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환경경험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여름철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환경온도와 온냉감 평가 (24 hours' Exposed Temperature and Thermal Comfort in Summer)

  • 전정윤;이민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1-56
    • /
    • 2003
  • All the outdoor and indoor space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The human being moves toward those spaces with temperature fluctuation between the natural and artificial temperature. We conducted an experiment which subjects were wearing the data logger in urban life, and measured 24 hours' exposed temperature and thermal comfort in summer. Results were as follows. 1. Subjects controls their micro climate like this. Most of them(84.6%) get weather information. Fashion(46.2%) and weather(30.8%) are the reasons to select clothes. They spend their time in indoor environment for 84.92% hours of a day and have an air-conditioner(61.5%) in their houses. 2. Temperature fluctuation which subjects were exposed for 24 hours were from 15.6$^{\circ}C$ to 33.8$^{\circ}C$ and average fluctuation was 9.02$^{\circ}C$. The median value of experienced temperature were 26-26.5$^{\circ}C$ and average temperature was 26.18$^{\circ}C$. They experienced cold shock of 3.96 times in a day.

관가정(觀稼亭)으로 본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 분석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High-Class Houses Kuangajeong in Chosun Dynasty)

  • 허준;이시영;송병화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64-177
    • /
    • 2011
  • 본 연구는 전통주거공간 속에 반영된 환경친화적인 계획기법과 원칙을 파악하여 그 원리를 재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대표적 전통 주거공간인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의 관가정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주거공간에 표출되거나 내재된 환경친화성 원리 및 기법을 입지선정 및 공간구성, 자연에너지 활용, 자연재료 활용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입지적 측면에서 남동향을 취하여 일사 및 일조의 환경조절측면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지형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건물축조기법으로 조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환경보전적 측면에서는 대문간-안마당-안대청으로 바람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으로 배치하였으며, 공간구성적 측면에서는 경관의 조망을 중시하여 담장의 조절을 통해 외부 경관을 끌어들이는 수법을 활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전통공간에 있어서 환경친화적 기법 및 조절원리는 오랜 기간 동안 경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지역기후와 지역환경에 적합한 많은 전통적인 기법들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기법들을 추출하여 기술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지구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쾌적한 인간의 생활환경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겠다.

한국 대도시의 도시화 특성 : 이동,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화 단계의 실증적 검토 (Urbanization of Large Cities in Korea : Assessing Development Stages using Migration and Commuting data)

  • 권상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36-553
    • /
    • 2011
  • 최근 산업도시 성장 이후 탈산업화 시대에 전개되는 새로운 도시화에 대한 논의가 포스트모던 도시, 소비도시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된다. 도시화의 단계적 접근에서는 인구 변화와 이동에 기초하여 거대도시는 도시화의 후기 단계인 재도시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화 단계는 시차를 두고 점진적으로 하위 규모 도시에서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산업 재구조화는 인구 규모만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도시화 특성을 유발할 것으로, 본 연구는 한국 대도시의 도시화 특성을 이동, 통근 인구 그리고 이들의 지리적, 사회적 특성에 기초하여 검토하였다. 대도시별 도시화 경험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서울은 단계적 도시화 과정을 거치지만, 다른 대도시들은 산업도시와 탈산업도시로의 전이에서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 특히, 지방 대도시의 경우 산업 기반의 교외화가 이루어졌으나 중심 도시의 편리한 주거, 생활 환경으로 중심 도시에 거주하며 주변으로 역통근하는 인구가 늘고 중장년층의 경제활동 가구가 대도시로 유입되며 주거 기능이 새로운 도시의 역할로 확대되는데, 이는 한국 대도시의 새로운 도시화 특성이라 하겠다.

  • PDF

주거환경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중산층 아파트 거주 주부를 대상으로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Housing Environment - In the case of Middle class Apartment Residents -)

  • 이연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27-48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class housewives` experience of housing environment through their own cognitive expressions. Subjects were 18 housewives living in the apartments at Junggye-Dong, Seoul and Field survey method was used. Indepth interview technique with plann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contents of individual`s housing life history were recorded by means of a recording machine. Cognitive expressions of subjects ontheir experience of housing environment were analiyzed by Content Analysis. Subjects have respectively experienced various housing types. The housing experiences were classified by stimuli and respones. Stimuli were again classified by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whereas responses were classified by types and directions. Negative experiences were more frequent than positive ones. Negative evaluations wer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such case as the existence of community facilities, interior structure, bathrooms, and heating systems. Th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ppeared more frequently were the natural characteristic$ of outdoors. When all the contents were analyzed by housing types experienced, subjects negatively remembered community facilities in high-rise apartments, and positively outdoors in detached single houses including traditional houses, and negatively heating systems in low-rise apartments and tenement houses. These contents, especially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past experience.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residents` reponses and to plan furture houses more desirable for them.

  • PDF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구축 및 사용성평가 - 주거 환경 내 일상생활활동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ing of the Smart Home for Wheelchair Users - Focu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t Home -)

  • 임명준;표경선;이금주;박지영;최현;권효순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5-14
    • /
    • 2016
  •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에서 접근성이 부족하여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스마트홈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스마트홈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평가는 시나리오기반사용경험평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평가, 그리고 심층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휠체어 사용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사용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존 거주지에 비해 구축된 스마트홈의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층설문 결과, 스마트홈 내부의 부분적인 개선 요구사항 또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홈 구축 시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주거환경 구축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spective about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Housing Education Value)

  • 이연정;조재순;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9-232
    • /
    • 2007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에서 중학교 가정교과의 주생활 영역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를 상대로 e-mail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0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ANOVA와 scheffe,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은 실존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조적 관점, 전통적 관점의 순으로 높았다. 전통적 관점은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이 많고 남녀공학보다는 남학교나 여학교 근무 교사가 그리고 사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실존적 관점은 여교사, 가정교육전공, 대학원 재학 이상 학력, 공립학교에 다니는 교사가 높았다. 구조적 관점은 여교사, 연령이 적고, 가정교육전공, 그리고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지닌 교사가 높았다. 둘째, 가정과교사의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의 일반적 경향은 9개 요소 모두 평균 이상이었다. 그 중 주거의 생태학적 요소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인 요소, 사회심리적 요소, 공간계획적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진로교육적인 요소, 문화적 요소, 주거관리적인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순이었다. 가정과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전공자격, 최종학력은 5개의 주거 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 형태는 4개, 가족수, 소득수준, 교직경력은 각각 2개씩, 그리고 성별, 결혼여부, 거주주택 유형, 연령은 각각 1개씩의 주거가치관 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가정교육 전공 교사가 사회심리적 요소, 경제적인 요소, 지역환경적인 요소, 생태학적 요소를 기술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기술교육 전공 교사는 주거관리적 요소를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인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사회심리적 요소, 지역환경적 요소, 생태학적 요소, 주택정책적 요소, 그리고 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학교 형태에 따라서는 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남학교나 남녀 공학에 근무하는 교사 보다 사회심리적 요소와 주택 정책적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여학교나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교사는 남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지역환경적 요소와 생태학적 요소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가정과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가치관 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통적 관점은 주거교육가치관 요소 중 오직 주거관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낮으며 실천적 관점과 구조적 관점은 주거가치관의 각 요소에 따라 약간 다르기는 했으나 주로 보통의 관계를 보였다.

  • PDF

한인 이주민의 주택 소유구조 및 주거입지 선호 특성 -미국 워싱턴 주 사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Housing ownership Structure and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of Korean Immigrants: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Washington State)

  • 박원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60-675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내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이주경험 및 주거실태, 주거입지 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주민의 개별 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와 주거입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워싱턴 주에 거주하는 한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를 토대로 이항로짓모형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응답자들의 주택 소유구조를 보면, 응답자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주기간이 길수록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주거 입지요인으로는 치안, 자연환경, 직장근접, 학군 등 환경/쾌적성, 학군인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이 주택 소유구조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가주택 보유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로, 응답자의 개별특성과 주택 소유구조가 응답자의 입지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1) 주거입지 요인으로 자가주택 소유자가 임대주택 소유자보다 학군을 선호하며, (2) 40대 이상의 연령대가 30대 이하의 연령대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3) 이주기간이 10년 이상인 응답자가 이주기간이 10년 미만인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며, (4) 워싱턴 주 이외에 지역에 최초로 이주한 응답자가 워싱턴 주에 이주한 응답자보다 안전/쾌적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간호대학생의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the Campus Environment and Health Perception on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이정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9-338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12월 01일부터 12월 30일까지 G시의 3개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며 223명의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에 차이를 나타내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실습경험, 성별, 주거형태, 성격과 식습관형태 및 학교보건실 이용경험이었다. 스트레스는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 간에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습관, 성별, 대학캠퍼스 환경인식과 건강지각이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이들의 설명력은 23.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대학캠퍼스 환경을 개선하고 건강에 대한 지각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도시공간에서의 경험 - 인지맵 접근방식 - (Experiencing the Urban Space - A Cognitive Mapping Approach -)

  • 리카르도 가르시아 미라;아디나 두미트루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63-70
    • /
    • 2014
  • The dependence on cars for urban mobility and the exponential increase in traffic and urban infrastructure to sustain traffic have lead to an encapsulated way of life, where the connec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is much more reduced and programmed. In a previous study, a process based on estimating distances showed that children who move around their city by automobile do not appreciate their environment as a spatial continuum, but rather as a series of independent spaces that are reached by automobile or bus, thereby evidencing a different way of conceptualizing urban space in the light of different cognitive structures (Goluboff, Garc$\acute{i}$a-Mira, and Garc$\acute{i}$a-Font$\acute{a}$n, 2002).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urban space, and contrast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different groups. Th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may have for urban planning are discussed.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역사학습 콘텐츠의 구현 (Implementation of Historic Educational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 류인영;안은영;김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2-40
    • /
    • 2009
  •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역사 학습 콘텐츠구현을 목표로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역사학습은 시대적 사실들을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해하고 구성 해나가는 역사적 맥락의 사고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물 및 유적을 통한 역사적 사실이나 정보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상상력을 동원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그 시대의 자연 환경 및 주거 환경을 함께 구현하여 제시한다. 또한 가상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역사교육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하여 구성주의 학습요소를 고려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가상세계의 3차원 환경과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판단 및 선택에 따라 스스로 정보를 구성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학습자는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