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on Continuing Participation in the Eldrly Employment Program with the Semi-Elderly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속성 요인

  • 김제선 (오클랜드대학교) ;
  • 김선웅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간협동과정)
  • Received : 2015.11.13
  • Accepted : 2015.12.15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semi-elderly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elderly employment program, and to find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keeping on the work since retired from the Lavor market. To convert the Row-data obtained from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13,370cases were used to analyze finally. The date analysis was appli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program of SPSS 18.0. The analysis is shows that semi-elderly who had participated in more than 270 days a year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formed 41.2%.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the semi-elderly have been participated in working is payment, and others are gender, solitary life, motivation of working and type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ducted policy suggestion to achieve the purposes of elderly employment program and to make income from it, for semi-elderly retiring from the labor market.

본 연구는 6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준고령자들이 노동시장에서 은퇴한 이후 노인일자리사업에 얼마나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러한 참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은퇴를 앞둔 준고령자의 일자리 창출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새누리 시스템'의 원자료(Raw Data)를 변환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3,370명이었으며, SPSS 18.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분석, 상관관계 및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했던 준고령자 중 1년 동안 270일 이상을 지속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41.2%이었고, 참여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급여액이었다. 그 외에 일자리 참여동기 및 일자리 유형 등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동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은퇴를 하는 준고령자들의 소득 확보와 노인일자리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근로지속의사 및 근로형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5권, 단일호, pp. 159-182, 2003.
  2. 박정기, 노영학, "베이비부머의 주거선호를 고려한 주거정책방향 연구," 한부동산학회지, 제30권, 제2호, pp. 187-214, 2012.
  3. 최영준, "베이비부머를 위한 경제교육 방향 탐색," 경제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 123-145, 2012.
  4. 장석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에 대비한 관련 산업 활성화 방안, 제8차 베이비붐 세대 미래구상 포럼 자료집(보건복지부), 2011.
  5. 이준협, 베이비붐세대 고용의 특징과 시사점: 베이비부머 은퇴 줄여야 고용률 70% 가능하다, 새로운 경제시스템 창출을 위한 한국경제주평, 2013.
  6. 노영훈, "베이비부머 세대 가계의 주택자산 구성과 은퇴," 재정포럼, 제6권, 단일호, pp. 27-51, 2011.
  7. http://www.oecd.org/employment/emp/ageingandemploymentpolicies.htm.
  8.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4년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보건복지부, 2014.
  9. 남기철, 한국 노인 일자리사업의 전개와 쟁점. 2010 서울노년학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한국노년학회), 2010.
  10.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 253-26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53
  11. 서미경, 최희진, "비취업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의 취업의사 결정요인 비교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3권, 단일호, pp. 125-154, 2011.
  12. 정순둘,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52권, 단일호, pp. 305-324, 2011.
  13. 남상호,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산보유 현황과 시사점, 보건.복지Issue&Focus, 2011.
  14. 이소정, 베이비부머의 인적자원 특성 및 활용 방안, 제10차 베이비붐 세대 미래구상포럼: 베이비부머의 인력활용 전략 모색 자료집(보건복지부), 2011.
  15. 김동배,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현황과 은퇴에 따른 사회적 이슈, 2010 노인사회참여활성화포럼 자료집(보건복지부), 2010.
  16. 탁우상, 베이비부머 세대의 일과 봉사활동에 의한 사회참가활성화 방안에 관한 토론, 2010 노인 사회참여활성화포럼 자료집(보건복지부), 2010.
  17. 심재진,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근로자성에 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9권, 제2호, pp. 197-235, 2013.
  18. 양윤정, 정영순, "노인 일자리사업 정책결정, 집행과정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 885-903, 2011.
  19. 고호태,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노인 일자리사업의 경제적 효과성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58권, 단일호, pp. 61-87, 2012.
  20. 기영화, 김남숙, "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사회적 자본화 이론모델 정립 현장사례연구: 노인 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 25-49, 2011.
  21. 최혜지, "센의 인간실현력(Human capability) 관점에 근거한 노인 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9권, 제1호, pp. 135-166, 2013.
  22. 고재욱, 이동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 1209-1228, 2011.
  23. 김옥희,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별 및 한일 간 비교,"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4호, pp. 113-137, 2011.
  24. 이소정,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9권, 단일호, pp. 331-355, 2013.
  25. 기영화, "지방정부 노인 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 탐색 : 근거이론," 지방정부연구, 제17권, 제1호, pp. 265-295, 2013.
  26. 임중철, 주경희, 임병우,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 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7권, 단일호, pp. 29-50, 2012.
  27. 권치영, 김선웅, 임중철, 이홍직,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2호, pp. 427-443, 2007.
  28. 이경욱,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 623-640, 2011.
  29.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 225-23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25
  30.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 160-17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60
  31.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 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 123-13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23
  32. 이재영, 김진숙, "노인 일자리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양기대태 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단일호, pp. 353-382, 2012.
  33. 김동배, 김세진, 이정은,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만족도가 참여기간에 미치는 영향: 공익형과 교육형 참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1호, pp. 101-126, 2011.
  34. 김진욱, 손지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 129-145, 2009.
  35. M. Dessing, “Labor supply, the family and po-verty: the S-shaped labor supply curve,”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and Organization, Vol. 49, No. 4, pp. 433-458, 2002. https://doi.org/10.1016/S0167-2681(02)00011-2
  36. S. Dex, M. Taylor, and S. Lissenburgh, Women and Lour pay: identifying the issue, Equal, 1994.
  37. 통계청,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중심으로, 통계청, 2012.
  38. 이석민, "노인 일자리사업이 노인가구의 소득과 소비에 미치는 영향: 계량경제학, 통계적 정책평가방법 접근,"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제4호, pp. 259-284, 2012.
  39. 이석민, 원시연,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질적평가, 발전적 평가이론과 근거이론적 방법 접근,"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4호, pp. 207-232, 2012.
  40. 최성재, 장인협,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