: 중학교 교과서, 1학년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1. 박인기(2006).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교과교육학연구, 10(1), 261-280.
  12. 배호순(2003). 평가가 주도하는 교육 (측정 주도 수업). KETC 웹진 교육평가 No. 3. http://blog.daum.net/whole-man/2735894에서 2010년 7월 26일 인출.
  13. 서미성(2009). 2004-2009학년도 초.중등 교원임용시험 교육평가영역의 문항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학년도 석사학위논문.
  14. 성태제(2010)."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영역및방법"에 대한토론. http://kice.re.kr/ko/download.do?attach_id=2441에서 2010년 7월 26일 인출.
  15. 유난숙(2009). 가정 교과교육학 지식(H-PCK)에 관한 가정과 교사의 반성적 성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유난숙(2010). 초임 가정과교사의 교사사회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3), 99-114.
  17. 유태명(2006).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1-22.
  18. 이대성(2006). 교수 내용 지식의 관점에서 본 중등 일반사회 교원 임용시험 문항분석. 사회과교육, 45(4), 133-161.
  19. 이자연(2007).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과 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현숙(1999). 중등 가정과 교사 임용제도와 고사문제의 분석 및 개선연구. 중등교육연구, 43, 121-137.
  21.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2. 조희형, 조영신, 권석민, 박대식, 강영진, 김희경 외(2006). 중등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교수내용지식 연구 동향의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0(2), 281-301.
  23. 차지연(2008). 현 중등 미술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03-2007년도 출제문항.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2008).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연구보고 CRE 2008-6-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5. 황인주(2002).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생물과 출제문항 분석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Baxter, J. A., & Lederman, N. G.(1999).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147-161).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7. Fernandez-Balboa, J., & Stiehl, J.(1995). The generic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 293-306.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30-A
  28. Gess-Newsome, J.(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3-17).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Grossman, P. L.(1990). The making of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0. Jonson, K. F.(2008). Being an effective mentor. 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1. Kind, V.(200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 sand potential for progres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169-204. https://doi.org/10.1080/03057260903142285
  32. Korthagen, F. A. J.(2001, April).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eattle. Retrieved on December 28, 2009 from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92.1562&rep=rep1&type=pdf.
  33.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95-132).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Marks, R.(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35. Park, S., & Oliver, J. S.(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36. Schon, D.(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actitioner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7.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38. Shulman, L. 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9. Timmerman, G.(2009). Teaching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ex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 500-506. https://doi.org/10.1016/j.tate.2008.08.008
  40.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

Cited by

  1.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on student outcom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vol.13, pp.4, 2012, https://doi.org/10.1007/s12564-012-9226-9
  2.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고사의 연계성 분석 vol.58, pp.2, 2011, https://doi.org/10.6115/fer.202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