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교육과정. http://curri.mest.go.kr에서 2010년 6월 10일 인출.
- 김동현(2004). 일본어 교원 이용 시험 및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육 과정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경(2010). 가정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 '가정경영.소비자학'영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민주(2004). 일반사회과 중등교원 임용시험 분석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숙(2007). 중등교사 신규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가정과 교과교육학 출제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학년도 석사학위논문.
- 김영남, 조재순, 이혜자, 조병은, 윤인경, 채정현(2004). 중등가정교사 임용시험의 출제문항 분석. 교원교육, 20(1), 260-271.
- 김영미(2009). 중등 영어 교원 임용시험 문항 분석 연구: 2006학년도-2009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경미(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 수학교육, 48(1), 93-105.
- 박미진(2005). 영양권장량과 식사구성안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 연구: 중학교 교과서, 1학년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 박인기(2006).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교과교육학연구, 10(1), 261-280.
- 배호순(2003). 평가가 주도하는 교육 (측정 주도 수업). KETC 웹진 교육평가 No. 3. http://blog.daum.net/whole-man/2735894에서 2010년 7월 26일 인출.
- 서미성(2009). 2004-2009학년도 초.중등 교원임용시험 교육평가영역의 문항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학년도 석사학위논문.
- 성태제(2010)."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영역및방법"에 대한토론. http://kice.re.kr/ko/download.do?attach_id=2441에서 2010년 7월 26일 인출.
- 유난숙(2009). 가정 교과교육학 지식(H-PCK)에 관한 가정과 교사의 반성적 성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난숙(2010). 초임 가정과교사의 교사사회화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3), 99-114.
- 유태명(2006).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1-22.
- 이대성(2006). 교수 내용 지식의 관점에서 본 중등 일반사회 교원 임용시험 문항분석. 사회과교육, 45(4), 133-161.
- 이자연(2007).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과 특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현숙(1999). 중등 가정과 교사 임용제도와 고사문제의 분석 및 개선연구. 중등교육연구, 43, 121-137.
-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 조희형, 조영신, 권석민, 박대식, 강영진, 김희경 외(2006). 중등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교수내용지식 연구 동향의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0(2), 281-301.
- 차지연(2008). 현 중등 미술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03-2007년도 출제문항.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2008).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가정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연구보고 CRE 2008-6-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황인주(2002).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생물과 출제문항 분석 및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axter, J. A., & Lederman, N. G.(1999). Assessment and measure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147-161).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 Fernandez-Balboa, J., & Stiehl, J.(1995). The generic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 293-306.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30-A
- Gess-Newsome, J.(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3-17).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 Grossman, P. L.(1990). The making of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Jonson, K. F.(2008). Being an effective mentor. 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 Kind, V.(200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 sand potential for progres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169-204. https://doi.org/10.1080/03057260903142285
- Korthagen, F. A. J.(2001, April).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eattle. Retrieved on December 28, 2009 from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92.1562&rep=rep1&type=pdf.
-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 95-132).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 Marks, R.(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 Park, S., & Oliver, J. S.(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 Schon, D.(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actitioner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 Shulman, L. S.(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 Shulman, L. S.(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 Timmerman, G.(2009). Teaching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ex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 500-506. https://doi.org/10.1016/j.tate.2008.08.008
- Van Driel, J. H., De Jong, O., & Verloop, N.(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
Cited by
-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on student outcom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vol.13, pp.4, 2012, https://doi.org/10.1007/s12564-012-9226-9
- 가정교육과 교육과정과 가정과 임용고사의 연계성 분석 vol.58, pp.2, 2011, https://doi.org/10.6115/fer.202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