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부 정책 효과성

Search Result 69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Measurement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Acceptance Proces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정부광고와 공공광고의 효과 측정: 정부·공공광고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Kim, Byoung Hee;Son, Yeong-Gon;Jo, Chang-Hwan;Lee, Hui-Jun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
    • v.28 no.6
    • /
    • pp.7-34
    • /
    • 2017
  • The debate surround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is not to be overstated as a major source of advertising research.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the model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develops an index model that can evaluate government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800 respondents in 7 major cities. Based on the creativity evaluation factors (originality, clarity, and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advertising and the evaluation factors (interest, avoidance, and relevance) of policy contents, a causal model that affects th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al responses of the audience was set up. As a result of analysis, originality, clarity, interest, and relevance except for appropriateness and avoidance were meaningful variables for creating government advertising effect such as policy understanding, audience attitude, word of mouth intention of policy. In addi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udience attitude were the main medi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word of mouth intention of policy. Based on research results, this paper discussed the direction for creating effective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the future.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Han, Ik-Hyun;Eun, Jonghwan;Lee, Ja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386-39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is, we apply ordered logit analysis using "The Survey on the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Policy" data investiga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liter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imply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information about policies and make an effort to gain trust on food safety policy.

저축(貯蓄)의 대체성(代替性)과 재정정책(財政政策)의 유효성(有效性)

  • Lee, Gye-Si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0 no.2
    • /
    • pp.3-26
    • /
    • 1988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우리나라의 1963~86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소비(消費) 및 가계저축함수(家計貯蓄函數)를 추정함으로써 가계(家計), 기업(企業), 정부저축(政府貯蓄) 등 세 부문의 저축(貯蓄) 사이에 어떠한 관계, 즉 어느 정도의 대체관계(代替關係)가 있는가를 판별하고 정부저축(政府貯蓄)과 정부재정지출(政府財政支出) 등의 변수(變數)로 표시되는 재정정책(財政政策)의 구축효과(驅逐效果)와 이에 따른 재정정책(財政政策)의 유효성(有效性) 혹은 무력성(無力性) 문제(問題)를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본(本) 연구(硏究)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업저축(企業貯蓄)과 정부저축(政府貯蓄)은 가계저축(家計貯蓄)과 대체관계(代替關係)가 아닌 보완관계(補完關係)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일국전체(一國全體)의 자본형성(資本形成)에 있어서 기업(企業) 및 정부저축(政府貯蓄)이 매우 중요한 정책변수(政策變數)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가계저축율(家計貯蓄率), 나아가 국내저축율(國內貯蓄率)의 제고(提高) 및 유지(維持)를 위해 기업저축증대(企業貯蓄增大)를 위한 제반유인정책(諸般誘因政策)을 꾸준히 강화하고 정부저축증대(政府貯蓄增大)를 위한 효율적이고 건전한 재정운용(財政運用)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재정지출(政府財政支出)은 적자(赤字)에 의하는 조세(租稅)에 의하든 민간소비(民間消費)를 큰 폭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가계(家計)의 초합리성가설(初合理性假說)이나 완전(完全)한 선견가설(先見假說)이 상정하는 바와 같이 재정정책(財政政策)의 완전(完全)한 구축효과(驅逐效果)가 나타남에 따른 재정정책(財政政策)의 무력성(無力性) 결과(結果)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의 재정정책(財政政策)이 그동안 경제안정(經濟安定)을 위한 강력한 정책수단(政策手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정부출자금 지원이 개별 벤처캐피탈(VC)의 창업초기단계 투자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Hun;Jeong, Tae-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48-50
    • /
    • 2016
  •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의 간접출자가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벤처캐피탈의 의사결정이 합리적 투자자의 관점을 취한다고 가정하고 정부의 자금투여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를 불확실성 완화효과, 정책유도 효과, 투자금의 규모의 경제효과, 정보비대칭성 완화효과, 자본비용 완화효과로 분해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주장을 한다. 첫 째, 정부출자금의 규모가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둘 째, 창업초기단계에 대한 투자지침을 명시한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투자가 그러한 투자지침을 갖지 않는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에 비해 클 것이다. 셋 째, 정부출자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의 투자에 대한 규모효과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감소하여 역U의 형태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 사이 투자활동을 벌인 한국의 105개 벤처캐피탈사의 출자금 구성과 투자 내역자료를 활용하여 상기 주장의 유효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통계적 검정의 결과 세 가지 주장을 모두 지지하는 일관된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행태 및 정책개입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한다는 이론적 의의와 이에 대한 실증근거의 제시를 통해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정책의 효과와 방향성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 PDF

Public Policy and the Diffusion Effects in N.R.S.E -The Case of Solar Energy in Korea- (대체에너지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정책효과 분석 -태양에너지개발사례를 중심으로)

  • 최기련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407-419
    • /
    • 1995
  • 정부의 기술개발정책은 신기술의 확산 및 보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정책의 비효율성에 의한 "정부실패"에 대한 검정은 항상 필요로 한다. 논문은 한국의 태양에너지 관련 정부정책의 효율성을 주요 신재생에너지기술로서 사회경제적인 가치판단 모형을 설치하고 이를 태양에너지 기술개발 관련 당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검정을 시도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다음과 같은 점에 관련된 정부정책의 보완이 요구됨을 발견하였다.-연구관련 주체들간의 역무분담의 비효율성-기술혁신 이행단계의 신속이행 전략의 미흡과 기술혁신 정보흐름의 비효율적 체계-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학계의 기초, 응용단계 연구의 과도한 기술개발 주도 체계 유지 및 민간기업의 단기적 이익에 집착한 "무임승차"기대 따라서 태양에너지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는 현행 정부정책의 개선방향으로는 동태적 정책목표설정과 이에 따른 중점지원의 연구주체의 설정원칙이 요구된다.원의 연구주체의 설정원칙이 요구된다.

  • PDF

The Effects of Prosocial PR Appeals on Policy Acceptance: a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친사회성 정책홍보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 Ahn, Sa Yi;Kim, Hee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705-71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policy acceptance(attitude formation and intention of action) is affected by the message appeals(rational vs. emotional) when policy PR messages emphasize prosociality, an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rust in government, involvement, and demographic factors as moderating variables. Although message appeals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y itself, interaction effect is observed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message appeals; the r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to those with low trust in government while the emo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to those with high trust. No other interaction effect is founded but involvement, gender, and age group show important main effect in policy acceptance; high-involvement group and female group are more favorable in attitude toward prosocial policy and behavior intention compare to the each of counterparts, whereas older group is more favorable in behavior intention.

Study on the Overlapping Effect of Certification Policies: Focusing on the ICT Industry (벤처인증정책과 이노비즈인증정책의 중복효과에 대한 연구: ICT산업을 중심으로)

  • Oh, Seunghwan;Shim, Dongnyok;Kim, Kyunam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358-386
    • /
    • 2015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policy impact of Inno-biz verification and Venture verifi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mplementarity effect according to the overlapped support in Korean ICT industry. Alongsid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government innovation policies, discussions regarding evaluations of such policies have been consistently undertaken in economics,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whether public policies have played a proper role. However, one of the distinguished point of this research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is paper not only includes evaluations of a single policy, but also the discussion about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innovation policies. The main result of this paper is that, in the case of overlapping homogeneous policies such as Inno-biz and venture verification, the complementarity effect is negativ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e uniquenes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deviating from the view of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a single policy, this paper has considered interactions and the complementarity effect of innovation policy through "policy mix," an economic term. Second, based on this concept, the paper suggest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interactions and the complementarity effect of innovation policy.

The Effe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벤처기업의 정부 R&D정책에 대한 신뢰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Deokyong;Bae, Sung Joo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9 no.4
    • /
    • pp.95-124
    • /
    • 2021
  • Startups play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in niche markets, thus governments regularly expand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R&D) budgets accordingly. As stratups are more dependent on governments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resources and capabilities tha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will be importa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startups'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on innovation performance.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The first result is that government R&D investments in startups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manufacturing and high-technology industries but did not affect other industries. The secon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increased innovation in high-and medium-high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third result is that trust in government R&D policies affects innov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evaluation of support proces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trust to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R&D support to determine how to effectively provide it. The results show that governments need to differentiate the types of R&D support they provide according to the target firm's technology level and whether they are a manufacturing company and that appropriate R&D support mechanism should be developed for low-technology and non-manufacturing companies. Finally, governments should allocate resources and make fair and transparent decisions to help companies grow, not to better supervise them.

A Study on Determinants of Micro-enterprise Performance (소상공인의 경영성과 결정요인)

  • Oh,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5759-5763
    • /
    • 2012
  • I conducted structural model analysis which is considered the influence of "government policy and micro-enterprise manager's characteristics"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effective analysis on governmental policy for micro-enterprise funding, training and consulting support. This study results showed characteristics of micro-enterprise manager and government policy significant to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structural model,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are customer's accessibility, promotion availability, goods mobility, customer attractive ability, effectiveness of funding, size of supported training, and effectiveness of training and satisfaction of supported consulting size.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i, Sang-Cheol;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7-130
    • /
    • 2018
  • 국내에서는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여성들이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창업자들을 위한 민관중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창업자들이 창업을 통해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개인적인 역량이나 업무적인 역량외에 여성만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여성기업의 창업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에 창업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적인 요인도 조절효과로 추가하여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참여하여 답한 내용중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부정확한 표기를 한 설문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총 212명의 여성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창업성과에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자의 업무적 특성인 독창성, 아이디어, 자원분배역량, 지도역량, 네트워크 구축, 인맥확보등이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모두 정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창업자만의 특성인 경력단절 유무와 결혼유무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통한 나타난 결과는 창업성과와 무관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인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여성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여성창업자의 다른 독립변수를 능가할 만한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아서 정부의 여성창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이 좀 더 보강되고 확장되어야만 창업의 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