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주의식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열린교육 지향의 초등학교 교육환경 의식비교 - 교사들의 의식분석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Awareness about Educational Environment in Ope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

  • 정주성
    • 교육시설
    • /
    • 제5권2호
    • /
    • pp.49-56
    • /
    • 1998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ach characteristics appeared on the interviews and questions of teachers performing open education. The results were shown to the 5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by the awareness analysis on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ly, team teaching. applied living factor, unit learning factor, managemental factor, general public factor and assisting managemental factor were influential successively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eachers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ope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econdly, to compare the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GLM was done. Most factor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group of attached school and showed a partial significance in the grade in charge, gender and age.

  • PDF

교과교실형 중학교 학생 이동의식 및 경로선택 추이 분석 (An Analysis about Moving Awareness and Trend of Route Choice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Variation Type)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2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moving awareness of students to physical conditions and attitudes on user's place to moving route. Moving awareness and route choice of students on variation type were grasped through questionnaire. As the results, the satisfaction degree, moving awareness and elapsed time for adaptation of students to physical facilities associated with moving class were antithetical to numbers of class and student. The more students, the more negative the moving itself. Especially, students showed a different tendency to route choice of high frequency moving and possession awareness of their belongings according to spatial nearness and composition of homebase. These basic data will be utilizable to suggest various model for composition and rearrangement of school space.

오픈플랜형 초등학교 다목적 공간 운영의식 분석 (An Analysis about the Consciousness of Management for Multipurpose Space in Open Planned Elementary Schools)

  • 정주성;류호섭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19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of users about management of multipurpose space introduced in open planned elementary school after the year of 1990's. Thirteen open planned elementary schools were participa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s the results, the positive response was maintained a superior position in the need of multipurpose space and changes of classroom management. Independence type in the arrangement of multipurpose space and the additional corridor type having extra moving line in comparison with the extensional corridor type were remarkably preferred, respectively. The consciousness of utilization about multipurpose space was comparatively low in a type having traffic line in surroundings of classroom compared to a type having entrance or a type having roundabout corridor. Finally, the group accepting changes positively showed high need to solve urgent problems about management of classroom.

  • PDF

교과교실형 운영 중등학교 홈베이스 이용의식 분석 (An Analysis about Awareness of Use in Homebase on Variation Type in Middle and High Schools)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0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awareness of students using homebase on variation type, about a thousand students in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By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degree of awareness regarded homebase as a base was relatively high in respondents of the schools having easy accessibility of the homebase, and thus, proportions of assigned space for homeroom, using frequency of homebase and time to stay were also high in the group showing high awareness about homebase. Especially, it is noticeable use of homebase was frequent in the schools having subdivided space in itself.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function of homebase as a base of the students can be very important factor to plan schools of variation type.

한양대학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에서의 진정요법(II) (Sedation at Sedation Clinic of Department of Dentistry in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II))

  • 전재윤;빙정호;박창주;황경균;심광섭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7
    • /
    • 2007
  •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한양대의료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은 모두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총 92건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미다졸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하였다. 이전 논문에서 이미 본원의 진정요법 프로토콜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이번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진정요법 결과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근거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이번 연구는 일반 치과의사들도 미다졸람을 이용한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충남도민의 정주여건 거주환경의 만족도 현황 (Status of Satisfaction with Settlement Condition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Chungnam-do Residents)

  • 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23-30
    • /
    • 2021
  • 본 연구는 충남도민의 정주여건 거주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분석 자료는 통계청 자료 2020년에 실시한 충청남도 사회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원데이터 중 무응답을 제외한 일부 519개 데이터를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충남도민의 정주여건 거주환경의 만족도 현황에 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적 특성인 정주여건 거주환경이 삶의 질 만족도는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 정도는 10점 만점에 5.92점,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전반적인 가치 정도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28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시군)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1점으로 분석되어 충남도민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주주택 환경 만족도는 약간만족 226명으로 가장 많은 빈도수와 43.5% 비율로 분석되었고 시청/군청, 주민센터, 경찰서 등 공공시설 이용 만족도는 약간만족 206명 39.7%, 시장, 대형마트, 백화점 등 쇼핑시설 이용 만족도 또한 약간만족이 231명으로 44.5%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약간만족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조금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주여건 삶의 질과 관련된 사회적인 관심과 충남도민의 주관적인 의식을 파악하여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 등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거점공간 운영방식 차이에 따른 교과교실형 중학교 공간 이용의식 분석 (An Analysis about Awareness of Use in Space on Variation Type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Type of Management for Homebase)

  • 정주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9-26
    • /
    • 2016
  • In this study, moving awareness of students having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in homebase and attitudes of students to spacial use in user's aspect were analyzed. As shown in the results, the dissatisfaction degree of the second grade using homebase type was higher than the first and the third grades using exclusive space for a class, homeroom type. The necessity of exclusive space for a class was highly shown in the second grade students. Students of the first and the third grades showed similar pattern in using frequency of homeroom. The results showed that behavior pattern of students was different with their physical conditions. Especially, factors showing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possession awareness of their belongings, tendency to route choice of high frequency, stay awareness of main stay in time to rest and point of time using restroom.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design various models in variation type of schools.

흙주거의 거주특성과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Character and Consciousness of Housing Environment in Earth Housing)

  • 정주성;김정규;오양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47-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bout housing environment concerned with earth housing, and to suggest basic data reflectible on the planning of earth housing. Residential characters and consciousness are investigated with the people lived in forty seven earth housings located in nationwide scale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a reason of health like sick house syndrome, residential environments such as ventilation and lighting, site environment such as neighbor and greenfield are very influential elements to the consciousness of inhabitants. Meanwhile, approximation of residential area, the connection with public facilities including medical service, educational and commercial conditions, additionally, preparation of disaster and crime prevention in a viewpoint of safety are pointed out as relatively weak ones. It means that earth housing is not systematically fixed as a residential site because it is personally progressed by small number of peoples having different reasons. For the improvement of systematic housing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position of various model are needed on earth housing and its site.

매복지치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CI) 의식하 진정 (Target Controlled Conscious Sedation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Wisdom Teeth)

  • 방보영;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배경: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arget controlled infusion) 의식하 정주진정법의 적절한 주입농도를 제시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가 예정된 미국마취학회 신체 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5-65세, 142명(여 83명, 남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소급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목표조절농도주입법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 사용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정맥내 삽관을 시행하고 수액을 공급을 시작하고, 4-5 L/min의 산소를 비관을 통해서 공급하였다. Propofol과 remifentanil의 초기 목표 혈중농도는 각각 $0.5\;{\mu}g/ml$와 1.0 ng/ml로 정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불안 통증 정도에 따라 목표농도를 조절하였으며 최저 농도와 최대 농도, 평균 농도, 주입된 총 용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호기 말 이산화탄소량을 수술 시작 전, 수술 중 5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pm$ 표준편차나 환자의 수, 초기 측정치에서의 백분율 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수술 동안의 목표 혈중농도의 평균은 propofol은 $0.54{\pm}0.11\;{\mu}g/ml$이고, remifentanil은 $1.11{\pm}0.30\;ng/ml$였다. 수술 중 조절된 최대농도는 propofol은 $0.6{\pm}0.23\;{\mu}g/ml$이고, remifentanil은 $1.3{\pm}0.63\;ng/ml$였다. 이는 의식하 진정에 해당되는 범의의 농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진정동안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지 되었으며 산소 포화도는 4-5 L/min 의 산소 보충 하에 98%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수축기 혈압과 맥박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변위범위(${\pm}20%$)내에서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목표조절 농도주입 의식하 진정에서 사용된 농도(propofol $0.5\;{\mu}g/ml$, remifentanil 1.0 ng/ml)는 안전하게 의식하 진정을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이는 치과 치료 시 목표조절농도 주입의식하 진정법에서 적절한 목표농도를 제시한다.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Later-life Expectation of Semi-older Adults)

  • 임정숙;정순둘;정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569-587
    • /
    • 2019
  •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측되는 노인편견, 삶의 만족, 부양가치관, 사회연대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역량강화지원 사업에서 진행된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 중에서 50-64세의 준고령자 총 32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생활기대감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노인편견과 사회연대의식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에 대한 편견이 적을수록, 사회에 대한 신뢰와 유대감이 높을수록 노후생활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향과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