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익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 은종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 이재완 (원광대학교 교양교육대학)
  • Received : 2015.09.25
  • Accepted : 2015.10.27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is, we apply ordered logit analysis using "The Survey on the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Policy" data investiga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liter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imply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information about policies and make an effort to gain trust on food safety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소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으로 조사한 '불량식품 근절 추진 공감도 여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열로짓분석을 하였다. 그 분석 결과, 정책인지도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양(+)의 효과를 나타내어, 정부가 추진하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을 잘 알고 있을수록 그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신뢰도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양(+)의 효과를 나타냈는데,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더 신뢰할수록 그 정책의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민감성은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음(-)의 효과를 나타내어 불량식품의 범위를 넓게 정의할수록 그 정책의 효과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정부신뢰 향상, 불량식품의 정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머니투데이, "박 근혜 정부 '4대악 척결' 로드맵 나왔다: [새정부 국정과제]인수위 "4대악 척결로 안전한 사회 구현"," 2013.2.21.
  2. 파이낸셜뉴스, "식약처, 10일 불량식품 근절 국민 공감대 형성: '소비자포럼' 개최", 2014.12.9.
  3. 경찰청, "경찰청 브리핑: 경찰청, 앞으로도 불량식품 계속 근절해 나가기로," 2014.2.
  4. 아시아경제, "이슈: 박 근혜 정부 '국민 안전' 정책 1년, 성과는?," 2014.2.4.
  5. 한국외식경제신문, "불량식품 근절? 사전 예방 '절실'," 2014.4.25.
  6. 의학신문, "생색내기 행정, 어린이 불량식품근절 '뒷걸음': 김명연 의원, 학교인근 영세업체 개선 뒷전-매점 지원 집중," 2014.10.7.
  7.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년 업무계획 "안전한 먹을거리, 국민행복": 주요정책 추진계획, 2013.
  8. 이재삼, 박문선, "식품위생법상 위해식품 방지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54권, pp.131-167, 2014.
  9.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년 업무계획 "안전한 먹을거리, 국민행복": 주요정책 추진계획, 2013.
  10. K. Brown and P. B. Coulter,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s of Police Service Deliver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3, No.1, pp.50-58, 1983. https://doi.org/10.2307/975299
  11. B. Stipak, "Interpreting Subjective Data for Program Evaluation," Policy Studies Journal, Vol.12, No.2, pp.305-314, 1983. https://doi.org/10.1111/j.1541-0072.1983.tb00272.x
  12. 임도빈, 정현정, 강은영,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 경쟁력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9권, 제2호, pp.1-29, 2012.
  13. 김인, "지방정부 환경보호서비스 성과의 영향 요인: 시민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19권, 제2호, pp.291-318, 2007.
  14. T. R. F. Leung, "Accountability to Welfare Service Users: Challenges and Responses of Service Providers,"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38, pp.531-545, 2008.
  15. 임도빈, 정현정, 강은영,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 경쟁력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9권, 제2 호, pp.1-29, 2012.
  16. 정웅, "불량식품 사건발생 실태와 경찰의 위해방지 대책,"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1권, 제2호, pp.103-127, 2014.
  17. D. Denver and G. Hands, "Does studying politics make a difference? The political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school students,"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20, pp.268-288, 1990.
  18. 최연태, 박상인,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이 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1권, 제4호, pp.73-98, 2011.
  19. 김경범, "정책대상집단의 주차규제정책 불응요인에 관한 연구: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215-22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215
  20. 이영희, 이승신, "소비자의 국가식품안전정책과 식품업체의 신뢰에 따른 식품안전추구행동," 한국소비자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14-126, 2010.
  21. 오경수, 천명재, 김희경,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190-20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190
  22. M. R. Fitzgerald and R. F. Durant, "Citizen Evaluations and Urban Management: Service Delivery in an Era of Protes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0, No.6, pp.585-594, 1980. https://doi.org/10.2307/3110311
  23. 이영희, 이승신, "식품업체 및 국가식품안전정책에 대한 소비자신뢰모형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20, 2014.
  24. 김은정, "사회서비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정책 과제," 사회복지정책, 제35권, pp.141-168, 2008.
  25. 송은진, 유현정, "온라인을 통한 식품안전정보제공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4호, pp.71-95, 2014.
  26. P. M. Sandman, "Risk Communication: Facing Public Outrage," EPA Journal, Vol.13, No.9, pp.21-22, 1987.
  27. 조일형, 정성영, 권기헌, "정부간 관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 수준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19권, 제3호, pp.245-283, 2013.
  28. http://www.korea.kr/archive/mainList.do
  29. (주)리서치앤리서치, 불량식품 근절 추진 공감도 여론조사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식품의약품안전처, 2014.
  30. 김형석, 김경희, STATA를 이용한 통계실무: 프로그램 기초 및 통계분석, 통계청 STATA 연구회, 2010.
  31. 임도빈, 정현정, 강은영, "정책이해도가 정책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 경쟁력의 관점에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9권, 제2호, pp.1-2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