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osocial PR Appeals on Policy Acceptance: a case of Environmental Policy

친사회성 정책홍보 메시지의 소구유형이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사이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
  • 김희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Received : 2015.10.19
  • Accepted : 2016.03.24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policy acceptance(attitude formation and intention of action) is affected by the message appeals(rational vs. emotional) when policy PR messages emphasize prosociality, an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rust in government, involvement, and demographic factors as moderating variables. Although message appeals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y itself, interaction effect is observed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message appeals; the ra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to those with low trust in government while the emotional appeal is more effective to those with high trust. No other interaction effect is founded but involvement, gender, and age group show important main effect in policy acceptance; high-involvement group and female group are more favorable in attitude toward prosocial policy and behavior intention compare to the each of counterparts, whereas older group is more favorable in behavior intention.

본 연구는 물부족이나 환경오염 방지와 같이 정책이 미치는 개인적인 혜택이 매우 추상적일 뿐 아니라 혜택의 수혜에 장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책PR 메시지가 개인에 대한 이익을 넘어 다른 사람들과 사회를 위하는 친사회성을 강조해야 할 때, 메시지 유형에 따른 효과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즉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 과정에서 정부 신뢰도, 관여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메시지 소구유형과 정부 신뢰도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즉 정부 신뢰도가 높은 경우에는 감성적 소구가 정책수용에 더 효과가 크고, 정부 신뢰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성적 소구가 더 효과가 컸다. 관여도의 경우 정책수용효과에 미치는 주효과는 발견되었으나 메시지 유형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요인 역시 소구유형과의 상호작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별은 정책수용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연령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손호중, "행정PR 행태가 정책순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1권, 제4호, pp. 97-126, 2007.
  2. 길종백, 정주용, "지방정부의 행정PR에 관한 연구: 행정PR에 대한 인식과 실제," 한국행정연구, 제14권, 제1호, pp. 96-119, 2005.
  3. 김공록, 문명재, "공중의 특성에 따른 공중의 정책 PR에 대한 반응과 효과: 정보유형과 정보선호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7권, 제2호, pp. 33-57, 2008.
  4. 박현순, 문철수, 박주연, "국정홍보 조직과 기능에 대한 정책홍보 담당자의 인식 및 평가," 홍보학연구, 제19권, 제2호, pp. 160-195, 2005.
  5. 신호창 "정부의 홍보정책에 대한 고찰 및 발전적 국정홍보 모델의 제시," 홍보학연구, 제13권, pp. 83-108, 1999.
  6. 박종민, 오미영,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1호, pp. 149-177, 2003.
  7. 이두원, "국가 정책홍보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탐색 연구: 공중관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제13권 제1호, pp. 180-209, 2005.
  8. 차희원, 김영욱, 신호창, "정책PR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16권 제2호, pp. 96-127, 2005.
  9. 한미정, 김현정, "해방이후 공익광고를 통해 본 공공캠페인 이슈 변천에 관한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권, 제1호, pp. 239-275, 2005.
  10. 황성욱, 조윤용, "문화를 활용한 정부의 공공 캠페인 확선전략," 홍보학연구, 제18권, 제3호, pp. 241-273, 2014.
  11. 백혜진, 차수연, 남유진, 김도훈, "뉴스프레임 유형과 정부 신뢰도가 금연정책 지지도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보학연구, 제19권 제1호, pp. 1-29, 2015.
  12. 이병관, 윤태웅, "공익광고의 프레이밍 효과에 관한 연구 메타 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2호, pp. 33-60, 2012.
  13. 박장원, 박현순, "기부관여도, 메시지 소구방식, 자아효능감의 기부의사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11권, 제1호, pp. 107-140, 2007.
  14. 조용석, 황장선, "공익 광고의 주제 유형별 효과,"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4호, pp. 71-104, 2007.
  15. 이종수, 행정학 사전, 서울: 대영문화사, 2009.
  16. 유재웅, 정부PR,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7. 김영석, 설득 커뮤니케이션, 파주:(주)나남, 2013.
  18. P. Slovic, The Perception of Risk, 이영애(역), 일반인을 위한 위험판단 심리학, 서울:시그마프레스, 2012
  19. J. F. Yates,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0.
  20. 오두범, "행정홍보의 특성과 과제에 관한 고찰," 홍보학 연구, 제1권, pp. 168-186, 1997.
  21. 신호창, 이동원, 행정PR이론, 서울;이화여대출판부, 2002.
  22. 문철수, "우리나라 정부 PR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6권, 제1호, pp. 158-189, 2005.
  23. 김희진, 정지연, 박노일, "국정소통 담당 공무원의 정부PR 역량평가 및 전문성교육 필요성 인식 비교," 홍보학연구, 제19권, 제1호, pp. 61-84, 2015.
  24. 맹소우, 이형탁, "기업의 참여형 CSR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참여의향 향상방안 분석," 경영경제, 제46권, 제1호, pp. 19-40, 2013.
  25. J. Zaki and J. P. Mitchell, "Intuitive prosocial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 22, No. 6, pp. 466-470, 2013. https://doi.org/10.1177/0963721413492764
  26. G. V. Caprara, G. Alessandri, and N. Eisenberg, "Prosociality: The contribution of traits, values, and self-efficacy belief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102, No. 6, pp. 1289-1303, 2011. https://doi.org/10.1037/a0025626
  27. F. F. Brunel and M. R. Nelson, "Explaining gendered responses to "help-self" and "helpothers" charity ad appeals: The mediating role of world-views," Journal of Advertising, Vol. 29, No. 3, pp. 15-28, 2000.
  28. 박유식, 경종수, "환경보전 공익광고에서 소구방향, 관여도, 자기검색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여향," 산업과 경영, 제16권, 제1호, pp. 105-123, 2003.
  29. C. D. Batso and L. L. Shaw, "Evidence for altruism: Toward a pluralism of prosocial motives," Psychological Inquiry, Vol. 2, No. 2, pp. 107-122, 1991.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0202_1
  30. J. Hornikx, B. Hendriks, and D. Thijzen,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in Fundraising Letters: The Case of Help-self and Help-others Appeals in a Feminine Culture," Communications, Vol. 35, No. 1, pp. 93-110, 2010.
  31. 김나미, 유승엽, "광고 주제와 소구 유형 및 모델 이미지에 따른 공익광고 효과," 광고학연구, 제26권, 제2호, pp. 317-341, 2015.
  32. G. W. Hartmann, "A Field Experiment on the Comparative Fffectiveness of Emotional vs. Rational Political Leaflets in Determing Election Result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 31, pp. 99-114, 1936. https://doi.org/10.1037/h0056079
  33. W. J. McGuire, "The Nature of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G. Lindzey and E. Aronson (Eds.), MA: Addion Wesley, pp. 136-313, 1969.
  34. C. P. Puto and W. D. Wells, "Informational and trasformational advertis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im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1, pp. 638-643, 1983.
  35. 백혜림, 이승조, "사전 태도와 이성적/감성적 소구 유형이 장애인 돕기 캠페인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4권, 제2호, pp. 157-183, 2014.
  36. 남순예, "유기체 철학과 사회생물학의 관점에서 본 유전자의 이타성," 화이트헤드 연구, 제13집, pp. 65-91, 2006.
  37. 이승조, 정다운, "돕기 캠페인에서 공감적 관심과 소구 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 감성과학, 제17권, 제2호, pp. 25-34, 2014.
  38. J. A. Weiss and M. Tschirhart, "Public information campaigns as policy instruments,"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Vol. 13, No. 1, pp. 82-119, 1994. https://doi.org/10.2307/3325092
  39. R. Batra and M. Ray,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3, No. 2, pp. 234-249, 1986. https://doi.org/10.1086/209063
  40. A. H. Miller, "Political Issues and Trust in Government:1964-1970,"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68, No. 3, pp. 951-972, 1974. https://doi.org/10.2307/1959140
  41. 양건모, "정부신뢰 개념의 이론적 논의 및 타당성 검증," 한국행정학회.한국정책학회 2007년도 하계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73-194, 2007.
  42. 금현섭, 백승주, "정치적 이념, 정부신뢰, 그리고 정책지지," 행정논총, 제48권, 제4호, pp. 201-228, 2010.
  43. V. A. Chanley, "Trust in government in the aftermath of 9/11: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Political Psychology, Vol. 23, No. 3, pp. 469-483, 2002. https://doi.org/10.1111/0162-895X.00294
  44. S. Chaiken and D. Maheswaran, "Heuristic, Processing Can Bias Systematic Processing: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Argument Ambiguity, and Task Importance on Attitude Jud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6, No. 3, pp. 460-473,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6.3.460
  45.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9, pp. 123-185, 1986.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214-2
  46. J. H. Holmes and K. E. Crocker, "Predispositions and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Rational, Emotional and Discrepant Appeals for Both High Involvement and Low Involvement Product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5, No. 1, pp. 27-35, 1987. https://doi.org/10.1007/BF02721951
  47. J. E. Grunig and T. Hunt, Managing Public Relations, 박기순, 박정순, 최윤희 (역) (2007),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84.
  48. A. H. Fischer, Gender and Emotio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9. 김재신, "일반화된 타자, 정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공공갈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2호, pp. 1-16, 2011.
  50. 이재철,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정부신뢰 및 정부신뢰 결정요소 분석: 젊은 세대의 비교," 정치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pp. 115-143, 2013.
  51. J. Newman and R. Staelin, "Prepurchase Information Seeking for New Cars and Major Household Applian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9, No. 3, pp. 249-257, 1972. https://doi.org/10.2307/3149534
  52. S. S. Liu and P. A. Stout, "Effects of Message Modality and Appeal on Advertising Acceptance," Journal of Psychology & Marketing, Vol. 4, No. 3, pp. 167-187, 1987. https://doi.org/10.1002/mar.4220040303
  53. 조형오, 나운봉, 김희진, "광고메시지 유형의 차이에 따른 광고반응의 즉시효과와 지연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3권, 제2호, pp. 320-350, 1998.
  54. 오경수, 천명재, 김희경,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 190-20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190
  55. 이명천, 송병원, 김요한, "보건 캠페인에서 홍보대사 유형과 관여도에 따른 설득 효과,"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 379-413, 2013.
  56. J. L. Zaichk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2, pp. 341-352, 1985. https://doi.org/10.1086/208520
  57. J. W. Duncan, Organizational Behavior, MA: Boston Mifflin Companay, 1981.
  58. 성욱준,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정책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워크센터 사용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 제1호, pp. 331-359, 2013.
  59. 이종구, 김태진, "정책수용 및 정책홍보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 대기환경 정보제공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6권, 제1호, pp. 77-9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