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Historic Educational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역사학습 콘텐츠의 구현

  • 류인영 (한밭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안은영 (한밭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김재원 (선문대학교 기계공학과)
  • Published : 2009.08.28

Abstract

This research provides a new approach for implementing an educational content for Historic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rom historic educational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comprehend a historical fact i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t that time. So,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historic content should describe not only information about various relics and ruins but also historical relationship and background. In this system, we provide versatile type of contents to help learners for collecting manifold informations about their interesting era. And this system proffers natural and residential 3D environments, which give learners to understand conceivably and to think collectively. Using the interactions, the learners navigating this virtual world are able to construct their own information system through selecting a interested one among the offered contents in the system and consequently they are getting a scientific thinking power and a creative imagination.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역사 학습 콘텐츠구현을 목표로 한다. 교육학적 관점에서 역사학습은 시대적 사실들을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해하고 구성 해나가는 역사적 맥락의 사고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물 및 유적을 통한 역사적 사실이나 정보뿐만 아니라 시대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상상력을 동원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그 시대의 자연 환경 및 주거 환경을 함께 구현하여 제시한다. 또한 가상환경에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역사교육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제작하여 구성주의 학습요소를 고려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가상세계의 3차원 환경과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의 판단 및 선택에 따라 스스로 정보를 구성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학습자는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을 통해 과학적 사고력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문음사, 1997.
  2. 황홍섭,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웹상 가상공간에서의 경험학습", 한국교육학회초등연구회, 제12권, pp.51-72, 1998.
  3. 박기범, "초등사회과 학습 환경과 웹기반 학습 모형: 역사적 사고력 학습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제45권, 제1호, pp.153-172, 2005.
  4. 김한종,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와 역사 수업의 발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제29권, 제29호, pp.83-103, 1996.
  5. Brutzman, Daly, X3D: Extensible 3D Graphicsfor Web Authors, Morgan Faufmann, 2007.
  6. 한관종, "사회과 교육에서 영상매체 활용 수업모형 개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제32권, 제32호, pp.283-302, 1999.
  7. 조영남, "초등교사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 한국초등교육학회, 제16권, 제1호, pp.81-100, 2003.
  8. K. E. Mayer and R. B. Anderson, "Animationsneed narrations: An experimental test of adual-coding hypothe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3, No.2, pp.27-38, 1991.
  9. "현장학습을 위한 u-learning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11권, 제3호, pp.221-229, 2006(7).
  10. Keller, J.M./송상호 역,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Cited by

  1. Qualitative Observation of Visitor Experience in Digital VR Aquarium >IQuarium<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200
  2. A Study on the Trends of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echnology for Agricultural Education vol.27, pp.2, 2018, https://doi.org/10.12791/KSBEC.2018.27.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