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요구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3초

노인주거복지시설 계획방향설정을 위한 수요자 요구조사 및 분석 - 경기도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 (Study of a Residential Desire Survey for Planning Criteria of an Old Aged Residence - Focused on the Old Aged in Gyeonggi Province -)

  • 은민균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7-36
    • /
    • 2009
  • A person's residence is the primary environment which affects physical and emotional-gratifi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s are very important to a person's quality of life. Because the age of society has rapidly increased, we must take a profound interest in the welfare and residences of the aged. While the government has begun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aged has not been fully considered. Because the welfare of the aged begins in the house, the term 'residence for the aged'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space. Because residences for the old aged are included in various social policies such as family relations, social security, health care, safety etc, relevant policies for these residences must be prepared as rapidly as possible. This study-focused on both the importance of residences for the aged and the residential desires of the aged, and aims to propose planning criteria for the residences of the aged.

아파트 주거공간의 인체공학적 적합성 연구 (The Study on Appropriateness of Ergonomically Designed in Living Space of an Apartment Unit)

  • 박병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89-96
    • /
    • 2009
  • 아파트는 우리나라 주거의 반수이상이 공급되어 있으며, 가장 선호하는 주거유형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이처럼 주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 내부공간이 최근에는 트렌드 차별차로 다양한 변화를 자랑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법적 요구공간과 설계치수만을 적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주거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가족이 단란하게 생활하는 공간이며 사회생활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기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거공간은 가족 구성원간 상호작용과 자아정체감을 갖는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공간의 기본조건 중 능률성은 동선과 사용공간, 가전제품, 가구치수는 주거공간의 면적과 칫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파트의 내부공간구조 자체가 서구에서 도입된 형태로 우리나라의 신체적 치수적용에 부조화를 초래하였으며 최근에는 다시 인체치수의 변화로 이와 관련하여 대한 건축계획에서도 적절한 주거공간의 구성을 위한 인체공학적 적합성에 근거한 주거공간 계획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IM 기반 1인 가구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 개발 (Development of Modular Apartment Unit for Single Person Household Based on BIM)

  • 이시현;유무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09-820
    • /
    • 2023
  • 현대 사회에서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 모색이 중요하다. 빠른 시간 내에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듈러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 유닛 설계 및 시공 과정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1인 가구의 주거 요구사항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IM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을 개발하였다. BIM은 건축 요소의 시각화 및 상호 연결을 제공하여 설계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BIM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기술적 요구사항 및 비용 등의 한계도 고려되어야 한다. BIM 기반 1인 가구 공동주택 유닛 설계의 가능성과 장점을 제시하고 1인 가구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은;윤영호;김유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65-75
    • /
    • 2013
  •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노후화 관리를 위해 주거환경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최근 3년간 시설개선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노후화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단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개선 요구도 및 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 시행된 시설개선사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 시설개선사업의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해 평균값 분석을 하고 항목간의 유형구분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개선 항목으로 도출한 공용 공간 29개 항목을 6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대 내부 공간 28개 항목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시설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타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R을 활용한 주거환경 중요도 요소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R)

  • 오형준;최영오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209-217
    • /
    • 2020
  • 최근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공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영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융·복합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분야 역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를 통해 도시화 과정을 통해 양적 확대를 진행해왔던 건축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지역과 유사 인근지역 주거자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건물 건축과 입주 후 진행되는 거주 후 평가 요소에 대해 R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각 평가 요소 간의 연관규칙 분석과 거주자의 주요 요구 사항의 빈도 수 파악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평가 항목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향후 건축 분야에서 주거지 구성 시 양질의 주거 공간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제공과 함께 양질의 주거지역을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등 IT와 건축분야 간의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2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주택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1-2 Person Household's Lifestyle and Needs of Small Houses)

  • 강순주;김진영;함선익;권윤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1-129
    • /
    • 2011
  • The main objective of research is to present research outcome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small size housings for 1 to 2 person households that have been increasing at a rapid pace due to many socio-economic factor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used by questionnaires. The effective numbers of survey questionnaire was 215, and the survey analysis has been made by using of SPSS win 12.0.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1 to 2 person households can be typified by nine ke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explore lifestyles and demands for new housing types. The nine lifestyles include information seeking urban dwellers, well-being oriented, practical trend followers, urban culture lovers, brand lovers, active listeners, easy life seekers, self-centered, and heavy consumers. 2) Occupants may need less space than they anticipate when more user-friendly and space conscious products and services are implemented. 3) There is a great potential market for small size housings if more convenient features and services are provided.

공동주택 생활관리 만족 및 요구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Demands and Satisfaction of residential lif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

  • 은난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4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상
    • /
    • pp.75-8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f residential lif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 and to examine the tendency of demand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5 factors of residential life management of apartment house were extracted. They are I. Residential life accommodation service, II. Residential life support service, III. Resident's activety support and announcement of management works. IV. Safety and order mainteanance, V. Precaution to accident.

  • PDF

지방 대도시의 냉난방 설비시장의 수요자 요구 (The demand for air conditioning in rural city)

  • 윤정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205-212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new air conditioning's selling possibility and discriminate it's market in Pusan and Daegu.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se are follwing conclusions : Come to think of using rates of air conditioning. Function of air conditioning in house is not satisfied nowadays. Residents prefer it's function of cooling plus heating to only cooling in order to use a air conditioning in winter and the turning point of the season. And the air conditioning should be furnished economy, environment, convenience, amenity, safety.

  • PDF

아파트 거주자의 커뮤니티 공간과 프로그램 이용 및 요구도 (The Uses and Needs of Communal Space and Community Programs of Apartment Residents)

  • 정승진;이원영;강순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41-5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ommunity space layout and residents' uses and needs of communal space and community programs within two different apartment complexe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The residents of

맞춤형 주거환경수정을 이용한 노인의 건강상태 차이비교 분석: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n Health Condition with Elderly Age Using the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 Focusing on Community Care Projects)

  • 한상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76-184
    • /
    • 2021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케어 사업에서의 주거환경수정이 낙상 위험환경과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거환경 및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HOME FAST와 WHODAS-K 2.0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사전·사후 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평가를 바탕으로 주거환경수정 서비스를 시행한 결과, 낙상 위험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 건강상태의 경우에는 이동성(p<.01)과 사회참여(p<.05)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전반적 건강상태(p<.05)의 변화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연구 대상자 확보하고, 포괄적인 주거환경 평가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며, 주거환경수정의 질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상자 우선순위 선별과정과 전문인력 인프라 확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